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발간 취지문
축사
프롤로그
바다와 인간: 인간의 의지, 윤리와 겸허 _ 김우창
1 해양진출|원양어업 그리고 극지와 태평양 진출 _ 장순근
1. 원양어업
2. 극지 연구
3. 태평양 해양 연구
2 해양과학과 기술
2 해양과학과 기술|책으로 살펴본 한국의 해양과학 _ 김웅서
1. 조선의 해양과학 도서
2. 1900년대 초·중반해양과학도서
3. 1900년대 후반 해양과학 도서
4. 2000년대 해양과학 도서
5. 해양과학의 현재와 전망
3 해양자원|왜 자원의 보고인가, 해양자원의 세계 _ 강정극
1. 해양자원
2. 천해저광물자원
3. 심해저광물자원
4. 해양석유와 가스
5. 해양에너지자원
4 해양환경|한국 연안해역의 환경과 생태계 관리 _ 고철환
1. 환경과 생태계의 관계
2. 해양환경·생태계관리와해양수산발전기본법
3. 해양환경종합조사 및 해수수질, 퇴적물환경평가
4. 환경관리해역: 육역·해역의통합관리
5. 해양보호구역과 해양생태계
6. 해양환경 관리의 핵심은 ‘공간관리’
5 해양영토/해양정책|한국 해양정책의 연혁적 고찰 _ 권문상
1. 해양의 가치 변화와 갈등
2. 해양정책의 개념
3. 해양수산행정 조직의 변천 과정
4. 해양정책의 변천 과정
6 해양산업|해운·조선·물류, 항만산업의 성장 _ 정필수
1. 공급망시대
2. 해운산업의 현황과 전망
3. 조선산업의 현황과 전망
4. 물류산업의 현황
5. 항만산업의 현황과 전망
6. 해양대국의 꿈, 지구촌 해상물류 체제 완비
7 어업과 수산|한국의 어촌 문화와 어업의 미래 _ 장창익
1. 식량산업으로서 수산업과 어업
2. 해양어업의 역사
3. 어촌 생활사
4. 21세기의 해양어업
5. 해양어업의 미래
8 해양과 민족문화|한민족의 해양문화와 해양예술 _ 이형대
1. 해양과 한민족의 생활문화
2. 한민족의 해양신앙과 해양의례
3. 해양문학과 해양예술
9 해양사|한국 해양사의 전개와 전환 _ 강봉룡
1. 한국 해양사: 바다로 한국사 보기
2. 삼국시대: 태동기, 연안해로의 시대
3. 통일신라~고려시대: 융성기, 황해횡·사단해로및해양실크로드의시대
4. 조선시대: 전환기, 해금의 시대
5. 근현대의 해양 담론: 해양의식 고취 노력과 ‘신반도적성격론’ 제안
10 해양법|해양법의 역사 그리고 영역 _ 이석용
1. 갈등을 해결하는 역할, 해양법
2. 해양법의 흔적과 시작
3. 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바다
4. 국가의 경제적 관할권이 미치는 바다
5. 국가관할권 이원의 바다
11 해양교육과 진로|해양교육, 어디까지 왔나 _ 최중기
1. 해양교육
2. 해양진로
3. 우수 인력의 진입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