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01 총론
CHAPTER 01 병리학과 병리진단
1 병리학의 개요 4
2 질병의 개요 4
2.1 질병의 원인과 회복력(항상성) 5
2.2 질병에 대한 개인차와 개인의 반응 6
3 인체병리학과 실험병리학 7
4 병리학과 임상의학 8
4.1 진단병리학 8
4.2 병리해부 11
column 1 포스트게놈시대의 의학과 정밀의료 13
CHAPTER 02 세포 · 조직과 손상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8
2 조직의 분류와 기능 23
3 세포손상 25
3.1 세포손상의 원인 26
3.2 세포손상의 결과 27
4 세포자멸사 32
column 2 재생의료에서의 줄기세포와 iPS세포 34
CHAPTER 03 재생과 회복
1 재생과 재생의료 38
2 화생 39
3 상처치유와 육아조직 40
3.1 상처치유의 과정 41
3.2 상처치유의 형식 41
3.3 상처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42
3.4 골절의 치유 42
4 이물(질) 처리 43
5 비대와 증식 45
CHAPTER 04 염증
1 염증이란? 50
1.1 염증의 원인 50
1.2 염증의 증상 50
2 염증의 기본 병터 51
3 급성염증의 기전 52
3.1 국소의 혈관반응(순환장애와 삼출) 52
3.2 혈구성분의 유주 53
3.3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55
3.4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유래의 화학매개물질 57
3.5 보체 59
3.6 포식작용 59
3.7 그물내피계통 60
4 급성염증의 종류 60
4.1 장액염증 60
4.2 카타르염증 61
4.3 섬유소염증 61
4.4 고름염증 61
4.5 괴사염증 63
5 급성염증의 결과 64
6 만성염증의 기전 64
6.1 급성염증에서 이어지는 만성염증 64
6.2 처음부터 만성염증으로 발병하는 경우 65
6.3 만성염증의 화학매개물질 65
6.4 만성염증의 결과 65
7 육아종염증 66
CHAPTER 05 감염
1 감염병이란? 70
2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 70
3 병원성미생물의 종류와 그 특징 71
4 감염양식, 감염경로, 잠복기간 73
5 감염방어능력(감염면역) 74
6 감염 장기와 병원성균 74
7 AIDS와 기회감염 76
8 항균화학요법, 내성균, 중복감염 77
9 감염의 예방과 제어 78
9.1 표준주의 78
9.2 감염경로별 주의지침 79
column 3 긴급 과제로서의 ‘항균제내성(AMR)’ 대책 81
CHAPTER 06 면역
1 면역계통의 역할 86
2 면역계통의 구조와 기능 87
2.1 주요 면역 담당 세포의 종류와 기능 88
2.2 항체와 그 기능 90
2.3 보체와 그 기능 91
2.4 면역반응 92
3 알레르기 95
4 자가면역질환 98
5 면역결핍증 100
6 이식면역 101
7 암과 면역 102
CHAPTER 07 순환장애
1 생체와 순환기전 108
2 충혈과 울혈 109
3 곁순환 110
4 출혈 112
4.1 출혈의 종류 112
4.2 출혈의 결과와 영향 112
4.3 출혈소인 113
5 혈액응고와 혈전증 114
5.1 응고기전 114
5.2 혈전증 115
5.3 혈전형성의 세 요인 116
5.4 혈전의 종류 117
5.5 혈전성향 119
5.6 혈전의 결과와 영향 119
6 색전증 119
6.1 동맥색전과 정맥색전 120
6.2 지방색전증과 공기색전증 121
7 허혈과 경색 121
7.1 경색의 종류 122
7.2 괴사와 섬유화 123
8 부종 123
8.1 부종의 원인 124
8.2 부종의 종류 124
9 쇼크 125
9.1 쇼크의 종류 125
9.2 쇼크의 결과와 영향 126
10 고혈압 126
10.1 본태고혈압 127
10.2 이차고혈압 127
10.3 고혈압 합병증 127
column 4 암 관련 혈전증(CAT) 129
CHAPTER 08 대사이상
1 지질의 대사이상 134
1.1 이상지질혈증 136
1.2 지방간 140
2 탄수화물의 대사이상 140
2.1 당뇨병 142
2.2 당원축적병 145
3 단백질의 대사이상 146
3.1 저단백혈증 146
3.2 아밀로이드증 147
4 핵산의 대사이상 148
5 생활습관병-비만과 대사증후군 149
5.1 비만과 비만증 149
5.2 대사증후군 151
column 5 생활습관병과 치매의 관계 153
CHAPTER 09 종양
1 종양의 분류와 명명법 158
1.1 종양의 분류 158
1.2 종양의 명명법 159
2 종양의 형태 159
2.1 육안적 형태 159
2.2 조직학적 형태 161
3 종양의 발생과 성장 163
3.1 종양의 발생 163
3.2 종양의 성장 164
4 악성종양의 진행과 전이 165
4.1 혈행전이 166
4.2 림프성전이 166
4.3 파종전이 167
5 종양과 숙주의 관계 167
5.1 종양이 숙주에 미치는 영향 167
5.2 숙주가 종양에 미치는 영향 168
6 종양의 원인과 발생기전 168
6.1 종양의 원인 168
6.2 종양의 발생기전 169
6.3 종양유전자와 종양억제유전자 170
7 종양의 진단과 치료 170
8 종양의 역학 172
column 6 암과 분자표적치료, 면역요법 174
CHAPTER 10 신생아의 병리
1 정기산아의 질병 178
1.1 신생아질식 178
1.2 태변흡인증후군 179
1.3 분만외상 179
1.4 황달 181
1.5 감염병 182
2 미숙아의 질병 183
2.1 미숙아의 피부 183
2.2 호흡곤란증후군 184
2.3 열린동맥관 185
2.4 만성폐질환 186
2.5 뇌실내출혈 186
2.6 뇌실주위백질연화증 187
2.7 소화관천공 187
column 7 태반과 제대혈수혈 188
CHAPTER 11 선천이상
1 선천이상의 원인과 요인 192
1.1 유전요인 192
1.2 환경요인 197
2 주요 선천이상 198
2.1 다운증후군 198
2.2 입술입천장갈림증 199
2.3 신장비뇨기질환 199
2.4 수두증 200
2.5 척주관의 선천이상 200
3 태아성장제한 201
4 선천이상의 치료 가능성 202
CHAPTER 12 노화
1 생리적 노화와 질병 206
2 노화기전 206
2.1 DNA의 이상 207
2.2 세포의 증식과 재생능력 저하 208
2.3 단백질 대사의 저하 209
3 노화에 의한 발암 209
4 노화에 의한 심혈관질환 210
5 각 장기의 노화와 질병 211
5.1 뇌 211
5.2 폐 211
5.3 심장 212
5.4 신장 212
5.5 생식기관 213
5.6 운동기관 213
5.7 감각기관 215
6 질환으로서의 노인병 215
column 8 끝분절 : 노화와 암의 원인 216
column 9 자가포식현상 : 세포 내의 쓰레기 처리시설 217
PART 02 각론
CHAPTER 13 순환계통 질환
1 순환기관의 형태와 기능 224
1.1 심장의 형태와 기능 224
1.2 혈관의 형태와 기능 225
2 심장질환 226
2.1 허혈심장질환 226
2.2 심내막염 및 심장판막증 230
2.3 심장비대 233
2.4 심근병증 233
2.5 심부전 234
2.6 선천심장기형 236
3 혈관질환 237
3.1 동맥경화증 238
3.2 동맥류와 대동맥박리 241
3.3 대동맥염 243
column 10 동맥경화질환의 발병 위험을 줄이는 스타틴 245
CHAPTER 14 조혈계통 질환
1 조혈기관의 구성과 기능 250
2 골수·혈액의 질환 250
2.1 빈혈 250
2.2 백혈병 255
2.3 다발골수종 257
3 비장·림프의 질환 258
3.1 비장비대 258
3.2 림프절염 259
3.3 악성림프종 260
CHAPTER 15 호흡계통 질환
1 호흡기관의 형태와 기능 266
2 감염병 268
2.1 상기도 감염병 268
2.2 하기도 감염병 268
3 폐쇄질환 276
3.1 기관지천식 276
3.2 만성폐쇄폐질환 277
3.3 광범위범세기관지염 278
4 제한질환 278
4.1 사이질폐렴 279
4.2 유육종증 282
4.3 진폐증 282
5 순환장애질환 284
5.1 폐부종 284
5.2 폐색전증 284
6 종양 285
6.1 후두의 종양 285
6.2 폐암 286
6.3 기타 폐종양 290
6.4 악성중피종 290
CHAPTER 16 소화계통 질환
1 소화기관의 형태와 기능 294
1.1 식도 295
1.2 위 295
1.3 간 296
1.4 췌장 296
2 식도의 질환 296
2.1 위식도역류병 296
2.2 식도암 297
3 위의 질환 297
3.1 급성위염 297
3.2 만성위염 298
3.3 위궤양 298
3.4 용종과 샘종 300
3.5 위암 301
4 장의 질환 305
4.1 충수염 305
4.2 장폐색증 306
4.3 탈장 307
4.4 장의 감염병 308
4.5 크론병 308
4.6 궤양대장염 308
4.7 대장종양 309
5 간 · 담도 · 췌장의 질환 311
5.1 황달 311
5.2 바이러스간염 313
5.3 지방성 간질환 316
5.4 간경화증 317
5.5 간암 318
5.6 담낭염과 담석증 319
5.7 췌장염 320
5.8 췌장암 321
column 11 위나선균 322
column 12 장내세균을 이식하여 질병을 치료하다 323
CHAPTER 17 신경계통 질환
1 신경계통의 형태와 기능 328
2 두개내압 상승에 의한 질환 328
2.1 뇌탈출증 329
3 뇌혈관질환 330
3.1 뇌출혈 330
3.2 뇌경색증 333
4 신경변성질환 334
4.1 치매 335
4.2 파킨슨병 336
4.3 근위축측삭경화증 337
5 말이집탈락질환 338
5.1 다발경화증 338
5.2 기얭-바레증후군 339
6 감염병 340
6.1 뇌염 340
6.2 수막염 340
6.3 뇌고름집 340
7 외상 341
7.1 뇌타박상과 뇌진탕 341
7.2 두개내혈종 342
7.3 척수손상 343
8 뇌종양 343
8.1 신경(아)교종 344
8.2 비신경(아)교종 345
CHAPTER 18 내분비계통 질환
1 내분비기관의 형태와 기능 350
2 뇌하수체의 질환 353
2.1 뇌하수체거인증과 말단비대증 353
2.2 쿠싱병 353
2.3 뇌하수체왜소증 354
2.4 뇌하수체저하증 354
2.5 요붕증 354
3 갑상샘의 질환 355
3.1 그레이브스병 355
3.2 하시모토병 357
3.3 갑상샘저하증 357
3.4 종양 357
4 부갑상샘의 질환 358
4.1 부갑상샘항진증 359
4.2 부갑상샘저하증 360
5 부신의 질환 360
5.1 쿠싱증후군 361
5.2 일차알도스테론증 362
5.3 애디슨병 362
5.4 부신생식기증후군 363
5.5 종양 363
6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질환 363
7 다발내분비샘신생물 364
CHAPTER 19 비뇨계통 질환
1 비뇨기관의 형태와 기능 368
2 신장의 질환 371
2.1 만성신부전과 요독증 371
2.2 사구체의 질환 371
2.3 신장생검 376
2.4 고혈압과 신장 377
2.5 급성신부전 379
3 요로의 질환 380
3.1 요로 감염병 380
3.2 요로의 통과장애 381
4 종양 382
4.1 신(장)세포암종과 빌름스종양 382
4.2 방광암 383
CHAPTER 20 생식계통 질환
1 남성 · 여성 생식기관의 형태와 기능 388
2 남성 생식기관의 질환 388
2.1 양성전립샘비대 388
2.2 전립샘암 389
2.3 전립샘상피내신생물 391
2.4 고환종양 391
3 여성 생식기관의 질환 392
3.1 자궁경부암 392
3.2 자궁몸통암종과 자궁내막증식증 394
3.3 자궁근종 395
3.4 융모막암종 396
3.5 난소종양 396
4 유선의 질환 400
4.1 섬유샘종 400
4.2 유방병증 400
4.3 유방암 400
column 13 유전성 유방난소종양증후군(HBOC)의조기진단과 치료 404
CHAPTER 21 뼈대근육계통 질환
1 운동기관의 형태와 기능 408
1.1 뼈 408
1.2 관절 408
1.3 근육(뼈대근육) 409
2 뼈의 질환 410
2.1 골절 410
2.2 무균골괴사 412
2.3 염증 413
2.4 대사이상 414
2.5 일차 골종양 416
3 관절의 질환 418
3.1 관절탈구 418
3.2 관절운동의 이상 418
3.3 변성과 화생 418
3.4 염증 421
3.5 대사이상 423
3.6 종양 424
4 척추 · 척수 및 말초신경의 질환 425
4.1 추간판탈출 425
4.2 경추 척수병증 425
4.3 척추관협착증 425
4.4 포착신경병증 426
5 근육의 질환 426
5.1 근육위축 425
5.2 염증 427
5.3 종양 427
CHAPTER 22 감각계통 질환
1 감각기관의 형태와 기능 432
1.1 눈 432
1.2 귀 432
1.3 피부 433
2 눈의 질환 434
2.1 눈꺼풀(안검)의 질환 434
2.2 결막 · 각막의 질환 434
2.3 포도막의 질환 435
2.4 망막의 질환 435
2.5 기타 436
3 귀의 질환 437
3.1 외이의 질환 437
3.2 중이의 질환 438
3.3 내이의 질환 438
4 피부의 질환 439
4.1 염증 439
4.2 감염병 441
4.3 자가면역성 물집 질환 441
4.4 구진 질환 443
4.5 아교질병 443
4.6 피부 악성종양 444
● 참고문헌 449
● 용어해설 450
● 찾아보기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