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롤링-디롤링의 정의와 배역별 에너지 소요
1. 롤링과 디롤링의 개념과 등장 배경〔클로즈 업〕배우의 롤링(캐릭터 창조) 요건과 방법론
2. 디롤링의 어원과 학술적 개념〔클로즈 업〕미국 ‘캐스팅 네트워크’의 디롤링 기법
3. 배역의 위상과 배우의 투입 에너지
2장|케어컬처 시대, ‘디롤링’이 왜 중요한가
1. ‘몰입 의존형’ 메소드 연기의 부작용〔클로즈 업〕배우 니콜 키드먼의 과몰입 연기 ‘번 아웃’ 사례
2. 아티스트들의 고통과 고통 호소 사례
3. 실증연구로 확인된 배역 제거 장애 심각성〔클로즈 업〕예술인의 자살은 방치해서는 안 될 ‘전염성 대참사’
4. 알코올·담배·약물·도박·게임 의존의 위험성〔클로즈 업〕정부의 예술인 ‘마음건강’ 관리 대책
3장|아티스트의 자아와 페르소나 구조
1. 배우의 자아 특성과 다중 정체성〔클로즈 업〕배우의 근원적 불안, 처방은 ‘정체성 확립’
2. 사회생활 하는 일반인의 다중 자아〔클로즈 업〕메소드 연기술의 기만·범죄 악용 우려
3. 페르소나와 배우의 연기 행위〔클로즈 업〕다른 분야에서 통용되는 ‘페르소나’의 의미
4. 롤링과 디롤링: 투사와 역투사 메커니즘〔클로즈 업〕‘무대 공포증’과 ‘카메라 공포증’의 대처
4장|연기의 심리과학적 구조: 알바 이모팅
1. 알바 이모팅의 개념
2. 알바 이모팅의 개발·발전 역사
3. 알바 이모팅의 원리와 구조
4. 스텝 아웃[심신의 중립화] 수련 절차
5. 알바 이모팅의 장·단점과 비판
5장|디롤링의 처치 원칙과 실행 기법
1. 디롤링 적용 원칙과 기법 개요
2. 베일리와 디킨슨의 ‘9 테크닉’
3. 발렌테와 폰태나의 ‘VPPS 기법’
4. 영국 캐스팅사 ‘스포트라이트’의 기법
5. 미국 배우 사이트 ‘스테이지밀크’의 기법
6. 호주 연기 교육 기관 ‘퍼폼 오스트레일리아’의 기법
7. 미국 공연전문 잡지 ≪백 스테이지≫의 제시법
6장|한국 환경에 적합한 ‘간편형 디롤링 모델’
1. ‘간편형 모델’의 재창조 사유
2. 한국에 적합한 ‘간편형 모델’ 내용〔클로즈 업〕배우 탕웨이가 심취한 ‘텃밭 가꾸기’ 효과
3. 내담 배우에 대한 상담가의 대응〔클로즈 업〕기다림이 숙명인 예술인의 ‘지루함’ 관리
7장|연기 장인들의 롤링-디롤링 마스터 클래스
1. ‘트렌드의 창조자인 거장 아티스트’ 윤복희 배우
2. ‘현대극과 전통연희의 달인’ 이상희 배우 겸 연출가
3. ‘독보적 카리스마와 광폭 연기의 지존’ 손병호 배우
4. ‘선 깊은 합의 예술가’ 한예종 출신 정연주 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