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요소의 종류
1. 체결용 요소 : 나사, 키, 핀, 코터, 리벳, 용접
2. 축계 요소 : 축, 베어링, 축이음(커플링, 클러치)
3. 동력전달용 요소 : 마찰차, 기어, 벨트, 체인, 로프
4. 운동조정용 요소 : 브레이크, 플라이 휠, 스프링
5. 관 및 관이음 요소
◆ 기계도면
1. 동력전달장치
2. 편심구동장치
3. V-벨트전동장치
4. 치공구장치
기계를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위에서 분류된 기계요소의 원리, 역학적인 이론 등을 잘 알아야 하고 또한 실무 경험을 갖고 있어야 가능하다. 일반기계기사를 취득하게 되면 기계설계를 할 수 있는 기본을 갖춘 것으로 생각해도 좋다. 2009년부터 2차 실기 시험은 필답형 50%, 작업형(2D&3D) 50%로 구성된다.
2차 실기 시험의 합격은 필답형에서 30점 이상, 작업형 30점 이상 등 기본 몇 점을 받느냐가 중요하다. 경험적으로 보면 적어도 50점 중 30점 이상은 받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점수를 받는데 있어서 답안지 작성시 실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필답형은 주관식으로 답안지 작성 시 실수하지 않도록 충분히 다음과 같은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연습이 있어야 한다.
작업형은 2D 도면과 3D 도면을 출력 제출하여야 채점에 들어가는 만큼 주어진 시간에 도면을 최대한 완성하여 출력 제출을 목표로 마무리하는 연습이 있어야만 한다. 감점을 받더라도 반드시 시간 내 완성 도면을 출력해야 함을 말씀드리고 싶다.
마지막으로 시험장에 들어가서 문제지를 받으면 시험지의 이상 유무(有無)를 반드시 확인하고, 수검자 유의사항들을 꼼꼼히 읽어 본 다음 차분하게 문제를 풀어 답안을 작성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