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장:담화의 세계로 들어온 한국어 교실담화에서 찾은 문제 해결의 실마리
1.1. 문장을 넘어서, 담화로!
1.2. 연구자들이 바라본 담화
1.3. 한국어 교실에서의 담화 교육
2장:한국어교육에서의 응집성과 응결성응집성과 응결성의 팀워크, 담화와 텍스트를 만들다.
2.1. 말과 글, 그 속에 있는 무엇!
2.2. 그것은 바로 텍스트성
2.3. 학습자의 말과 글
2.4. 담화 속 강한 결속
2.5.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3장:담화에서 문법의 기능과 교육문장 내에서 해결되지 않는 한국어 문법적 문제, 담화 차원에서 풀어보자!
3.1. 담화에서도 문법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3.2. 결속의 귀재, 문법적 장치들
3.3.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4장:담화에서 어휘의 기능과 교육한국어 담화에서 활약하는 어휘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다.
4.1. 담화에서 어휘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4.2. 담화를 담화답게! 응결장치로 기능하는 어휘
4.3. 어휘가 보내는 신호, 담화 파악의 길잡이
4.4. 구어와 문어의 어휘 밀도 차이
4.5.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5장:담화에서 운율의 기능과 교육한국어 담화에서 기능하는 운율적 현상에 주목하자!
5.1. 담화에서 운율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5.2. 담화를 담화답게! 운율의 담화적 기능
5.3.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6장:한국어 담화표지와 유창성 교육한국어를 더 맛깔스럽고, 감칠맛 나게
6.1. 담화의 완성은 담화표지 사용으로
6.2. 담화표지의 발견
6.3. 담화표지 사용과 유창성
6.4.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7장:한국어 구어 담화와 구어 학습구어를 알면 보인다! 생생한 말하기의 기술!
7.1. 진짜 구어? 가짜 구어?
7.2. 학습자의 고민거리, 구어
7.3. 한국어 구어 담화의 특징과 유형
7.4.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8장:한국어 텍스트와 문어 학습문어의 특징을 알면 쓰기가 술술! 읽기가 척척!
8.1. 글 같은 글, 글 같지 않은 글
8.2. 학습자의 고민거리, 글쓰기
8.3. 한국어 텍스트의 특징과 유형
8.4.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9장:한국어 담화의 구성과 교육더 큰 유형의 담화 구조까지
9.1. 담화 구조, 의사소통의 시작
9.2. 정보 배치, 화제 전개의 시작
9.3. 더 큰 유형의 정보 배치
9.4. 대화의 상호작용 구조
9.5. 술술 말하기, 내러티브의 구조
9.6.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10장:한국어 담화의 장르와 문체, 그리고 교육구어와 문어의 구분 그 너머
10.1. 담화와 텍스트의 다양한 모습
10.2. 장르와 언어㈔용역
10.3. 문체와 틀 전환
10.4.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11장:한국어 담화 교육과 문화담화 구성 방식에도 문화가 보인다!
11.1. 담화 속에 문화가!
11.2. 문화 차이가 가져온 담화 구성의 차이
11.3. 한국어교육에 적용해 보기
12장:깊고 넓은 담화의 세계, 갈무리와 시작담화 교육에 앞서, 다양한 학문적 담론을 돌아보자.
12.1. 되돌아보기의 중요성
12.2. 담화 탐구의 갈무리, 그러나 끝나지 않은 이야기
12.3. 한국어 교실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