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1장 김정은의 성장환경과 후계자로 내정된 배경
1. 김정은의 가족관계
2. 김정은의 출생 연도와 장소
3. 김정은이 후계자로 내정된 시기와 배경
4. 김정은의 스위스 유학과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졸업
제2장 김정일의 건강 이상과 김정은 후계체계의 출범
1. 2008년 김정일의 건강 이상과 후계자 조기 결정
2. 후계자 결정 사실의 대내적 공개와 김정은의 정책 관여
3. 김정은의 군부와 공안 기관 장악
4. 제3차 당대표자회와 ‘후계자 김정은’의 대외 공개
5. 김정은 영향력의 급속한 확대
제3장 김정은의 유일영도체계 확립 과정: 김일성·김정일의 후광 의존에서 탈피로
1. ‘선대 수령들’의 후광을 이용한 유일영도체계 구축(2011~2017)
2. 독자적 정통성 구축 및 ‘수령 김정은’ 본격 강조(2017~현재)
3. 김일성·김정일과의 차별성 확대 및 ‘수령 김정은’ 강조
제4장 김정은의 공포정치, 장성택 처형과 김정남 암살 배경
1. 김정은이 김정일보다 공포정치에 더 의존하고 있는가?
2. 장성택 숙청의 배경과 평가
3.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의 처형 배경
4. 김정남 암살 이유
제5장 김정은의 인사 스타일과 위임정치
1. 김정은의 인사 스타일
2. 항일 빨치산 2세의 대표 주자 최룡해의 위상과 역할
3. 경제개혁과 박봉주의 역할
4. 리병철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중용과 부침
5. 백두혈통 김여정의 특별한 위상과 역할
제6장 김정은의 정책결정 방식과 집체적 협의기구 활성화
1. 노동당의 정책결정기구 활성화
2. 당중앙군사위원회의 위상 강화와 역할 확대
제7장 김정은의 통치담론과 현지지도
1. ‘선군정치’에서 ‘인민대중제일주의정치’로
2. ‘우리국가제일주의’의 강조 배경과 의미
3. 김정은의 현지지도와 ‘애민정치’
제8장 핵·미사일 강국 건설과 현상타파 전략
1. 2013년 제3차 핵실험과 ‘핵보유국’ 지위 선전
2. 2016년 제4차 핵실험 배경과 성과
3. 2016년 제5차 핵실험과 2017년 제6차 핵실험 평가
4. 2017년 ICBM 시험발사와 ‘국가핵무력 완성’ 선포
5. 2019년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정면돌파 노선 채택
6. 2022년 핵무력정책 법령 채택과 핵 선제공격의 정당화
7. 신형 전술핵탄두 공개와 제7차 핵실험 전망
8. 핵무력강화정책 기조의 헌법 반영과 비핵화 거부 입장 재확인
9. 북한 핵무기의 ‘기하급수적’ 증가 전망과 한국 안보 위협
제9장 김정은의 대(對)미국 정상외교
1. 2018년 북미정상회담 추진 이전의 대미정책
2. 김정은의 비핵화 협상 추진 배경과 2018년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3. 2019년 하노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추진 과정
4.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진행 과정과 결렬 이유
5.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의 북미 관계와 판문점 회동
6. 2019년 스톡홀름 북미실무회담 결렬 이후 김정은의 대미정책
제10장 김주애의 위상과 4대 권력세습 전망
1. 김주애의 위상에 대해 부정확한 평가가 나온 이유
2. 수령후계자론과 후계체계 구축의 3단계
3. 김주애가 김정은의 첫째 자식이라고 보아야 하는 이유
4. 북한 선전을 통해 본 김주애의 위상
5. 4대 세습 전망과 남북 관계에의 함의
제11장 김정은을 어떻게 상대할 것인가?
1. 김정은의 리더십에 대한 과소평가와 대북 압박 정책의 실패
2. 김정은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오판과 한반도 비핵·평화 정책의 파탄
3. 김정은의 셈법을 바꾸기 위한 한국의 선택
제12장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