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산업재해예방 계획수립
1.1 안전관리
1.1.1 안전과 위험의 개념
1.1.2 사고이론
1.1.3 안전보건관리 제이론
1.1.4 생산성과 경제적 안전도
1.1.5 재해예방활동기법 및 산업재해
1.1.6 KOSHA GUIDE
1.1.7 안전보건예산 편성 및 계상
1.1.8 중대재해와 상해구분
1.2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용
1.2.1 안전보건관리조직 구성
1.2.2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1.2.3 안전보건경영시스템
1.2.4 안전보건관리규정
Chapter 2 안전보호구 관리
2.1 보호구 및 안전장구관리
2.1.1 보호구의 개요
2.1.2 보호구의 종류별 특성
2.1.3 보호구의 성능기준 및 시험방법
2.1.4 안전보건표지의 종류ㆍ용도 및 적용
2.1.5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및 색도기준
Chapter 3 산업안전심리
3.1 산업심리와 심리검사
3.1.1 심리검사의 종류
3.1.2 심리학적 요인
3.1.3 지각과 정서
3.1.4 동기, 좌절, 갈등
3.1.5 불안과 스트레스
3.1.6 슈퍼의 개인진로 발달이론
3.1.7 레빈의 법칙: 행동은 장(場)의 함수이다
3.2 직업적성과 배치
3.2.1 직업적성의 분류
3.2.2 적성검사의 종류
3.2.3 직무분석 및 직무평가
3.2.4 선발 및 배치
3.2.5 인사관리의 기초
3.3 인간의 특성과 안전
3.3.1 안전사고 요인
3.3.2 산업안전심리의 요소
3.3.3 착상심리
3.3.4 착오
3.3.5 착시
3.3.6 착각현상
3.3.7 주요 감각
Chapter 4 인간의 행동과학
4.1 조직과 인간행동
4.1.1 인간관계
4.1.2 사회행동의 기초
4.1.3 인간관계 메커니즘
4.1.4 집단행동
4.1.5 인간의 일반적인 행동특성
4.1.6 인간 심리
4.1.7 매슬로우 욕구이론
4.1.8 인간의 에러 원인
4.1.9 인간의 기억과정
4.2 재해 빈발성 및 행동과학
4.2.1 사고경향
4.2.2 성격의 유형
4.2.3 재해빈발성
4.2.4 동기부여
4.2.5 주의와 부주의
4.2.6 산업재해
4.2.7 재해예방의 4원칙
4.2.8 인간의 비질런스(긴장) 현상
4.2.9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
4.3 집단관리와 리더십
4.3.1 리더십의 유형
4.3.2 리더십과 헤드십
4.3.3 사기와 집단역학
4.4 생체리듬과 피로
4.4.1 피로의 증상 및 대책
4.4.2 피로의 측정법
4.4.3 작업강도와 피로
4.4.4 생체리듬과 피로
4.4.5 위험일
Chapter 5 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
5.1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5.1.1 교육의 요소와 목적
5.1.2 교육의 개념
5.1.3 학습지도 이론
5.1.4 교육심리학의 이해
5.2 교육방법
5.2.1 교육훈련기법
5.2.2 안전보건교육방법
5.2.3 학습목적의 3요소
5.2.4 교육법의 4단계
5.2.5 교육훈련의 평가 방법
5.2.6 학과교육 4단계
5.2.7 실습교육4단계
5.2.8 하버드 교수법
5.2.9 안전기능교육 3원칙
5.3 교육실시 방법
5.3.1 강의법
5.3.2 토의법
5.3.3 실연법
5.3.4 프로그램학습법
5.3.5 모의법
5.3.6 시청각교육법
5.4 안전보건교육계획 수립 및 실시
5.4.1 안전보건교육의 기본방향
5.4.2 안전보건교육의 단계별 교육과정
5.4.3 안전보건교육 계획
5.5 교육내용
5.5.1 근로자 정기안전보건 교육내용: 산안법시행규칙 별표5 참조
5.5.2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 교육내용
5.5.3 신규채용시와 작업내용변경시 안전보건 교육내용
5.5.4 특별교육대상 작업별 교육내용
Chapter 6 산업안전관계 법규
[산업안전 수식 정리]
[체크문제]
Chapter 7 안전과 인간공학
7.1 인간공학의 정의
7.1.1 정의 및 목적
7.1.2 배경 및 필요성
7.1.3 작업관리와 인간공학
7.1.4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 적용분야
7.1.5 인간기준의 종류
7.2 인간-기계 체계
7.2.1 인간-기계 시스템의 정의 및 유형
7.2.2 시스템의 특성
7.3 체계설계와 인간요소
7.3.1 목표 및 성능명세의 결정
7.3.2 기본 설계
7.3.3 계면(Interface) 설계
7.3.4 촉진물 설계
7.3.5 시험 및 평가
7.3.6 감성공학
7.3.7 인간-기계 관계 측정법
7.4 인간요소와 휴먼에러
7.4.1 인간 실수의 분류
7.4.2 형태적 특성
7.4.3 인간실수 확률에 대한 추정기법
7.4.4 인간실수 예방기법
Chapter 8 위험성 파악 결정
8.1 위험성 평가
8.1.1 위험성 평가의 정의 및 개요
8.1.2 평가대상 선정
8.1.3 평가 항목
8.1.4 관련법에 관한 사항
8.2 시스템 위험성 추정 및 결정
8.2.1 시스템 위험성 분석 및 관리
8.2.2 위험 분석 기법
8.2.3 결함수 분석
8.2.4 정성적, 정량적 분석
8.2.5 신뢰도 계산
Chapter 9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실행
9.1 위험성 개선대책(공학적·관리적)의 종류
9.1.1 공학적 대책
9.1.2 관리적 대책
9.1.3 적절한 대책 선택:
9.2 허용가능한 위험수준 분석
9.2.1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분석의 목적
9.2.2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설정 요소
9.2.3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설정 방법
9.2.4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활용
9.2.5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분석 활용 분야
9.2.6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분석의 장점
9.2.7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분석의 한계
9.3 감소대책에 따른 효과 분석 능력
9.3.1 감소 대책 효과 분석 능력의 중요성
9.3.2 과학적 의사 결정
9.3.3 감소 대책 효과 분석 활용 방법
9.3.4 감소 대책 효과 분석 관련 지표 및 도구
Chapter 10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10.1 근골격계 유해요인
10.1.1 근골격계 질환의 정의 및 유형
10.1.2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범위
10.1.3 근골격계 질환 작업분석 및 평가분석 종류
10.2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10.2.1 OWAS
10.2.2 RULA
10.2.3 REBA
10.3 근골격계 유해요인 관리
10.3.1 작업관리목적
10.3.2 방법연구 및 작업측정
10.3.3 문제 해결 절차
10.3.4 작업개선안의 원리 및 도출방법
Chapter 11 유해요인 관리
11.1 물리적 유해요인 관리
11.1.1 물리적 유해 요인 파악
11.1.2 물리적 유해요인 노출 기준
11.1.3 물리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11.2 화학적 유해요인 관리
11.2.1 화학적 유해요인 파악
11.2.2 화학적 유해요인 노출 기준
11.2.3 화학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11.3 생물학적 유해요인 관리
11.3.1 생물학적 유해요인 파악
11.3.2 생물학적 유해요인 노출기준
11.3.3 생물학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Chapter 12 작업환경 관리
12.1 인체계측 및 체계제어
12.1.1 인체계측 및 응용원칙
12.1.2 신체반응의 측정
12.1.3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12.1.4 통제표시비
12.1.5 양립성
12.1.6 수공구
12.2 신체활동의 생리학적 측정법
12.2.1 신체반응의 측정
12.2.2 신체역학
12.2.3 신체활동의 에너지 소비
12.2.4 동작의 속도와 정확성
12.3 작업 공간 및 작업 자세
12.3.1 부품 배치의 원칙
12.3.2 활동 분석
12.3.3 개별 작업 공간 설계 지침
12.4 작업측정
12.4.1 표준시간 및 연구
12.4.2 work sampling의 원리 및 절차
12.4.3 표준자료
12.5 작업환경과 인간 공학
12.5.1 빛과 소음의 특성
12.5.3 진동과 가속도
12.5.4 실효온도와 oxpord지수
12.5.5 이상환경
(고온, 한랭, 기압, 고도 등) 및 노출에 따른 사고와 부상
12.5.6 사무/VDT 작업 설계 및 관리
12.6 중량물 취급 작업
12.6.1 중량물 취급 방법
12.6.2 NIOSH Lifting Equation
[인간공학 추가요점정리]
1. 기계 체계의 형태
2. 심리적 분류(Swain)의 인적 오류
3. 실수 원인의 수준적 분류
4. 인간이 과오를 범하기 쉬운 작업
5. 인간-기계 시스템 설계 3단계
6. 의식수준의 종류
7. 부품 배치의 원칙
8. 부호의 3가지 유형
9. 청각 vs 시각
10. 통제표시비 설계 5요소
11. 작업 강도의 구분
12. CTDs(Cumulative Trauma Disorders, 누적 외상 질환)
13. 산소 빚
14. 디스플레이 기본 요인
15. 음량 수준
16. 인간에 대한 모니터링
17. 열교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
18. 빛의 반사율
19. 법적 조도 기준
20. 물건이 보일 조건
21. 골격 체계의 구성 요소
22. 시스템 안전의 우선도
23. 시스템 안전 분석 기법
24. 동작 경제 3원칙
25. FTA 재해 사례 연구 순서
26. Safety Assessment 점검
27. 위험 관리 4단계
28. FMEA 고장 발생 확률
29. 제조물 책임
30. 정밀 진단 기술
31. 록 시스템의 종류
32. 효율화 대상 4M
33. 인간 오류의 배후 요인 4M
34. 의자 설계 원칙
35. 수평 작업대
36. 목시각
37. 온도 변화
38. 소음
39. 동시력
40. 유해 위험 방지 계획서 제출 대상(기계, 설비)
41. 유해 위험 방지 계획서 제출 대상(건설, 공사)
Chapter 13 기계공정의 안전
13.1 기계공정의 특수성 분석
13.1.1 설계도 검토 및 종류
13.1.2 파레토도, 특성요인도, 클로즈 분석, 관리도
13.1.3 표준안전작업절차서
13.1.4 공정도를 활용한 공정 분석 기술
13.2 기계의 위험 안전조건 분석
13.2.1 기계의 위험 요인
13.2.2 기계설비의 본질안전 조건
13.2.3 기계의 일반적인 안전사항과 안전조건
13.2.4 유해위험 기계 기구 종류, 기능과 작동원리
13.2.5 기계 위험성
13.2.6 기계 방호장치
13.2.7 설비 보존의 개념
13.2.8 기계 작동원리 분석 기술
Chapter 14 기계분야 산업 재해조사 및 관리
14.1 재해조사
14.1.1 재해조사의 목적
14.1.2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
14.1.3 재해 발생 시 조치사항
14.1.4 재해의 원인 분석 및 조사기법
14.2 산재분류 및 통계 분석
14.2.1 산재분류의 이해
14.2.2 재해관련 통계의 정의
14.2.3 재해 관련 통계의 종류 및 계산
14.2.4 재해손실비의 종류 및 계산
14.3 안전점검, 검사⦁인증 및 진단
14.3.1 안전점검의 정의 및 목적
14.3.2 안전점검의 종류
14.3.3 안전점검표의 작성
14.3.4 안전검사 및 안전인증
14.3.5 안전진단
Chapter 15 기계설비 위험요인 분석
15.1 공작기계의 안전
15.1.1 절삭가공기계의 종류 및 방호장치
15.1.2 소성가공 및 방호장치
15.2 프레스 및 전단기의 안전
15.2.1 프레스 재해 방지의 근본적인 대책
15.2.2 금형의 안전화
15.3 기타 산업용 기계 기구
15.3.1 롤러기
15.3.2 원심기
15.3.3 아세틸렌 용접장치
15.3.4 보일러 압력용기
15.3.5 산업용 로봇
15.3.6 목재 가공용 기계
15.3.7 고속 회전체
15.3.8 사출성형기
15.4 기계 및 양중기
15.4.1 지게차
15.4.2 컨베이어
15.4.3 양중기(건설용 제외)
15.4.4 운반기계
Chapter 16 기계안전시설 관리
16.1 안전시설 관리 계획하기
16.1.1 기계 방호장치
16.1.2 안전작업절차
16.1.3 공정도를 활용한 공정분석
16.1.4 Fool Proof
16.1.5 Fail Safe
16.2 안전시설물 설치기준
16.2.1 안전시설물 설치기준
16.2.2 안전보건표지 설치기준
16.2.3 기계종류별 안전장치 설치기준
16.2.4 기계의 위험점 분석
16.3 안전시설 유지-관리하기
16.3.1 KS B 규격과 ISO 규격 통칙에 대한 지식
16.3.2 유해위험기계기구 종류 및 특성
Chapter 17 설비진단 및 검사
17.1 비파괴검사의 종류 및 특징
17.1.1 육안검사
17.1.2 누설검사
17.1.3 침투검사
17.1.4 초음파검사
17.1.5 자기탐상검사
17.1.6 음향검사
17.1.7 방사선투과검사
17.2 소음, 진동 방지 기술
17.2.1 소음방지 대책
17.2.2 진동방지 대책
[기계위험 추가요점정리]
1. 리밋 스위치와 과부하 방지 장치
2. 위험 요소 5가지 체크 사항
3. 기계 설비 외관상 안전화
4. 기계의 안전 조건
5. 기계 설비의 본질 안전
6. 기계 고장률의 기본 모형
7. 풀 프루프 기구의 종류
8. 기계의 위험성 원인
9. 위험점의 분류
10. 안전 난간의 설치 요건
11. 비상구 설치 기준
12. 경보용 설비 설치 기준
13. 가설 통로 구조
14. 사다리식 통로 구조
15. 계단의 강도
16. 계단참의 높이
17. 고정형 가드 구비 조건
18. 방호 장치의 종류
19. 셰이퍼 작업 안전 대책
20. 플레이너, 셰이퍼, 슬로터의 방호 장치
21. 드릴 작업 시 안전 대책
22. 연삭 숫돌의 3요소
23. 숫돌의 파괴 원인
24. 숫돌 고정 방법
25. 유압 장치
26. 연삭기 작업 시 유의 사항
27. 선반의 안전 장치
28. 안전 장치의 선택 기준
29. 숫돌 노출 각도 기준
30. 급정지 기구에 따른 방호 장치
31. 게이트 가드식 방호 장치
32. 금형 안에 손이 들어가지 않는 구조
33. 금형 안에 손이 들어가는 구조와 대응하는 방호 장치
34. 롤러기 방호 조치
35. 압연기의 마찰각과 접촉각
36. 발생기실의 설치 장소
37. 가연성 가스
38. 안전기의 설치
39. 발생기실의 구조
40. 충전 가스 용기의 도색
41. 가스 용기 취급 시 주의사항
42. 가스 장치실 구조
43. 보일러 이상 현상
44. 보일러 방호 장치
45. 로봇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
46. 지게차 운전 시 주의사항
47. 컨베이어 방호 장치
48. 양중기의 종류
49. 곤돌라 방호 장치
50. 승강기 안전 장치
51. 인력 운반
52. 비파괴 검사의 종류
[기계위험 수식정리]
[체크문제]
- 참고문헌 -
-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