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1. 아비와 상련으로 인한 고소 11
2. ‘아차!’ 실수하여 아차산 21
3. 어디 열쇠 좀 맞추어 봅시다. 31
4. 언제 외조할미 콩죽으로 살았나? 42
5. 얼씨고 절씨고 지화자 졸씨고... 52
6. 연적 같은 젖통이도 씻어 보고... 62
7. 오리 밖의 십리 나무 73
8. 오매지상(烏梅之上)이오, 초병 마개오 84
9. 오자서는 동문 상에 눈을 걸고 94
10. 오줌 찔끔 지린내장 104
11. 이가 문 덕에 태어난 아이 114
12. 이번 내기에 자네 지네. 124
13. 이 술 한 잔 잡수, 진주장(晉州場) 135
14. 일신이 사자 하니 물것 겨워 못 견딜쇠. 145
15. 장다리는 한 철이나, 미나리는 사철이다. 155
16. 장사를 하려거든 끝이 벌어지게 해야지? 165
17. 저는 단지째 바치겠습니다. 176
18. 조반천호(朝飯千戶)가 조반을 못 짓는다니... 187
19. 조 포수 일약 중진의 반열에 오르다. 197
20. 진실하고 풍류가 있는 인생 208
21. 차라리 몰랐으면 뉘가 뉜 줄 몰랐을 걸... 219
22. 춘향이 집 가는 길 같다. 229
23. 푸른 산 그림자 속에 사슴이 알을 품고 239
24. 한국 사(私)교육, 어린이 사(死)교육 250
25. 한놈, 두식이, 석삼, 너구리... 262
26. 헌 누더기 이 첨지 273
27. 헌 망건을 물렛줄로 얽어 쓰고... 284
28. 형님 댁에 갔다 보리나 타게? 296
29. 화살이 아슬아슬 빗나갔습니다. 306
에필로그_곁말 기행을 마치며 317
1. 곁말의 의미와 용례 확인 317
2. 곁말 사용의 효용성 330
색인_곁말의 용례와 예화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