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입시 첫걸음, 탐구력이 핵심이다
지금, 탐구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의미하는 미래 인재상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1) 교과목 체계와 이수 단위의 변화
2)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의 주요 선택 과목
과목 선택 체험을 통한 나만의 학습 설계
1) 진로 맞춤형 과목 선택 시뮬레이션
2) 진로에 따른 모의 과목 선택
자기주도적 교육의 기대 효과와 도전 과제
2장 미래형 인재를 선발하는 입시의 흐름을 읽어라
2028 대입 제도의 변화
1) 통합형·융합형 수능의 도입
2) 내신 5등급제 전환과 평가 방식 변화
3) 대입 전형 방식의 재설계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슬기로운 학교생활 Tip
1) 균형 있는 내신, 수능, 비교과 활동
2) 학년별 대학 준비 로드맵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어떻게 우수한 학생을 판단할까
1) 학업 역량
2) 진로 역량
3) 공동체 역량
3장 경쟁력 있는 학교생활기록부 디자인하는 법
매력적인 학교생활기록부는 주제 탐구와 독서에서 출발한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 이해
1) 학교생활기록부 평가 기준
2) 주요 영역 기재 요령
창체의 시대! 창의적 체험 활동
1) 자율·자치 활동
2) 동아리 활동
3) 진로 활동
4) 창의적 체험 활동의 기록 변화
지적 탐구가 태도로 드러나는 교과 학습 발달 상황
1)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2)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추천서를 대신하는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1)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의 이해
2)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기재 예시
4장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한 진로 탐색
꿈이 없어도 지적 탐구를 계속해야 하는 이유
진로 설계를 위한 자기 이해
1) 내 꿈은 어떻게 변했을까?
2) 자기 이해를 위한 질문지
3) 직업(진로) 탐색을 위한 질문지
진로 검사의 종류
대학 및 학과에서 희망 계열 탐색하기
1) 희망 계열(학과) 찾기
2) 희망 대학 및 학과(전공) 정보 탐색
TED/MOOC 활용하는 방법
1) TED/MOOC 활용 방법
2) TED/MOOC 활동 PPT 예시
5장 탐구력 신장을 위한 주제 탐구 활동
새로운 대입에서 학생의 성장을 보여 주는 방법
1) 대입의 변화에 따른 창체의 세특화
2) 주제 탐구에서 보여 줘야 하는 핵심 역량은 ‘탐구력’
주제 탐구 활동의 구체적인 과정과 절차
주제 선정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방법
1)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2) 인공지능을 활용한 질문과 개요 작성 방법
깊이를 더하는 주제 탐구 활동 탐색 방법
주제 탐구 보고서 작성과 결과 정리
1) 주제 탐구 보고서 작성 절차 및 방법
2) 좋은 주제 탐구를 위한 Tip
3) 주제 탐구 활동 결과 정리
3) 주제 탐구 활동 예시
6장 책 읽기에서 탐구력으로 확장하는 법
주제 탐구의 시작과 마무리는 독서
1) 독서 활동에서 주제 탐구 활동으로 연계·심화·확장하기
2) 교과 활동에서 창체 활동으로 연계·심화·확장하기
독서 활동을 위한 도서 탐색 방법
엮어 읽기와 깊이 읽기 독서법
1) 엮어 읽기(다독) - 1학년
2) 깊이 읽기(정독) - 2, 3학년
학년별 진로 독서 로드맵
사고를 키우는 독서 기록 방법
1) 교양 서적 독서 기록
2) 전공 심화 독서 기록
인공지능을 활용한 독서 기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