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Ⅰ 총론
CHAPTER 01 미생물학 입문
1 미생물의 개요 5
1. 미생물의 정의 5
2. 미생물의 생물학적 위치 5
1) 분류 5
2) 분류체계 8
2 미생물의 역사 9
1. 미생물학의 영역과 의의 9
1) 미생물학의 영역 9
2) 의학미생물학 9
3) 미생물학의 의의 10
2. 미생물학의 변천과정 10
1) 감염병학의 기원 10
2) 미생물의 발견 11
3) 현대 미생물학의 기초 11
4) 예방의학의 시작 13
5) 면역학의 확립 13
■ 확인문제 15
CHAPTER 02 미생물의 일반적인 특성
제1절 세균 19
1 세균의 분류 19
1. 명명법 19
2. 분류 20
2 세균의 형태와 구조 20
1. 크기와 형태 20
2. 구조와 기능 21
1) 세포벽 22
2) 세포질 23
3) 협막 23
4) 편모 24
5) 섬모 25
6) 아포 25
3. 관찰방법 26
1) 광학현미경에 의한 관찰 26
2)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29
3 세균의 증식 30
1. 영양 30
2. 세균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 31
1) 수분 31
2) 온도 31
3) 수소이온농도 32
4) 삼투압 32
5) 산소와 이산화탄소 32
3. 배양 33
1) 배지 33
2) 배양법 34
3) 증식곡선 34
4 세균의 대사 36
1. 분해대사 36
2. 합성대사 37
5 세균의 유전 37
1. 유전체 38
1) 염색체 38
2) 플라스미드 38
2. 변이 38
3. 유전자의 전달 39
1) 접합 39
2) 형질도입 40
3) 형질전환 41
6 세균의 병원성 42
1. 정착인자 42
2. 침입인자 43
3. 독성인자 44
1) 내독소 44
2) 외독소 45
제2절 바이러스 46
1 바이러스의 특징 46
2 바이러스의 분류 47
3 바이러스의 형태와 구조 49
1. 크기와 형태 49
2. 구조와 기능 49
1) 핵산 51
2) 캡시드 51
3) 외피 51
4 바이러스의 증식 52
1. 배양 52
1) 실험동물 52
2) 부화달걀 52
3) 배양세포 52
2. 증식과정 53
1) 흡착 53
2) 침입 54
3) 탈각 54
4) 소재의 합성 54
5) 입자형성 54
6) 출아와 방출 55
3. 증식속도 55
5 바이러스의 유전 56
1. 유전적 재조합 56
2. 유전적 재활성화 56
3. 돌연변이 57
1) 숙주범위변이 57
2) 약독변이 57
3) 조건치사변이 57
4) 항원변이 57
5) 약제내성변이 58
6 바이러스의 병원성 58
1. 병원성과 독력 58
2. 감염 세포의 변화 58
3. 감염 확산 59
1) 국소감염 59
2) 전신감염 59
4. 감염 유지 60
1) 잠복감염 60
2) 지속감염 60
제3절 진균 및 원충 61
1 진균 61
1. 진균의 분류 61
1) 명명법 61
2) 분류 61
2. 진균의 형태와 구조 63
1) 형태 63
2) 구조와 기능 65
3. 진균의 증식 66
1) 유성생식 67
2) 무성생식 68
4. 진균의 대사 69
1) 영양 69
2) 배양 69
3) 대사 69
5. 진균의 병원성 69
1) 협막 69
2) 진균독소 70
3) 소수성 물질 70
4) 두형태성 70
5) 효소 71
6) 멜라닌 71
2 원충 71
1. 원충의 특징 71
2. 원충의 분류 72
1) 근족충류 73
2) 편모충류 73
3) 포자충류 73
4) 섬모충류 73
5) 미포자충류 73
3. 원충의 형태와 구조 74
1) 세포외피 74
2) 세포질 74
4. 원충의 증식 74
■ 확인문제 75
CHAPTER 03 감염과 감염병
1 감염의 성립 81
1. 감염원 81
2. 감염경로 81
1) 수평감염 82
2) 수직감염 84
3. 병원성 미생물과 숙주의 상호관계 84
2 감염과 발병 85
1. 건강한 사람의 감염 86
2. 면역저하숙주의 감염 87
3 감염의 경과 88
1. 급성 감염병 89
2. 만성 감염병 89
3. 보균자의 감염 경과 90
■ 확인문제 91
CHAPTER 04 면역
1 면역계통의 개요 95
1. 면역의 정의 95
1) 1차 생체방어기전 95
2) 2차 생체방어기전 95
3) 3차 생체방어기전 96
2. 면역반응 96
1) 선천면역의 작동 97
2) 후천면역의 작동 97
3. 면역세포의 종류 97
1) 포식세포 98
2) 과립(백혈)구 99
3) 림프구 99
2 선천면역 100
1. 물리적 방어인자 100
2. 체액성 방어인자 101
1) 보체 101
2) 항균물질 102
3) 인터페론 103
3. 세포성 방어인자 103
1) 포식세포 103
2) NK세포, NKT세포 104
3 후천면역 105
1. 항원수용체와 항체의 구조 105
1) B세포수용체 106
2) 항체 106
3) T세포수용체 107
2. 면역기억 108
4 면역계통의 병리와 응용 108
1. 면역결핍증 108
1) 선천면역결핍증 109
2) 후천면역결핍증 109
2. 과민반응 109
1) I형 과민반응 110
2) II형 과민반응 110
3) III형 과민반응 111
4) IV형 과민반응 111
3. 자가면역질환 112
4. 이식면역과 종양면역 113
1) 이식면역 113
2) 종양면역 114
■ 확인문제 115
CHAPTER 05 미생물학적 검사
1 법정감염병의 분류와 검사 흐름 121
1. 법정감염병의 분류 121
1) 제1급 감염병 121
2) 제2급 감염병 122
3) 제3급 감염병 122
4) 제4급 감염병 122
2. 감염병 병원체 확인기관과 역할 123
1) 감염병 병원체 확인기관 123
2) 감염병 병원체 확인기관의 역할 123
3. 법정감염병의 검사의뢰 124
1) 온라인 검사의뢰 124
2) 오프라인 검사의뢰 124
2 미생물학적 검사 125
1. 세균 감염병의 진단 125
1) 분리와 동정 125
2) 생화학적 검사 126
3) 면역학적 검사 126
4) 분자생물학적 검사 128
2. 바이러스 감염병의 진단 129
1) 검체 채취 129
2) 바이러스검출법 132
3. 진균 감염병의 진단 135
1) 직접현미경검사 135
2) 배양검사 136
3) 병리진단법 137
4) 보조진단법 137
4. 원충 감염병의 진단 137
■ 확인문제 138
CHAPTER 06 항미생물제와 예방접종
1 화학요법의 개념 143
2 항균제 143
1. 항균제의 특성 143
1) 선택독성 143
2) 정균작용과 살균작용 143
3) 항균범위 144
4) 장기쏠림성 145
2. 약물감수성 145
1) 원반법 145
2) 희석법 146
3. 항균제 내성 146
4. 항균제 부작용 149
1) 장기장애 149
2) 중복감염 149
3) 약물알레르기 149
5. 항균제의 종류 150
1) 세포벽에 작용하는 약물 150
2) 세포막에 작용하는 약물 150
3) 핵산 합성에 작용하는 약물 151
4) 단백질 합성에 작용하는 약물 151
5) 엽산 대사억제에 작용하는 약물 151
3 항바이러스제 152
1. 항바이러스제의 발전 152
2. 약물내성 바이러스 152
3. 항바이러스제의 종류 152
1) 항헤르페스바이러스제 153
2) 항HIV제 154
3)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제 154
4) 항간염바이러스제 155
4 항진균제와 항원충제 156
1. 항진균제 156
1) 폴리엔 계열 156
2) 아졸 계열 157
3) 캔딘 계열 157
2. 항원충제 157
5 예방접종 158
1. 예방접종의 정의 158
2. 예방접종의 분류 158
1) 필수예방접종 158
2) 국가예방접종 159
3) 기타 예방접종 160
3.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160
4. 예방접종의 금기사항과 주의사항 160
5.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161
■ 확인문제 163
CHAPTER 07 의료관련감염과 감염관리
1 의료관련감염의 개요 167
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167
2. 의료관련감염의 위험성 167
3. 의료관련감염의 전파경로와 감염관리 169
1) 의료관련감염의 전파경로 169
2) 감염관리를 위한 손위생 169
4. 의료관련감염 정책 현황 170
1) 의료관련감염병의 법률 지정 170
2)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의 운영 170
3) 감염 예방 활동의 강화 171
2 감염관리를 위한 기본지침 171
1. 개인위생 171
1) 손위생 171
2) 개인보호구 173
3) 무균술 177
2. 환경위생 179
1) 의료기관의 환경관리 179
2) 특수 미생물별 환경관리 181
3) 의료기관의 물품관리 182
3.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 182
1) 표준주의 183
2) 접촉주의 184
3) 비말주의 185
4) 공기주의 186
5) 보호환경 188
4. 의료종사자의 감염관리 190
■ 확인문제 191
CHAPTER 08 소독과 멸균
1 감염 예방의 개념 195
2 세척 195
1) 일반적 주의사항 196
2) 기계세척 시의 주의사항 196
3 소독 197
1. 소독의 정의 197
2. 소독의 실제 197
1) 미생물의 종류에 따른 소독 197
2) 적용 대상에 따른 소독 199
3) 소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200
3. 소독방법 201
1) 물리적 소독방법 201
2) 화학적 소독방법(소독제) 202
4 멸균 206
1. 멸균의 정의 206
2. 멸균방법 206
1) 가열에 의한 멸균방법 206
2) 가스에 의한 멸균방법 207
3) 방사선조사에 의한 멸균방법 208
3. 멸균 모니터링 208
1) 물리적 확인 209
2) 화학적 확인 209
3) 생물학적 확인 210
4. 멸균 기구의 보관 211
■ 확인문제 212
PART Ⅱ 각론
CHAPTER 09 병원성 세균
1 그람양성 알균 219
1. 포도알균속 219
2. 사슬알균속 223
1) A군 사슬알균 224
2) B군 사슬알균 226
3) 폐렴사슬알균 227
3. 장알균속 228
2 그람양성 막대균 229
1. 클로스트리듐속 229
1) 파상풍균 229
2) 보툴리누스균 231
3) 가스괴저균 232
4) 디피실균 233
2. 마이코박테륨속 235
1) 결핵균 235
2) 한센병균 239
3. 바퀴살균 240
1) 액티노마이세스속 240
2) 노카르디아속 241
4. 코리네박테륨속 243
1) 디프테리아균 243
5. 바실루스속 244
1) 탄저균 245
2) 세레우스균 246
3) 고초균 247
6. 리스테리아속 247
7. 프로피오니박테륨속 248
8. 비피도박테륨속 249
9. 락토바실루스속 249
3 그람음성 알균 250
1. 나이세리아속 250
1) 임균 251
2) 수막염균 252
2. 베이요넬라속 254
4 그람음성 막대균 254
1. 장내세균과 254
1) 대장균속 254
2) 살모넬라속 257
3) 시겔라속 259
4) 클레브시엘라속 261
5) 예르시니아속 261
6) 엔테로박터속 262
7) 시트로박터속 262
8) 프로테우스속 263
9) 세라시아속 263
2. 비브리오속 264
1) 콜레라균 264
2) 장염비브리오균 265
3. 에어로모나스속 267
4. 헤모필루스속 268
1) 인플루엔자균 268
2) 연성하감균 269
5. 캄필로박터속 269
1) 캄필로박터 제주니 270
2) 캄필로박터 피터스 271
6. 헬리코박터속 271
1) 위나선균 271
7. 슈도모나스속 273
1) 녹농균 273
2) 형광균 275
8. 레지오넬라속 275
9. 콕시엘라속 277
10. 보르데텔라속 278
1) 백일해균 278
2) 파라백일해균과 기관지패혈증균 279
11. 브루셀라속 279
12. 박테로이데스속 280
13. 푸소박테륨속 281
5 스피로헤타 282
1. 트레포네마속 282
1) 매독균 282
2. 보렐리아속 284
1) 재귀열보렐리아 284
2) 라임병보렐리아 285
3. 렙토스피라속 286
6 마이코플라즈마, 리케차, 클라미디아 288
1. 마이코플라즈마 288
1) 폐렴마이코플라즈마 289
2) 기타 마이코플라즈마 290
2. 리케차 291
1) 발진티푸스 리케차 292
2) 발진열 리케차 292
3) 홍반열 리케차 292
4)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 293
3. 클라미디아 293
1) 트라코마 클라미디아 295
2) 폐렴클라미디아 295
3) 앵무새병 클라미디아 295
■ 확인문제 296
CHAPTER 10 병원성 바이러스
1 DNA 바이러스 301
1. 아데노바이러스과 301
2. 헤르페스바이러스과 302
1)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I형·2형 303
2)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304
3) 거대세포바이러스 305
4) 엡스타인바바이러스 306
5) 사람헤르페스바이러스 6A·6B·7 307
6) 사람헤르페스바이러스 8 308
3. 헤파드나바이러스과 308
1) B형 간염바이러스 308
4. 파포바바이러스과 311
1) 사람유두종바이러스 311
5. 파르보바이러스과 312
1) 사람파르보바이러스 B19 312
2) 사람보카바이러스 314
6. 폭스바이러스과 314
1) 두창바이러스 315
2) 전염물렁종바이러스 316
3) 백시니아바이러스 317
4) 원숭이두창바이러스 317
2 RNA 바이러스 318
1. 아레나바이러스과 318
1) 라사바이러스 318
2)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 318
3)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군 319
2. 분야바이러스과 319
1) 한타바이러스속 320
2) 곤충매개성 분야바이러스 321
3. 칼리시바이러스과 322
1) 노로바이러스와 사포바이러스 322
4. 코로나바이러스과 323
1) 사람코로나바이러스 324
2) SARS 코로나바이러스 324
3) MERS 코로나바이러스 325
4) SARS 코로나바이러스 2 326
5. 필로바이러스과 327
1) 마버그바이러스와 에볼라바이러스 327
6. 플라비바이러스과 328
1) 뎅기바이러스 329
2) 황열바이러스 330
3) 일본뇌염바이러스 330
4) 지카바이러스 331
5) C형 간염바이러스 332
7.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334
1) 인플루엔자바이러스 335
8. 파라믹소바이러스과 337
1) 홍역바이러스 338
2) 멈프스바이러스 340
3) 사람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341
4) 사람RS바이러스 341
5)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342
9. 피코르나바이러스과 343
1) 폴리오바이러스 344
2) 콕사키바이러스 345
3) 에코바이러스 347
4) 엔테로바이러스 347
5) 리노바이러스 348
6) A형 간염바이러스 349
10. 레오바이러스과 350
1) 로타바이러스 350
11. 레트로바이러스과 352
1) 사람T세포림프친화바이러스 1형 352
2)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353
12. 랍도바이러스과 357
1) 공수병바이러스 358
13. 토가바이러스과 360
1) 풍진바이러스 360
3 프리온 363
1. 프리온의 증식 363
2. 프리온병 364
1) 사람의 프리온병 364
2) 프리온의 검출 365
3) 치료 365
■ 확인문제 366
CHAPTER 11 병원성 진균
1 심재성 진균증을 일으키는 진균 372
1. 아스페르길루스속 372
2. 칸디다속 374
3. 크립토코쿠스속 375
4. 폐포자충속 376
5. 트리코스포론속 377
6. 접합균문 377
2 심재성 피부진균증을 일으키는 진균 378
1. 스포로트릭스속 378
1) 스포로트릭스 셴키 379
2. 흑색진균 380
3 표재성 피부진균증을 일으키는 진균 381
1. 피부사상균 381
1) 트리코피톤 루브럼 381
2)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382
3) 트리코피톤 톤슈란스 382
4) 개작은포자균 383
5) 석고모양작은포자균 383
2. 칸디다속 384
3. 말라세지아속 384
■ 확인문제 385
CHAPTER 12 병원성 원충
1 피부경유감염을 일으키는 원충 389
1. 리슈만편모충속 389
2. 열원충속 390
3. 파동편모충속 392
1) 감비아파동편모충 392
2) 크루스파동편모충 393
2 입안감염을 일으키는 원충 394
1) 원포자충과 사람등포자충 394
2) 작은와포자충 395
3) 이질아메바 395
4) 람블편모충 396
5) 톡소포자충 397
3 접촉감염을 일으키는 원충 398
1) 질편모충 398
■ 확인문제 404
● 참고문헌 / 408
● 찾아보기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