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다쿠보 유키노리 _5
책머리에 / 정성여·이정민 _8
서론 / 정성여·이정민 _16
단어 인정 기준과 의미에 대하여 / 치다 ?타로
1. 들어가는 말 _31
2. 단어와 의미 _32
3. 형식 구조와 의미 구조 _48
4. 한국어의 동사 연결 구성 _58
5. 마무리 _65
척도상의 함축: 무엇이 문제인가? / 이정민
1. 척도와 척도적 추론(Scales and Scalar Reasoning) _69
2. 척도에 관한 쟁점 _77
3. Only/Exh 연산자의 문제점 및 양보적 접속(PA) 대 거부적 대조 접속(SN) _99
4. 총칭적(generic) 믿음 등의 부인에 따른 함축은? 역시 척도적인가? _101
5. 척도 추론과 관련된 심리학 실험들 _104
6. 맺기 _105
직접사동과 간접사동, 무엇이 문제였나?
새로운 이론적 모형의 제안을 위하여 / 정성여
1. 첫머리 _113
2. 직접사동과 간접사동의 쟁점 _116
3. 수반사동(Sociative causation)의 도입과 사동의 연속성 _121
4. 문제점: 사동상황과 사동표현의 불일치 _123
5. 제안: 개체모형과 사회모형의 도입 _130
6. 수반사동과 사회모형의 관계 _134
7. 어떻게 개념화되나? _138
8. 끝머리: 30여년 전을 되돌아보며 _144
한국어 시상구문의 문법화
“-고 있”과 “-어 있”의 통시적 발달을 중심으로 / 김민주
1. 첫머리 _151
2. 한국어 “-었”, “-어 있”, “-고 있”의 발달과정 _153
3. 중세국어 “-어 잇/이시”의 두 가지 기능 _156
4. “-어 잇/이시”와 “-고 잇/이시”의 역사적 교체 _162
5. 타동성에 의한 양분화 _168
6. 넓은 의미의 재귀 타동사들 _175
7. 비교 언어학적으로 본 완료형과 미완형의 접합점 _176
8. 통사적 제한의 생성 _177
9. 끝머리 _180
현대 한국어의 상형식 <-고 있->과 <-어 있->의 의미분석
일본어 <-te iru>와의 비교의 관점에서 / 김경애
1. 들어가는 말 _185
2. 상 연구의 흐름 _189
3. 한국어의 <-고 있->과 <-어 있->에 대하여 _195
4. 마무리 _219
담화에 도입된 지시대상의 지시 우선순위에 관하여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 / 김선미
1. 들어가기 _225
2. 현장지시의 정의 _226
3. 문맥지시의 정의 _227
4. 관념지시의 정의 _228
5. コ·ソ·ア와 이·그·저가 가리키는 정보의 담화모델 내의 등록영역과 지시의 우선순위 _235
6. 정리하기 _244
현대 일본어의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류에 관하여
한국어, 중국어, 영어와의 차이를 통하여 / 다쿠보 유키노리
1. 들어가기 _247
2. 일본어와 중국어, 한국어, 영어의 ‘장소’의 파악 방식 _250
3. 일본어의 ‘장소’ 명사 _257
4. 상대명사(相對名詞)와 장소화의 접사 _264
5. 부분화에 대해서 _280
6. 끝맺음 _287
<역자해설> 김선미(金善美, 宮崎大學) _289
일본어 공손법 의 한국어 기원에 대하여
새로운 은유화이론의 시각에서 / 김현옥
1. 머리말 _293
2. 기본 이론 틀과 작업가설의 설정 _294
3. 경어법을 지배하는 원리와 수반제약으로 예측할 수 있는 사항 _297
4. 의 기원을 찾아서 _305
5. 뜻하지 아니한 부산물들 _334
6. 마무리 _343
한국인 학습자에 의한 일본어 파열음의 청취 및 발음 경향
학습 전후의 비교를 통해 본 특징
/ 박서경·쓰보타 야스시·단쓰지 마사타케·오키 미쓰루
1. 머리말 _351
2. 선행 연구 _352
3.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자의 청취 및 발음의 변화 양상 _355
4. 한국인 학습자에 의한 일본어 어두파열음의 운용상의 특징 _365
5. 맺음말 _376
찾아보기 _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