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다리의지학 개요
제1절. 절단 발생 및 원인 1
1. 절단의 발생빈도 1
2. 절단의 원인 1
3. 절단 후 합병증 3
제2절. 다리 절단의 종류 4
1. 다리 절단의 분류 4
2. 다리 절단의 선택과 그 원칙 5
3. 엉덩관절 이단 6
4. 넓적다리 절단 8
5. 무릎관절 이단 9
6. 종아리 절단 9
7. 발목관절 절단 10
제3절. 절단단의 관리 10
1. 탄력붕대 고정법(soft dressing) 10
2. 경성 붕대 고정법(rigid dressing) 11
3. 반경성 붕대 고정법(semirigid dressing) 12
4. 환경제어에 의한 절단단 창상 치료법 12
5. 절단단의 구축 예방 13
6. 절단단의 부종 예방 13
제4절. 의지 착용 시기 14
1. 일반적인 의지 착용 14
2. 임시 의지 착용 14
3. 수술 직후 의지 착용 15
제5절. 절단의 재활 과정 16
1. 의학적 재활 17
2. 심리적 재활 17
3. 사회경제적 재활 18
4. 직업적 재활 18
제6절. 의지의 분류 19
1. 절단 부위에 따른 분류 19
2. 구조에 따른 분류 19
3. 작동 방법에 따른 분류 20
4. 소켓에 따른 분류 20
5. 기능 및 용도에 따른 분류 20
6. 시기에 따른 분류 20
제2장. 의지의 재료
제1절. 석고 21
제2절. 섬유류 22
1. 직물 22
2. 캔버스 22
3. 고무가 들어간 직물 22
4. 나일론 매시 23
5. 펠트 23
6. 플란넬 24
7. 벨크로 24
제3절. 가죽 25
1. 인조가죽 25
2. 합성피혁 25
3. 천연가죽 25
제4절. 플라스틱 27
1. 플라스틱의 분류 27
2. 플라스틱 특성 27
3. 플라스틱 종류 28
제5절. 접착제 34
제6절. 목재 34
제3장. 장비 및 기기
1. 진공펌프 35
2. 탁상드릴 35
3. 히트 건 35
4. 석고 절단기 36
5. 소켓 그라인더 36
6. 스패출러 37
7. 접착제 통 37
8. 2채널 진공파이프 37
9. 바이스, 모루 38
10. 펜치류 39
11. 렌치류 40
12. 드릴류 41
13. 펀치류 42
14. 칼, 가위 42
15. 측정용 기구류 43
16. 망치, 쇠톱, 줄 44
17. 송곳, 드라이버류 44
18. 기계류 및 용접기 45
19. 재봉틀 46
제4장. 종아리의지 제작
제1절. 의지 제작을 위한 정보수집 48
1.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48
2. 절단단에 대한 특징 기술 48
3. 절단단의 외형 51
4. 원위부 패딩 51
5. 피하조직의 상태 52
6. 피부의 형태 53
7. 넓적다리부의 근육 상태 54
8. 절단단의 근육 상태 55
9. 무릎관절의 상태 55
10. 절단된 뼈의 말단부위 상태 57
11. 통증 58
제2절. 의지 제작을 위한 측정 59
1. 전-후 직경 측정 59
2. 내-외측 직경 측정 60
3. 절단단의 길이 62
4. 정강뼈의 길이 측정 62
5. 정상측 다리의 측정 63
제3절. 본뜨기 65
1. 재료 및 장비 65
2. 본뜨기 절차 65
제4절. 양성 석고 모델 수정하기 71
1. 측정 치수와 비교하기 71
2. 트림 라인 설정하기 71
3. 무릎힘줄 부위 수정하기 72
4. 오금부 수정하기 72
5. 넓적다리뼈 관절 융기 부위 안-가쪽 직경 수정하기 73
6. PBT_SC 종아리 의지의 안-가쪽 너비 수정 74
7. 정강뼈 안쪽 플레어(flair) 부위 수정하기 74
8. 외측 부위 수정하기 75
9. 앞정강근 부위 수정하기 75
10. 후방 트림 라인 수정하기 76
11. 석고 쌓기 77
제5절. 소프트 라이너 제작하기 78
1. 원위 끝 패드 제작 78
2. 라이너 제작 79
제6절. 종아리의지 정적 정렬 84
1. 이마면에서의 점검(가쪽 방향 불안정성) 84
2. 이마면에서의 점검(안쪽 방향 불안정성) 86
3. 시상면에서의 점검(무릎의 안정감 결여) 88
4. 시상면에서의 점검(PTB 종아리 의지의 커프(cuff) 부착하기) 91
제7절. 종아리의지 동적 정렬 92
1. 이마 면에서의 정렬(좌우 방향의 정렬) 92
2. 시상 면에서의 정렬(앞뒤 방향의 정렬) 93
3. 중력중심의 현저 상하 움직임 95
4. 초기 접지기에 의지 발의 회선 96
5. 흔듦기 채찍 현상(whipping) 97
제8절. 종아리의지 점검 및 평가 99
1. 의지 적용 후 문제점과 처치 99
2. 정강뼈 끝 부위 통증 100
3. 부종 102
제5장. 넓적다리의지 제작
제1절. 의지 제작을 위한 정보수집 103
제2절. 의지 제작을 위한 측정 106
1. 절단단에 중심선 그리기 106
2. 절단단 둘레 측정 107
3. 앞-뒤 직경 측정 108
4. 소켓의 근위부 단면 모양 110
5. 예측한 소켓 근위 단면 모양 확인 116
6. 소켓 형지의 작성 117
제3절. 본뜨기 118
제4절. 음성 석고 소켓 제작하기 120
제5절. 양성 석고모델 수정하기 126
제6절. 소켓 제작하기 128
제7절. 조립 및 정렬하기 133
1. 벤치 정렬 133
2. 정적 정렬 137
3. 동적 정렬 139
제8절. 점검 침 평가하기 146
1. 의지의 길이 점검 146
2. 소켓의 적합성 146
제6장. 다리의지 구성 요소
제1절. 현가장치 158
1. 커프, 스트랩, 벨트 158
2. 랜야드 159
3. 현가 기능을 지닌 소켓 159
4. 외부 슬리브 160
5. 핀 앤 로크 160
6. 라이너 없이 사용하는 흡입 방식 161
7. 라이너를 이용한 흡입 방식 162
8. 진공 보조 서스펜션 163
9. 골융합 164
제2절. 무릎관절 장치 165
1. 기계식 무릎관절 장치 169
2. 컴퓨터 제어식 무릎관절 장치 174
제3절. 의지발 및 발목관절 장치 176
1. 의지발의 기능적 분류 176
2. 의지발의 유형 및 특징 177
[ 참고문헌 ] 182
[ 찾아보기 ]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