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언어와 문자 … 6
1. 언어와 문자의 상호 관계 … 7
1) 언어와 문자의 개념
2) 언어와 문자의 기능
3) 언어와 문자의 상호작용
2. 인류 최초의 언어 … 11
1) 최초의 언어에 대한 이론
2) 최초의 언어 형태
3. 언어와 문자의 출현 순서 … 15
4. 인류 최초의 문자 … 16
1) 인류 초기의 문자
2) 인류 최초의 문자의 용도
5. 언어와 문자의 차이 … 23
1) 언어와 문자의 상호작용
2) 언어와 문자의 특수 관계
6. 언어의 진화·발전 … 25
1) 초기 언어의 특징
2) 현대 언어의 특징
3) 초기 언어와 현대 언어의 주요 차이점
4) 언어의 진화·발전의 배경
5) 현대 언어의 주요 어족(Family)과 특징
6) 현대 언어의 종류 및 사용자
7. 현대 문자의 종류 및 특징 … 36
1) 알파벳 문자
2) 표의문자
3) 음절문자
4) 아브자드(Abjad) 문자
5) 혼합 문자
6) 기타 문자
8. 표의문자와 표음문자 … 41
1) 표의문자와 표음문자의 정의
2) 표의문자와 표음문자의 주요 차이
II. 중국어의 특징 … 48
1. 언어학적 특징 … 48
1) 음운론적 특징
2) 형태론적 특징
3) 통사론적 특징
4) 의미론적 특징
5) 어휘적 특징
2. 사회언어학적 특징 … 74
1) 다양한 방언(Dialect Language)
2) 표준중국어(普通話)의 보급
III. 한자의 특징 … 84
1. 한자의 기원과 조자(造字) 방법 … 85
1) 한자의 기원
2) 한자의 조자 방법
2. 한자의 변천 과정 … 94
1) 한자 이전의 의사소통 수단
2) 한자의 탄생과 변천
3. 한자는 왜 표의문자가 되었는가 … 103
1) 알파벳은 왜 표음문자가 되었는가
2) 한자가 표의문자가 된 주요 배경
4. 표의문자로서의 한자의 장점과 한계 … 108
1) 한자의 장점: 조어(造語) 능력
2) 한자의 한계: 외래어 표기
IV. 효율적인 한자 학습법 … 118
1. 중국어 학습에 필요한 한자의 수 … 119
1) 한자는 모두 몇 글자일까?
2) 중국어를 학습하려면 한자를 얼마나 알아야 할까?
2. 한자는 어떤 순서로 학습해야 할까? … 124
1) 한국어 안의 한자어
2) 중국과 한국의 한자 사용 빈도
3. 복잡한 한자는 어떻게 학습해야 할까? … 136
1) 필획(筆劃) 활용 학습법: 자형의 규범화
2) 부수(部首) 활용 학습법
3) 고한자(古漢字) 활용 학습법
4) 파자(破字) 활용 학습법
V. 중국의 한자 개혁 … 162
1. 진시황(秦始皇)의 문자 통일 … 162
1) 문자 이외의 통일 정책
2) 문자 통일과 의의
2. 모택동(毛澤東)의 언어·문자 개혁 … 164
1) 이체자(異體字) 정리
2) 한자의 간화(簡化)
3) 한어병음방안(汉语拼音方案)
마치며 … 203
부록 1: 《现代汉语常用字表》 … 206
부록 2: ‹214 部首› … 215
참고 문헌 …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