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제국주의와 과학
1. 약탈적 과학: ‘발견’과 ‘발명’이라는 거짓말
피나텍스와 생물해적 행위 | 생물다양성협약에서 GRATK까지 | 큐왕립식물원: 19세기 박물학 | 고무: 박물학과 제국주의
2. 의학과 제국주의: 생체 실험의 대상이 된 약자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와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 | 〈경성크리처〉 | 소외열대질환
3. 과학과 제국주의: 자연선택은 적자생존이 아니다
인간 동물원 | 인종론 | 우생학 | 사회진화론
2부 현대 자본주의와 과학
4. 현대 자본주의와 거대과학: 거대 기업이 주도하는 거대과학
맨해튼 프로젝트 | 거대과학과 군대 | 위성항법시스템과 스핀오프 기술 | 우주 거대과학 | 기업이 주도하는 21세기 거대과학 | 그래도 거대과학이 필요한 이유 | 전문가 시스템과 시민 감시
5 의학과 보편적 건강권: 사람이 특허보다 중요하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약 | 가난의 이의 병, 결핵 | 수면병과 국경없는의사회 | 태양에 특허를 낼 수 있나
6. 특허와 자본: 신자유주의에 포섭되는 과학
과학과 특허 | 특허 괴물 | 표준필수특허 혹은 장벽 | 신자유주의에 포섭되는 과학
3부 민중의 과학
7. 과학기술의 이데올로기: 과학기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 | 과학만능주의 | 기술결정론 | 청부과학
8 과학과 커먼즈: ‘과학의 로빈 후드’ 혹은 ‘과학의 해적 여왕’
학술지의 이상한 장사 | 오픈 액세스 | 데이터를 공개하라 | 데이터 보호와 알고리즘 | 오픈 사이언스 운동 | 시민과학
9 민중의 과학: 무엇을, 왜,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맨발의대학 | 루카스 플랜 | 적정기술 | 제3세계 과학기술 운동 1: 20세기 초중반 | 제3세계 과학기술 운동 2: 20세기 후반 이후
10 소수자와 과학: 인공지능의 편향된 공부법
장애와 과학기술 | 기후 위기와 과학기술 | 기후 위기의 약자 | 소버린 AI, 인공지능과 소수자 | 노인 | 이주민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