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원시 사회의 해체와 국가의 형성
1. 한국사의 바른 이해
Theme 001 역사의 의미와 학습 목적012
2. 원시 생활과 도구의 사용
Theme 002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015
Theme 003 석기 시대의 비교024
Theme 004 청동기 시대028
Theme 005 철기 시대033
Theme 006 선사 시대의 비교035
3.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Theme 007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039
Theme 008 위만 집권 이후의 고조선044
Theme 009 여러 나라의 성장048
II. 전근대사 - 정치
4. 삼국의 성립과 발전
Theme 010 고구려066
Theme 011 광개토 대왕070
Theme 012 백제073
Theme 013 근초고왕078
Theme 014 신라080
Theme 015 지증왕084
Theme 016 법흥왕086
Theme 017 가야088
Theme 018 삼국의 정치적 발전과 항쟁090
Theme 019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106
5.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Theme 020 신라 중대110
Theme 021 신문왕의 업적113
Theme 022 신라 하대115
Theme 023 발해의 건국과 발전119
Theme 024 남북국 시대129
6. 후삼국의 통일과 통치 체제의 정비
Theme 025 후삼국 시대132
Theme 026 고려 통치 체제의 정비 - 태조135
Theme 027 고려 통치 체제의 정비 - 광종138
Theme 028 고려 통치 체제의 정비 - 성종143
Theme 029 고려 초의 왕권 강화책149
Theme 030 고려의 중앙 통치 체제151
Theme 031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156
Theme 032 고려의 교육 기관 및 관리 등용 제도158
7. 고려 정치사의 전개
Theme 033 문벌귀족 사회의 동요162
Theme 034 무신 정권의 성립164
Theme 035 고려 이민족의 침입170
Theme 036 거란의 침입175
Theme 037 몽골의 침입178
Theme 038 원의 간섭과 고려의 정치 변동181
Theme 039 공민왕187
Theme 040 신흥 세력의 성장192
8.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Theme 041 초기 체제 정비 과정195
Theme 042 중앙 · 지방 제도206
Theme 043 군사 제도213
Theme 044 교육 및 관리 등용 제도215
Theme 045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변화220
9. 조선 후기 정치사의 전개
Theme 046 사림의 등장224
Theme 047 광해군228
Theme 048 사화의 발생230
Theme 049 붕당 정치의 전개233
Theme 050 영조240
Theme 051 정조246
Theme 052 영조와 정조253
Theme 053 세도정치255
10. 조선의 대외 관계
Theme 054 조선의 대외 관계257
Theme 055 왜란263
Theme 056 호란268
III. 전근대사 - 경제
11. 토지 제도·조세 제도
Theme 057 고대~통일 신라의 토지 제도274
Theme 058 민정문서277
Theme 059 고려의 토지 제도282
Theme 060 조선의 토지 제도289
Theme 061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295
Theme 062 조선의 조세 제도 - 대동법299
Theme 063 조선의 조세 제도 - 균역법305
12. 고대·고려의 경제
Theme 064 삼국~남북국 시대의 경제309
Theme 065 고려의 경제312
Theme 066 고려의 대외무역316
13. 조선의 경제
Theme 067 조선 전기의 경제318
Theme 068 조선 후기 농업의 발전과 농민층의 분화321
Theme 069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324
IV. 전근대사 - 사회
14. 고대 · 고려의 사회
Theme 070 삼국의 사회332
Theme 071 남북국 시대의 사회335
Theme 072 고려의 사회 - 신분 제도339
Theme 073 고려의 사회 - 중류층341
Theme 074 고려의 사회 - 양민345
Theme 075 고려의 사회 - 천민347
Theme 076 고려의 사회 - 가족 제도349
Theme 077 고려의 사회 - 사회 시책 및 법률352
15. 조선의 사회
Theme 078 조선의 신분 제도355
Theme 079 조선의 사회 정책과 제도357
Theme 080 조선의 향촌 사회의 모습360
Theme 081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366
Theme 082 조선 후기 향촌 질서의 변화371
Theme 083 조선 후기 새로운 사회를 위한 노력373
V. 전근대사 - 문화
16. 사상사
Theme 084 삼국 시대의 불교378
Theme 085 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 - 원효380
Theme 086 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 - 의상384
Theme 087 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 및 승려386
Theme 088 고려 시대의 숭불 정책390
Theme 089 고려 시대의 승려 - 의천392
Theme 090 고려 시대의 승려 - 지눌394
Theme 091 고려 시대의 불교 및 승려397
Theme 092 도교와 풍수지리403
Theme 093 고대~통일 신라 시대의 유교405
Theme 094 고려 시대의 유교408
Theme 095 조선 전기 성리학의 발달411
Theme 096 조선 시대 성리학의 교조화 - 호락논쟁419
Theme 097 조선 후기의 실학 - 농업 중심의 개혁론422
Theme 098 조선 후기의 실학 - 상공업 중심의 개혁론426
Theme 099 조선 후기 실학의 발달430
Theme 100 서학435
17. 유형 문화
Theme 101 문화재 - 고대의 고분과 고분 벽화438
Theme 102 고대의 문화재445
Theme 103 문화재 - 고려 시대의 탑, 건축, 불상, 공예453
Theme 104 문화재 - 고려~조선 시대의 회화, 서예, 음악, 문학458
Theme 105 조선 후기의 문화462
Theme 106 과학 기술의 발달 - 삼국 시대~고려 시대464
Theme 107 과학 기술의 발달 - 조선 시대469
Theme 108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472
Theme 109 서적 편찬 - 삼국~남북국 시대474
Theme 110 서적 편찬 - 고려 시대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477
Theme 111 서적 편찬 - 조선 시대의 역사서483
Theme 112 서적 편찬 - 세종의 편찬 업적491
Theme 113 서적 편찬 - 농서496
Theme 114 서적 편찬 - 법전, 윤리 및 의례서499
Theme 115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501
VI. 근 · 현대사 - 근대
18. 흥선 대원군의 개혁과 개화 정책
Theme 116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506
Theme 117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양요509
Theme 118 강화도 조약512
Theme 119 개항과 개화 정책516
Theme 120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520
Theme 121 임오군란523
19.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Theme 122 갑신정변525
Theme 123 동학 농민 운동과 청 · 일 전쟁530
Theme 124 갑오개혁과 을미개혁536
Theme 125 독립 협회542
Theme 126 대한 제국의 수립546
Theme 127 간도와 독도553
20. 국권 피탈과 저항
Theme 128 국권의 피탈557
Theme 129 항일 의병 투쟁의 전개561
Theme 130 애국 계몽 운동의 여러 단체565
Theme 131 애국 계몽 운동 - 신민회568
21. 경제적 침탈과 저항
Theme 132 미곡 유출, 상권 침탈과 이권 침탈571
Theme 133 토지 · 금융의 침탈574
22. 사회 · 문화의 변화
Theme 134 근대 시설의 확충577
Theme 135 언론의 발달580
Theme 136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종교 · 문화계의 변화586
VII. 근 · 현대사 - 일제강점기
23.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
Theme 137 1910년대의 통치 체제590
Theme 138 1920년대의 통치 체제596
Theme 139 1930년대의 통치 체제601
24.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Theme 140 1910년대 국내의 민족 독립 운동606
Theme 141 1910년대 국외의 민족 독립 운동609
Theme 142 3 · 1 운동611
Theme 143 대한민국 임시 정부614
Theme 144 국내의 만세 운동620
Theme 145 1920년대 국내외의 무장 투쟁623
Theme 146 의열단 · 한인 애국단626
Theme 147 1930년대 이후의 국외 무장 투쟁632
Theme 148 한국 광복군636
25. 사회 · 경제적 민족 운동
Theme 149 실력 양성 운동639
Theme 150 민족 유일당 운동642
Theme 151 다양한 사회 운동646
26. 민족 문화 수호 운동
Theme 152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650
Theme 153 일제 강점기의 국학 연구653
Theme 154 민족주의 사학 - 박은식657
Theme 155 민족주의 사학 - 신채호659
Theme 156 일제 강점기의 종교 · 문학 · 예술계의 변화661
VIII. 근 · 현대사 - 현대
27. 광복과 분단
Theme 157 국제 연합과 냉전 체제666
Theme 158 건국 준비와 모스크바 3상 회의668
Theme 159 대한민국 정부 수립672
28.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Theme 160 제1공화국682
Theme 161 4 · 19 혁명688
Theme 162 5 · 16 군사 정변과 제3공화국691
Theme 163 제4공화국과 유신 헌법694
Theme 164 제5공화국과 6월 민주 항쟁697
Theme 165 민주화의 진전700
29. 남북 관계의 진전
Theme 166 냉전과 남북 대화의 시작 : 1950~1970년대703
Theme 167 남북 대화의 진전과 통일논의 : 1980년대 이후706
30. 현대의 경제 · 사회 · 문화
Theme 168 정부 수립 전후의 경제 상황716
Theme 169 경제 개발 5개년 계획과 이후의 경제 변동720
Theme 170 현대의 사회 문화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