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1 국내외 그린뉴딜 전략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산업 유망기술 및 시장전망

2021 국내외 그린뉴딜 전략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산업 유망기술 및 시장전망

  • 미래산업리서치편집부
  • |
  • 미래산업리서치
  • |
  • 2021-04-06 출간
  • |
  • 667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96083885
판매가

400,000원

즉시할인가

360,000

카드할인

0원(즉시할인 0%)

적립금

20,000원 적립(5%적립)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추가혜택

네이버페이 무조건 1%적립+ 추가 1%적립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로,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2015년 11월 제21차 유엔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1)에서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보다 아래로 1.5℃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195개국이 참여하는 파리기후변화체제를 출범했다. 또한 해당국가에게 2020년까지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수립을 권고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2020년11월)는 2025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33%를 기록, 석탄 화력을 상회하며 전 세계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공급하는 발전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BNEF(2020년11월)는 태양광·풍력·ESS가 향후 30년간 신규 발전설비에 투자될 15조1천억 달러의 80%를 점유, 2050년 전 세계 전력생산량의 56%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동기간 전력망 추가 투자액은 14조 달러로 추산했다.

한국은 2019년 5월 “에너지 기술개발 실행계획(안)”을 공고 확정하고,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성장동력화를 할 수 있는 R&D 사업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주도하에 에너지기술개발 정책 사업을 총괄, 사업기획 및 관리를 위한 전담기관을 지정 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 기술경쟁력 강화, 지능정보기술 등 기술융합 글로벌 시장선점, 환경ㆍ안전ㆍ사회문제 해결에 주력할 계획이다.

에너지 중장기 R&D 혁신전략과 추진 체계를 위해 “4차 에너지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 미래 에너지전환을 뒷받침하고 국가 에너지기본계획 정책목표 달성에 필요한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분야를 제시하고 2030년까지 R&D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16대 중점투자분야는 ① 에너지 신산업육성(태양광, 풍력, 수소ㆍ연료전지, 에너지신소재), ② 에너지공급(원자력, 청정발전, 에너지안전, 자원개발, 순환자원), ③ 고효율 저소비 구조혁신(산업ㆍ건물ㆍ수송효율, 빅데이터 플랫폼). ④ 분산형 에너지 확산(지능형 전력시스템, 에너지저장, 사이버보안)으로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해 에너지 전환을 이루며 이로 인해 신산업 창출, 일자리창출 등 에너지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1장에서는 글로벌 신ㆍ재생에너지 시장 및 주요 국가별 산업전망, 글로벌 에너지 관련 산업 전망, 글로벌 그린뉴딜 정책 및 산업전망을 2장에서는 에너지전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는 국내 주요 정책 동향(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제3차 녹색성장 5개년계획,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각 부문별 비전 및 전략)을 3장에서는 ‘4차 에너지 기술개발 계획’의 에너지 신산업 육성분야인 태양광, 풍력, 수소ㆍ연료전지, 에너지신소재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로드맵과 유망기술 에 대한 시장동향과 전망 등을 기술했다.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 극복을 위해 그린뉴딜, LEDS 등 강력한 에너지정책 시행으로 친환경 에너지발전 산업이 확대될 전망으로 이로인해 신산업창출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기회가 예상된다.

이에 본서가 에너지산업분야에 종사하는 분들과 신사업을 기획하는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


2021년 4월


(주)미래산업리서치 에너지산업정보 분석센터


목차


Ⅰ. 글로벌 신ㆍ재생에너지 시장전망과 주요 정책 동향 35

1. 글로벌 신ㆍ재생에너지 시장 및 주요 국가별 산업전망 35
1-1. 글로벌 신ㆍ재생에너지 시장동향과 전망 35
1) 재생에너지 공급현황 35
(1) 1차에너지 공급현황 35
(2) 최종에너지 소비현황 36
2) 2020 글로벌 재생에너지 보급현황 및 시장전망 37
(1) 2020 글로벌 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37
(2) 코로나19에 따른 재생에너지 확대 및 전력시장 영향 38
(3) 글로벌 재생에너지 전망(∼2025년) 39
3)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 확대 동향 42
(1) 2030년 재생에너지 투자 및 보급 목표 42
(2) 탈탄소화 이행 전략 43
(3) 재생에너지 투자확대 기대효과 44
1-2. 주요 국가별 에너지발전 산업 동향과 전망 45
1) 미국 에너지발전 산업 동향과 시장전망 45
(1) 미국 에너지 정책방향 45
(2) 미국의 재생에너지 시장동향 및 전망 46
(3) 오일가스 에너지?시장동향 및 전망 47
(4)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량 및 발전량 추이 49
(5) 미국의 재생에너지 2010년 이후 투자 현황 51
(6) 미국 신ㆍ재생에너지 부문별 산업현황 및 전망 52
2) 영국 에너지발전 산업 시장동향과 전망 62
(1) 영국 에너지 생산현황 62
(2) 에너지 수요현황 64
(4) 영국 에너지 투자 현황 67
(5) 영국의 에너지 정책현황 및 전망 68
(6) 영국의 신ㆍ재생에너지 발전 지원 정책 71
3) 일본 에너지발전 산업 시장동향과 전망 72
(1) 일본경제전망 72
(2) 1차에너지 공급 72
(3) 일본 발전 전원구성 추이 및 전망 73
(4) 일본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추이 및 전망 74
(5) 일본의 녹색성장전략 78
4) 중국 에너지발전 산업 및 전망 79
(1) 중국 경제정책 주요내용(14.5 규획) 79
(2) 중국경제전망 81
(3) 신성장동력 창출 : 녹색성장 전환 82
(4) 중국의 에너지 산업 변화 지각변동 82
(5) 중국의 1차에너지 소비현황 및 전망 83
(6) 중국의 에너지 정책현황과 전망 84
5) 파키스탄 신ㆍ재생에너지 발전 산업 시장동향 90
(1) 신재생 에너지 발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 90
(2) 파키스탄 발전설비 용량 91
(3) 신ㆍ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파키스탄의 기후 93
(4) 파키스탄 신재생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94
(5) 현지 업체가 말하는 파키스탄 신ㆍ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95

2. 글로벌 에너지 관련 산업 전망 96
2-1. IEA의 미래 에너지산업전망 96
1) 국제에너지기구(IEA) 미래 에너지산업전망 96
(1) 탄소중립(Net-zero) 달성과 전력분야의 구조적 변화 98
(2) 탄소중립(Net-zero) 달성을 위한 기술 밸류체인과 기술 준비 수준(TRL) 100
2)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미래 에너지산업전망 102
2-2. 주요 석유회사의 에너지산업전망 104
1) BP사의 에너지산업전망 104
2) Total사의 에너지산업전망 106
2-3. 2050 글로벌 에너지 산업전망 109
1) 2050 글로벌 에너지 산업전망 공통점 109
2) 2050 글로벌 에너지 산업전망으로 본 국내 에너지산업 시사점 110
(1) 2050 탄소중립(Net-zero) 목표로 에너지R&D 전략 재설정 필요 110
(2) 장기 에너지·환경 정책과 관련 산업 진흥 계획 필요 110

3. 글로벌 재생에너지 ㆍ그린뉴딜 정책동향 전망 111
3-1. 글로벌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전망 111
1) 글로벌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및 계획 111
2) 글로벌 기업의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 112
3-2. 그린뉴딜을 주도하는 주요 국가별 정책동향 및 전망 113
1) 그린뉴딜 정책 추진 배경 113
2) 미국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14
(1) 정책현황 114
(2) 미국의 그린뉴딜 중점추진분야 115
(3) 미국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17
3) EU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18
(1) 정책현황 118
(2) EU의 그린뉴딜 중점추진 분야 121
(3) EU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25
4) 독일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26
(1) 정책현황 126
(2) 독일의 그린뉴딜 중점추진분야 126
(3) 독일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28
5) 영국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29
(1) 정책현황 129
(2) 영국의 그린뉴딜 중점추진분야 130
(3) 영국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31
6) 일본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32
(1) 정책현황 132
(2) 일본의 그린뉴딜 중점추진분야 133
(3) 일본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35
7) 중국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36
(1) 정책현황 136
(2) 중국의 그린뉴딜 중점추진분야 137
(3) 중국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39
8) 인도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39
(1) 정책현황 139
(2) 인도의 그린뉴딜 중점추진분야 140
(3) 인도의 그린뉴딜정책 향후전망 143
9) 그린뉴딜을 주도하는 주요국가의 그린뉴딜 정책동향 종합 143
10) 한국의 그린뉴딜정책방향 144
(1) 정책배경 144
(2) 정책구조 및 추진전략 147
(3) 그린뉴딜 투자계획 149
(4) 그린뉴딜정책 중점추진분야 149
(5) 그린뉴딜 중점 세부 투자내용 151
(6) 한국 그린뉴딜정책 개선방향 152
(7) 한국판 그린 뉴딜을 위한 정책 제언 155

Ⅱ. 에너지발전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전략 165

1. 에너지전환 패러다임을 위한 국내 주요 정책 동향 165
1-1.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165
1) 개요 165
2)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주요내용 165
(1) 수요전망 및 목표수요 (’17~’40) 165
(2) 중점 추진과제 166
1-2. 제3차 녹색성장 5개년(’19∼’23) 계획 169
1) 개요 169
2) 5대 정책방향별 세부 추진 계획 171
(1) 온실가스 감축 의무 실효적 이행 171
(2)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전환 172
(3) 녹색산업 구조혁신 및 성과 도출 172
(4) 기후적응 및 에너지 저소비형 녹색사회 실현 173
(5) 국내ㆍ외 녹색협력 활성화 174
3) 제3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정책방향별 세부과제 목록 175
(1) 온실가스 감축 의무 실효적 이행 175
(2)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전환 176
(3) 녹색경제 구조혁신 및 성과 도출 177
(4) 기후적응 및 에너지 저소비형 녹색사회 실현 178
(5) 국내외 녹색협력 활성화 179
1-3.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180
1)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개요 180
2)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평가 180
(1) 성과 180
(2) 개선 필요사항 181
(3)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의 기본방향 181
(4) 계획수립의 기본방향 184
3)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184
(1) 전력수요전망 184
(2) 전력수요관리 목표 186
(3) 연도별 목표수요 전망 191
4) 발전설비 계획 192
(1) 석탄발전 192
(2) 신재생에너지발전 192
(3) 원자력발전 193
(4) LNG발전 193
(5) 기타 발전 193
5) 전력수급전망 194
6) 전원구성전망 194
(1) 정격용량기준 194
(2) 실효용량 기준 195
7) 온실가스 감축 방안 195
8) 발전량 전망 195
(1) 목표 시나리오 195
(2) 기준 시나리오 196
9) 환경개선효과 196
(1) 온실가스분야 196
(2) 미세먼지분야 196
10) 재생에너지 확대 및 변동성 보완방안 197
(1) 제도개선 추진현황 197
(2) 재생에너지 보급목표 및 확대방안 198
(3) 재생에너지 변동성 보완방안 199
11) 분산형 전원 확대 200
(1) 분산형 전원 적용기준 200
(2) 분산형 전원 보급전망 200
12) 송·변전설비 계획 201
(1) 주요 정책방향 201
(2)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 수용능력 제고 202
(3) 발전·전력계통간 설비구축 연계 강화 203
(4) 동북아 수퍼그리드 구축 204
13) 사후관리계획 204
1-4.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206
1)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배경 및 필요성 206
(1) 탄소중립 추진전략 배경 206
(2) 탄소중립 추진전략 필요성 207
2) 국내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목표 210
(1) 국내 온실가스배출현황 210
(2)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211
(3) 2030년 대한민국 온실가스 감축 목표 212
3) 2050 탄소중립 기본방향 214
(1) 깨끗하게 생산된 전기?수소의 활용 확대 214
(2) 에너지 효율의 혁신적인 향상 214
(3) 탄소 제거 등 미래 기술의 상용화 215
(4) 순환경제 확대로 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 215
(5) 탄소 흡수 수단 강화 215
(6) 주요 부문별 감축 수단 및 전망(예시) 216
1-5.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각 부문별 비전 및 전략 217
1) 에너지공급부문 217
(1) 에너지공급부문 현황 217
(2) 에너지 공급 부문 2050 비전 218
(3) 에너지공급부문 전략 221
2) 산업부문 224
(1) 산업부문 현황 224
(2) 산업부문 2050 비전 227
(3) 산업 부문 정책 과제 231
3) 수송부문 233
(1) 수송부문 현황 233
(2)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233
(3) 수송 부문 2050 비전 234
(4) 수송 부문 전략 237
4) 건물부문 238
(1) 건물부문 현황 238
(2) 건물부문 2050 비전 240
(3) 건물부문 전략 243
5) 폐기물부문 244
(1) 폐기물부문 현황 244
(2) 폐기물 부문 2050 비전 및 전략 245
6) 농수축산부문 247
(1) 농수축산부문 현황 247
(2) 농축수산 2050 비전 및 전략 248
7) 탄소흡수원 251
(1) 탄소흡수원 현황 및 전망 251
(2) 탄소흡수원 2050 비전 및 전략 253
(3) 산림 외 추가 흡수원 254
8) 한국형 그린뉴딜 추진 방향 255
(1) 탄소중립의 촉매제로써 그린뉴딜 추진 255
(2) 그린뉴딜 주요 내용 255
(3) 향후 방향 256
9) 탄소중립 2050 발전 전략 이후의 다음 단계 256
(1) 2050 탄소중립 이행체계 구축 256
(2) 2050 탄소중립의 이행 256

2. 에너지발전 산업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정책 동향 258
2-1.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19∼"28)(안) 258
1) 개요 258
(1) 수립배경과 추진경과 258
(2) 대내외 에너지 환경변화 258
(3) 주요국 에너지 정책 및 R&D 투자방향 260
(4) 에너지기술개발 성과 및 평가 264
2) 에너지기술개발 3차 계획 대비 4차 계획 비교 266
3) 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비전 및 전략 267
4)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4대전략 주요 내용 268
(1) 에너지전환을 뒷받침할 R&D 투자 강화 268
(2) 국가적 역량결집을 위한 R&D 체계 구축 275
(3) 신산업 창출을 위한 R&D 기반 강화 276
(4) 미래 지향적 에너지 R&D 저변 확대 277
(5) 기대효과 278
2-2.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80
1) 수립배경 및 추진경과 280
2)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주요내용 280
3)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요약 285
4)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비전 및 주요 추진목표 286
2-3.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 287
1) 표준의 중요성 및 역할 287
(1) 중요성 287
(2) 역할 287
2) 표준화 현황 및 문제점 287
(1) 현황 287
(2) 문제점 289
3) 국제 표준화 동향 290
(1) 국제표준화기구 동향 290
(2) 주요국 동향 290
4) 목표 및 추진전략 292
5) 표준화 로드맵 293
(1) 수소 모빌리티 293
(2) 수소 에너지 293
(3) 수소 공급 및 계량 293
6) 추진과제 295
(1) 국내선도 기술의 국제표준화 제안 시스템 구축 295
(2) 수소 제품·서비스의 품질·안전 확보 298
(3) 수소산업의 표준 경쟁력 강화 기반 조성 301
7) 기대효과 304
(1) 글로벌 시장 선점 304
(2) 시장·일자리 창출 304
(3) 안전한 제품·서비스 확산 304
(4) 제품의 국산화 304
8) 추진일정 (국제표준 제안 : 총 15건 이상 제안) 305
2-4. 청정에너지기술 발전 전략(안) 306
1)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 개요 306
(1)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 수립 배경 306
(2) 청정에너지기술의 정의 및 범위 308
(3) 국내 정책동향 및 청정에너지기술 현황 308
2)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 주요내용 311
2-5.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314
1) 개요 314
(1) 수립배경 및 범위 314
(2)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주요 특징 314
(3)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종합평가 315
(4) 국내ㆍ외 정책추진여건 316
2) 제5차 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318
(1)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최종 에너지) 318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목표 319
(3) 온실가스 배출감소 목표 319
(4) 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핵심 내용 319
(5)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322
3) 탄소중립 시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과제 323
(1) 획기적 잠재량 확충 및 보급·개발방식 혁신 323
(2) 기술한계 돌파 및 에너지 안보 강화 324
(3) 재생에너지의 주력 전원化를 위한 전력계통 대전환 326
(4) 그린수소 확대 및 에너지시스템 통합 329
4) 원별 기술개발 목표 332
5) 통합 기술개발 로드맵 333

Ⅲ. 에너지발전 주요 산업분야 기술개발 시장동향 339

1. 태양광 339
1-1. 태양광 정의 및 필요성 339
1) 태양광 정의 339
2) 태양광의 필요성 및 분류 340
(1) 태양광의 필요성 340
(2) 태양광 범위 및 분류 341
1-2. 국내·외 태양광 정책 동향 344
1) 해외 정책 동향 344
(1) 미국 344
(2) EU (European Union) 344
(3) 일본 344
(4) 중국 345
2) 국내 정책 동향 345
1-3. 국내·외 태양광 시장동향 및 전망 346
1) 세계 태양광 시장동향 및 전망 346
2) 국내 태양광 시장동향 및 전망 349
1-4. 국내·외 태양광 기술 동향 전망 351
1) 해외 태양광 기술 동향 351
(1) 미국 351
(2) 유럽 351
(3) 일본 352
(4) 중국 352
2) 국내 태양광 기술 동향 353
1-5. 국내 태양광분야 산업경쟁력 분석 354
1) 국내 태양광 산업생태계 분석 354
2) 국내 태양광 (결정질실리콘)분야 Supply Chain 355
3) 국내 태양광분야 산업경쟁력 진단 356
(1) 국내 태양광 산업 주요 이슈 분석 356
1-6. 태양광산업 정부지원 전략과제 및 핵심 기술개발 전략 358
1) 글로벌 경쟁 돌파 형 태양광 발전을 위한 초고효율 모듈 개발 358
(1) 선정배경 358
(2) 니즈 358
(3) 대상 정의 358
(4) 목표시장 선정 이유 359
(5) 목표시장 시장규모 361
(6) 핵심기술 363
(7) 국내산업 생태계분석 363
2) 태양광 입지 다변화를 통한 보급 역량 강화 369
(1) 선정배경 369
(2) 니즈 369
(3) 대상 정의 369
(4) 목표시장 선정 이유 370
(5) 목표시장 시장 규모 372
(6) 핵심기술 374
(7) 국내산업 생태계분석 374
3) 도심통합형 태양광 기술을 적용한 분산발전 프로슈머 확대 379
(1) 선정배경 379
(2) 니즈 379
(3) 대상 정의 379
(4) 목표시장 선정사유 380
(5) 목표시장 선정 381
(6) 목표시장 시장 규모 382
(7) 핵심기술 385
(8) 국내산업 생태계분석 386
4) 신규시장 창출을 위한 스마트 태양전지 390
(1) 선정배경 390
(2) 니즈 390
(3) 대상 정의 390
(4) 목표시장 선정이유 391
(5) 목표시장 시장 규모 394
(6) 핵심기술 396
(7) 산업생태계분석. 397
(8) 국내ㆍ외 주요참여업체현황 400
(9) 시장진입전략 402
5) 미래원천 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조기 확보 403
(1) 선정배경 403
(2) 니즈 403
(3) 대상 정의 404
(4) 목표시장 선정 이유 404
(5) 핵심기술 407
(6) 산업생태계 분석 408
(7) 주요참여업체현황 410
1-7. 태양광산업의 정부지원정책을 통한 기술 로드맵의 기대효과 411

2. 풍력 412
2-1. 풍력 분야 정의 및 필요성 412
1) 풍력 정의 412
2) 필요성 412
2-2. 해외정책동향 413
1) 미국 413
2) EU 413
(1) 덴마크 414
(2) 네덜란드 414
(3) 영국 414
(4) 독일 415
(5) 핀란드 415
3) 일본 416
4) 중국 416
5) 글로벌 국가의 해상풍력계획 417
2-3. 국내정책동향 418
2-4. 국내ㆍ외 풍력기술동향 419
1) 해외 풍력기술동향 419
(1) 미국 419
(2) EU 419
(3) 일본 420
(4) 중국 421
(5) 세계 주요기업 풍력시스템 개발 현황 421
2) 국내 풍력기술동향 422
2-5. 국내·외 풍력발전 시장동향 및 전망 423
1) 세계 풍력발전 시장동향 및 전망 423
(1) 세계 소형 풍력 발전시스템 시장동향 및 전망 424
(2) 세계 해상풍력 구조물 및 부품 시장전망 425
2) 국내풍력 시장동향 428
(1) 국내 소형 풍력 발전시스템 시장동향 및 전망 429
(2) 국내 해상풍력 구조물 및 부품 시장전망 429
3) 글로벌 풍력시장전망 430
2-6. 풍력산업 경쟁력분석 431
1) 국내 풍력산업 생태계 현황 431
2) 국내풍력 산업경쟁력 진단 435
(1) 풍력산업 현안 분석 435
(2) 풍력산업 주요이슈 분석 435
(3) 풍력기술수준 및 기술경쟁력 분석 436
3) 국내풍력산업 개발이슈 및 정부정책 지원방향 437
(1) 개발이슈 437
(2) 정부정책 지원방향 438
2-7. 정부의 풍력산업 전략지원과제 및 추진방향 440
1) 전략과제 구성 및 선정배경 440
(1) 풍력발전 핵심부품 경쟁력 강화 440
(2) 초대형 해상풍력 기술 개발 및 실증 440
(3)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개발 및 실증 441
(4) 환경 친화적 풍력 단지 개발 및 보급확산 441
2) 비전 및 목표 442
2-8. 풍력산업 정부지원 전략과제 및 핵심기술 개발 전략 443
1) 풍력발전 핵심부품 경쟁력 강화 443
(1) 전략과제 대상 443
(2) 전략과제 Target 444
(3) 핵심기술 446
(4) 산업생태계분석 447
(5) 시장진입전략 449
(6) 정책제안 451
2) 초대형 해상풍력 기술개발 및 실증 451
(1) 대상정의 451
(2) 전략과제 Target 452
(3) 핵심기술 454
(4) 산업생태계 분석 455
(5) 시장진입전략 457
(6) 정책제안 458
3)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개발 및 실증 459
(1) 대상정의 459
(2) 전략과제 Target 459
(3) 핵심기술 461
(4) 산업생태계 분석 463
(5) 시장진입전략 466
(6) 정책제안 468
4) 환경 친화적 풍력단지 개발 및 보급 확산 469
(1) 대상정의 469
(2) 전략과제 Target 471
(3) 핵심기술 473
(4) 산업생태계 분석 477
(5) 시장진입전략 482
(6) 정책제안 484
2-9. 풍력 전략과제 로드맵을 통한 기대효과 486

3. 수소·연료전지 487
3-1.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정의 및 주요기술범위 487
1) 수소·연료전지 분야 정의 487
2) 수소ㆍ 연료전지 기술로드맵 주요기술 범위 487
(1) 미국 488
(2) 독일 489
(3) 일본 489
(4) 중국 489
(5) 호주 490
3-2. 국내 수소·연료전지 정책동향 491
3-3. 국내·외 수소·연료전지 기술동향 493
3-4. 국내·외 수소시장 동향 및 전망 496
1) 해외 수소시장 동향 및 전망 496
2) 국내 수소시장 동향 497
3-5. 국내 수소산업 경쟁력분석 501
1) 국내 수소산업 생태계 현황 501
2) 국내 수소산업 경쟁력진단 505
3) 수소ㆍ연료전지 분야 기술개발 이슈 및 해결방안 505
(1) 국내 수소·연료전지 분야 기술개발 이슈 505
(2) 국내 수소ㆍ연료전지 분야 기술개발 해결방안 506
3-6. 국내 수소ㆍ연료전지 정부지원 전략과제와 핵심기술 개발 전략 507
1) 수소생산기술 507
(1) 대상정의 507
(2) 전략과제 Target 507
(3) 국내 수소생산 핵심기술 509
(4) 산업생태계분석 510
(5) 국내ㆍ외 수소생산 주요 업체동향 511
(6) 시장진입전략 512
(7) 정책제안 512
2) 수소운송기술 513
(1) 대상정의 513
(2) 전략과제 Target 515
(3) 국내 수소운송 핵심기술 516
(4) 산업생태계분석 518
(5) 국?내외 수소운송 주요 업체동향 518
(6) 시장진입전략 519
(7) 정책제안 520
3) 수소저장기술 520
(1) 대상정의 520
(2) 전략과제 Target 523
(3) 국내 수소저장 핵심기술 526
(4) 산업생태계분석 528
(5) 시장진입전략 532
(6) 정책제안 532
4) 수소안전기술 533
(1) 대상정의 533
(2) 전략과제 Target 534
(3) 국내 수소안전기술 핵심기술 535
(4) 산업생태계분석 537
(5) 국내ㆍ외 수소안전기술 주요업체동향 538
(6) 시장진입전략 538
(7) 정책제안 539
5) 수소 융ㆍ복합기술 539
(1) 대상정의 539
(2) 전략과제 Target 540
(3) 국내 수소 융ㆍ복합 핵심기술 542
(4) 산업생태계분석 543
(5) 국내ㆍ외 수소 융ㆍ복합기술 주요 업체동향 544
(6) 시장진입전략 544
(7) 정책제안 545
6) 수소 발전기술 545
(1) 대상정의 545
(2) 전략과제 Target 547
(3) 국내 수소발전 핵심기술 552
(4) 산업생태계분석 554
(5) 국내ㆍ외 주택ㆍ건물용 연료전지 주요 업체동향 557
(6) 시장진입전략 557
(7) 정책제안 560
7) 수소 이용기술 다변화 561
(1) 대상정의 561
(2) 전략과제 Target 561
(3) 국내 수소이용기술 다변화 핵심기술 563
(4) 산업생태계분석 565
(5) 시장진입전략 566
(6) 정책제안 567
3-7. 수소·연료전지 로드맵을 통한 기대효과 568

4. 에너지신소재 569
4-1. 에너지신소재 분야의 정의 및 주요기술범위 569
1) 에너지신소재 분야 정의 569
2) 에너지신소재 기술로드맵 주요기술 범위 569
4-2. 국내·외 에너지신소재 기술 및 정책동향 571
1) 에너지신소재 분야별 국내ㆍ외 기술동향 571
(1) 태양전지 분야 571
(2) 이차전지 분야 572
(3) 수소에너지 분야 572
(4) 고효율 에너지 플랜트 분야 574
(5) 원자력 발전 분야 575
(6) 전력반도체 분야 575
(7) 3D 프린팅 분야 576
2) 해외 에너지신소재 정책동향 578
(1) 태양전지 분야 578
(2) 이차전지 분야 578
(3) 수소에너지 분야 579
(4) 고효율 에너지 플랜트 분야 579
(5) 원자력 발전 분야 579
(6) 전력반도체 분야 579
(7) 3D 프린팅 분야 580
3) 국내 에너지신소재 정책동향 580
4-3. 국내·외 에너지신소재분야 시장동향 및 전망 584
1) 세계 에너지신소재 시장동향 및 전망 584
(1) 태양전지 분야 584
(2) 이차전지 분야 584
(3) 수소에너지 분야 585
(4) 고효율 에너지 플랜트 분야 587
(5) 원자력 발전 분야 588
(6) 전력반도체 분야 588
(7) 3D 프린팅 분야 590
2) 국내 에너지신소재 시장동향 및 전망 591
(1) 태양전지 분야 591
(2) 이차전지 분야 591
(3) 수소에너지 분야 592
(4) 고효율 에너지 플랜트 분야 592
(5) 원자력 발전 분야 593
(6) 전력반도체 분야 593
(7) 3D 프린팅 분야 595
4-4. 에너지신소재 정부지원 전략과제 및 핵심기술 개발 전략 597
1) 친환경/고안정성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 597
(1) 선정배경 597
(2) 니즈 597
(3) 대상정의 597
(4) 전략과제 Target 598
(5) 핵심기술 601
(6) 산업생태계 분석 603
(7) 주요기업별 업체동향 605
(8) 시장진입전략 607
(9) 정책제안 608
2) 고에너지밀도/고안정성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기술 609
(1) 선정배경 609
(2) 니즈 609
(3) 대상정의 609
(4) 전략과제 Target 610
(5) 핵심기술 612
(6) 산업생태계 분석 614
(7) 주요기업별 업체동향 615
(8) 시장진입전략 615
(9) 정책제안 616
3) 수소에너지기반 소재의 고내구화/고효율화 기술 617
(1) 선정배경 617
(2) 니즈 617
(3) 대상정의 617
(4) 전략과제 Target 618
(5) 핵심기술 619
(6) 산업생태계 분석 623
(7) 주요기업별 업체동향 626
(8) 시장진입전략 628
(9) 정책제안 629
4) 고효율 에너지 플랜트용 고성능 소재 기술 629
(1) 선정배경 629
(2) 니즈 629
(3) 대상정의 630
(4) 전략과제 Target 631
(5) 핵심기술 633
(6) 산업생태계 분석 636
(7) 주요기업별 업체동향 638
(8) 시장진입전략 639
(9) 정책제안 640
5) 원자력 안정성 강화를 위한 신소재 641
(1) 선정배경 641
(2) 니즈 641
(3) 대상정의 641
(4) 전략과제 Target 642
(5) 핵심기술 643
(6) 산업생태계 분석 644
(7) 주요기업별 업체동향 646
(8) 시장진입전략 646
(9) 정책제안 648
6) 저가격/고효율 WBG 전력반도체 기술 648
(1) 선정배경 648
(2) 니즈 648
(3) 대상정의 648
(4) 전략과제 Target 649
(5) 핵심기술 650
(6) 산업생태계 분석 652
(7) 시장진입전략 653
(8) 정책제안 654
7) 3D 프린팅기반 에너지 산업용 핵심 복합 소재 654
(1) 선정배경 654
(2) 니즈 654
(3) 대상정의 655
(4) 전략과제 Target 655
(5) 핵심부품 657
(6) 산업생태계 분석 660
(7) 주요 기업별 업체동향 664
(8) 시장진입전략 664
(9) 정책제안 666
8) 기대효과 66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