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데이코산업연구소
☆☆☆☆☆ 평점(0/5) | 리뷰(0)
데이코인텔리전스 | 2025-03-28 출간
판매가
480,000
즉시할인가
432,000
적립금
24,000
배송비
무료배송
네이버페이 적립
2%적립
카드할인
0
대상카드
삼성/신한/현대/BC/KB국민/롯데/하나(외환)/하나/NH채움/우리/씨티/수협/광주/제주/전북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목차

Ⅰ. 바이오 산업과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동향

1. 글로벌 바이오산업 및 정책 동향
1-1. 글로벌 바이오산업 동향
1) 글로벌 바이오산업 시장현황 및 전망
(1) 글로벌 바이오산업 전체 시장 전망
(2) 글로벌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시장 전망
(3) 글로벌 바이오산업 지역별 시장 전망
2) 글로벌 바이오산업 구조 현황
3) 글로벌 바이오산업 주요 플레이어
1-2.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동향
1)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매출 전망
(1) 바이오제약 산업 약물별 매출 전망
(2) 바이오제약 산업 기업별 매출 전망
2)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FDA 신약승인 전망
3)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IPO 전망
4)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VC 투자 전망
5)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M&A 전망
1-3. 유망 바이오 기술 동향
1) 유망 바이오 기술 최신 동향
2) 바이오 혁신의 핵심 전략 요소
(1) 유전자/빅데이터
(2) 생물학적 설계/제조
(3) AI/ML, 슈퍼컴퓨팅
3) 바이오 분야 핵심기술 연구 상위 5개 국가
1-4. 주요국 바이오 정책 동향
1) 미국
2) EU
3) 영국
4) 독일
5) 일본
6) 중국
2.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및 산업 동향
2-1.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1)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2) 마이크로바이옴의 중요성
3)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
(1) 영양분 흡수
(2) 약물대사 조절
(3) 면역체계 조절
(4) 뇌·행동 발달 조절
(5) 감염성 질환 예방
2-2. 마이크로바이옴 종류별 연구 동향
1)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2) 비뇨생식기 마이크로바이옴
(3) 호흡기 마이크로바이옴
(4)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5)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2)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1) 축산분야 마이크로바이옴
(2) 반려동물분야 마이크로바이옴
3)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1)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2)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
4) 환경 마이크로바이옴
(1) 환경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2) 환경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
2-3.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동향
1)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동향
(1)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주요 동향
(2)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M&A 및 투자동향
(3)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진출 유망 기업
(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2)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동향
3) 마이크로바이옴 LBP 및 CDMO 동향
(1) 마이크로바이옴 LBP 및 CDMO 개요
(2) LBP 제조
(3) LBP 품질관리
(4) 마이크로바이옴 제조 파트너
4)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
(1)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2) 규제 고려사항
2-4.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산업별 동향
1) 헬스케어 산업
2) 화장품 산업
3) 식음료 산업
2-5. 마이크로바이옴 주요 기반 기술
1) 디지털 기술
2) 합성생물학
3) 배양기술

Ⅱ.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정책 동향
1-1.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 전망
1)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 전망
2)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 전망
(1)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개요
(2)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
3)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서비스 시장 규모 전망
(1)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서비스 시장 개요
(2)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서비스 시장 규모
(3)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시장 주요 플레이어
1-2. 마이크로바이옴 정책 동향
1) 주요국 마이크로바이옴 정책 동향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2)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정책 동향
(1)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전략
(2)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3)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전략 - 유용미생물은행
2.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동향
2-1.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기술개발 동향
1)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정의와 메커니즘
2)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유형과 종류
(1)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2)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3) 분변 미생물군 이식(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4) 신바이오틱스(Synbiotics)
(5)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
(6) 박테리오파지 치료
(7) 인공 미생물군 치료제
3)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장단점
(1)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장점
(2)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단점
4)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응용 분야
(1) 소화기 질환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2) 피부 질환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3) 면역 질환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5)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 동향
(1)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최근 연구개발 동향
(2)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의 임상 시험 결과
6) 국내외 제약사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현황
2-2.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1) 장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 체계
(1) 면역체계와 장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2) 장 장벽 구조
(3) 선천면역(innate immunity)
(4) 후천면역(Adaptive immunity)
2)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관련 질환 연구 동향
(1) 장 면역 관련 질환과 마이크로바이옴과의 관련성
(2)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면역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 동향
3)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뇌/신경질환 연구 동향
(1) 장내 미생물-뇌 축
(2) 장내 미생물 관련된 뇌/신경질환들
(3)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산업 동향
2-3.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1)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2) 피부 미생물들의 다양한 생리학적 역할
(1) 미생물 장벽 기능(Microbial barrier)
(2) 물리적 장벽 기능(Physical barrier)
(3) 화학적 장벽 기능(Chemical barrier)
(4) 면역학적 장벽 기능(Immune barrier)
3) 피부 미생물들과 피부 질환과의 관계
(1) 아토피(Atopic Dermatitis)
(2) 건선(Psoriasis)
(3) 여드름(Acne)
(4)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5)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6) 피부암(Skin cancer)
4) 피부 미생물들을 활용한 다양한 피부 질환 치료법
2-4.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1)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요
2)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1)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해외 연구 동향
(2)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국내 연구 동향
2-5. 첨단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
1) 마이크로바이옴과 합성생물학의 만남
(1) 인간의 건강과 인체 공생 미생물
(2) 합성생물학과 프로바이오틱스
(3)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2)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
(1)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2) 인공유전자회로 이용 생체내외 질병 진단
(3)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장내 염증 진단
(4) 인공유전자회로와 대사제어를 통한 세균성 감염 치료
(5)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한 암 치료
(6)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의 환경 노출 억제

Ⅲ. 마이크로바이옴 주요업체 사업동향

1. 국내 바이오, 제약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업체 사업동향
1-1. ㈜유한양행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바이옴 질염치료제 임상 2상 시험
(2) 국내 최초 혈당 케어 프로바이오틱스 출시
1-2. 일동제약㈜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R&D 전담 자회사 유노비아(YUNOVIA) 출범
(2)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브랜드 지큐랩
(3)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탈모관리 샴푸 출시
1-3. ㈜종근당바이오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바이옴 파이프라인 확보
(2) 엔테로바이옴과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공동연구 협약
(3)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센터 개소
1-4. ㈜팜젠사이언스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소화기 전문의약품 사업 경쟁력 강화
(2) 휴먼-마이크로바이옴 DNA NFT Platform 비즈니스 진출
1-5. ㈜지놈앤컴퍼니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ADC·화장품 사업 주력
(2) 신규타깃 면역항암제 GENA-104 KDDF 10대 우수과제 선정
(3)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면역항암 치료제 GEN-001
(4) 마이크로바이옴 균주 활용 비만치료제 부작용 해결
1-6. ㈜쎌바이오텍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바이옴 대장암 타깃 국내 첫 임상
(2) 유산균의 생물전환능을 활용한 항염증 쓴메밀 유산균 제품개발
(3) 한국산 질 유산균 개발
(4) 프로바이오틱스 수출 현황
(5) 마이크로바이옴 대장암 신약 항암 작용기전 규명
1-7.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대장암 유발 대장균 유래 유전독소 제어물질 확보-유효성 확인
(2) 췌장암 연관 마이크로바이옴서 프로파지·잼파지규명
1-8. ㈜제노포커스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HLB그룹에 인수
(2) 항산화효소 SOD의 난임환자 생식기능 개선 효과 확인
(3) 항산화효소 SOD 안구건조증 치료 효과 입증
(4) 마이크로바이옴 장질환·안질환 치료제 전략
1-9.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 (구, ㈜천랩)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출시
(2)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목표
(3)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전략
(4) 4D파마 신약후보, 플랫폼 기술 인수
1-10. ㈜고바이오랩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비만 치료제 핵심 균주 KBL982 미국 특허 등록 결정
(2) 마이크로바이옴 건선 치료제 임상
1-11. ㈜셀트리온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12. ㈜마크로젠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서비스
(2)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1-13. ㈜엔테로바이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극혐기성·난배양성 균종 고수율 배양 특허기술
(2)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연구
(3)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기능식품 사업
1-14. ㈜노드큐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결핵 보조 치료제 프로바이오틱스 소재 개발
(2)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특허 등록
(3) 동물용 마이크로바이옴 소재 개발
1-15. 디엑스앤브이엑스㈜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Dx&Vx 치료보조제
(2) 개인맞춤 마이크로바이옴 미생물 분석 서비스
1-16. ㈜리비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염증성장질환(IBD) 치료제 LIV001 호주 임상 1a상 완료
(2) 미생물유전자치료제 플랫폼
1-17.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바이옴 건강기능식품
(2) 원발경화성담관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FDA 2상 승인
(3) GC녹십자웰빙과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 MOU
1-18. ㈜에이치이엠파마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암웨이와 마이크로바이옴 공동 연구 협약
(2) PMAS 플랫폼과 마이랩
1-19. ㈜엔비피헬스케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인지기능 개선 유산균 유럽 특허 등록
(2) 바이크롬 간유산균, 알콜성 간 손상 개선 개별인정형 추가 획득
1-20. ㈜엠디헬스케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바이옴약 치매 치료 기전 규명
(2)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자폐증 신약 개발
1-21. 이뮤노바이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프로바이오틱스 건기식 사업 확대
(2) 임상 적용 모델 아바티옴 플랫폼 구축
1-22. ㈜지아이바이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마커 발굴
(2) 프로젠과 비만 치료제 공동개발
(3) DCT 사업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 MOU
(4) 노인성 근육질환 개선 물질 특허
1-23. ㈜헬스바이옴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아커만시아 포스트바이오틱 건기식 원료 글로벌 진출
(2) 아커만시아 균주 항암제 일본 특허 등록
(3) 절대혐기성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2. 국내 식품, 화장품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업체 사업동향
1-1. ㈜아모레퍼시픽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인공지능 피부 진단 시스템
(2)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맞춤형 화장품
1-2. ㈜LG생활건강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마이크로액티브 신규 라인 출시
(2) 마이크로바이옴 맥주효모 영양샴푸 출시
(3) 홋카이도 마이크로바이옴센터 설립
1-3. 한국콜마㈜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여드름균-노화 연관성 세계 최초 규명
(2) 피부 광노화 억제 마이크로바이옴 세계 최초 발견
(3)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조절 기술
(4)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탈모 개선 원료 개발
1-4. 코스맥스㈜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남극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개발 추진
(2) 문제성 피부 개선 마이크로바이옴 솔루션 개발
(3) 연구연합체 코스맥스BF 발족
(4) 2세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발견
1-5. ㈜현대바이오랜드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건기식 소재사업
(2) 치과용 멤브레인
1-6. ㈜비피도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1) 비피더스균 마이크로바이옴, 건기식→치료제 확장
(2) 자체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화장품 중국 허가 승인
(3) 마이크로바이옴센터
1-7. ㈜네오크레마
1) 회사 현황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현황과 전략

Ⅳ. 첨단 바이오소재 기술 로드맵과 한·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연구테마

1. 첨단 바이오 산업 미래소재 기술로드맵
1-1. 첨단 바이오 미래 소재분야 기술 개요와 동향
1) 첨단 바이오 미래소재 기술 개발의 필요성
(1) 첨단 바이오소재 정의와 역할
(2) 첨단 바이오 소재의 중요성
2) 첨단 바이오 미래소재 시장 환경 변화와 분야별 주요 이슈
(1) 글로벌 첨단 바이오 미래소재 시장 환경 변화
(2) 첨단 바이오 핵심 기술 이슈
(3) 첨단 바이오 소재 이슈
(4) 공급망 이슈
1-2. 첨단 바이오 미래 소재분야 기술 로드맵(2022-2035)
1) 첨단 바이오 분야 총괄 기술 로드맵(2022-2035)
2) 첨단 바이오 분야 9대 세부 기술 로드맵
(1)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2)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3)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4)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5)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
(6)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7)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8)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9)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2. 한국·일본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연구테마
2-1. 한국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연구테마
1)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면역 증진 고기능성 소재 개발 및 산업화
2) 생애주기별 장 환경 장애 개선 기능성 프리바이오틱스 자원 소재화 및 산업화 핵심기술 개발
3) 첨단의약 바이오소재 국산화를 위한 미생물 기반 생산 최적화 기술 개발
4) 바이오파운드리용 차세대 초소형 미생물 배양장치 개발
5) (3세부) 고효율 미생물 균주 기반 산업용 바이오색소재 상용화 생물제조공정 및 응용
제품 개발
6) 박테리아 셀룰로스 고효율 생물제조공정 및 생활밀착형 내유/내수지 제품화 기술개발
7) 재조합 미생물 기반 고순도 비만치료용 펩타이드 의약 소재 GMP 대량 생산 기술 개발
8) 식품 마이크로바이옴 효소(ERFM) 자원화 기술 개발
9) 식품 소재의 마이크로바이옴 영향 분석과 소재 사업화
10)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대사증후군 개선 식품 신소재 개발
11) 돼지의 소화효율 개선 및 질병저항성 증진을 위한 면역 증강 미생물제제 개발
12) 마이크로바이옴 정보 기반 작물재배 관리 복합 미생물제 개발 및 현장 실증
13) 복합종균 기반 맞춤형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및 산업화
14)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대량생산 및 파라-프로바이오틱스(사균체)
소재화 기술개발
15) (총괄)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감염면역질환 치료기술 개발
16) (1세부) 간이식 환자들의 치료 및 예후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기술 개발
17) (2세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경인성방광 혹은 소아 발생 요로감염 예방 및 치료
기술개발
18) (3세부) 화농성 한선염 및 중증여드름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면역치료기술 개발
19)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중증 뇌혈관 질환 예후예측 및 치료기술 개발
20)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기술 개발
21) 면역항암제 효능 증강 유도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기술 개발
2-2. 일본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연구테마
1) 조기폐선암 진행의 기전 규명과 극복을 위한 기초적 연구(2023-2027)
2) 알칼리 논에서의 벼뿌리권 마이크로바이오터의 특징과 탄소질소 역학(2023-2027)
3)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창약에 기여하는 신규 인간 장관 모델의 구축(2023-2025)
4)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가 대기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
(2023-2025)
5) 오르가노스피어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다차원 종양 분석 및 차세대 치료
효과 예측 시스템 구축(2023-2025)
6) MPN 무장세균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재구축(2023-2025)
7) 구강 세균총으로 뇌를 지킨다 : 항치매 플라즈마 로겐을 생산하는 혐기성균의 동정
및 응용(2023-2026)
8)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장내 미생물군유전체-골 대식세포 축
(2023-2026)
9) 세균과 유전자 발현의 시각화에 의한 종양 내 세균이 전이에 미치는 영향의 해명
(2023-2025)
10)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로 개척하는 도시 공학의 새로운 관점(2023-2026)
11) 아마존 원주민 와올라니족의 유전적 다양성과 마이크로바이옴 해석으로 보는 생활문화
(2023-2025)
12) 사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이용한 사후경과시간 추정법 개발(2023-2026)
13) 구강·대장 마이크로바이옴이 이끄는 대장암 예측 시스템과 예방법의 개발(2023-2026)
14) 메타게놈 분석을 이용한 유리체 질환에서의 마이크로바이옴의 동정(2023-2026)
15) 일본인 두경부 암 환자에서 구강 박테리아 군의 완전한 분석에 의한 특이 박테리아
군의 동정(2023-2028)
16) 전신성 강피증의 병태 형성에서의 마이크로 바이옴의 작용 기전의 해명과 신규 약제의
개발(2023-2025)
17) 호흡기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학에 초점을 맞춘 치주질환에 의한 COPD 악화 메커니즘의
해명(2023-2026)
18) 방광내 마이크로바이옴은 Toll과 같은 수용체를 통해 방광암 진전에 관여하고 있는가?
(2023-2026)
19)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에 의한 너구리의 인간 인수 공통 감염 병원체 전파 위험 해명
(2023-2026)
20) 궤양성 대장염에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 저하 메커니즘 해명과 그 제어
(2023-2026)
21) 장수 지역의 노인에서의 구강 기능 및 구강 내 및 장내 플로라의 검토(2023-2027)
22) 나노 포어 시퀀스를 이용한 구강 박테리아 총 분석에 의한 ARONJ 위험 진단의 구축
(2023-2026)
23) 다각적 NGS 게놈 분석 및 AI 영상 분석에 의한 호산구성 부비동염의 난치화 인자
해명(2023-2026)
24) 여성 생식기관 마이크로바이옴의 이상에 따른 염증성 질환에 주목한 불임의 병태 해명
(2023-2026)
25) 질 메타 볼롬의 변화가 자궁 경부 종양 발생 및 진전에 이르는 역할(2023-2026)
26) 마이크로바이옴 제어에 주목한 요로 상피암의 새로운 치료 개입법의 개발(2023-2026)
27) 특발성 대퇴골두 괴사증에서의 다발골 괴사 발생과 마이크로바이옴 이상의 연관성
(2023-2026)
28) 교모종 종양내 세균총 프로파일링 및 생리기능 규명(2023-2026)
29) 소화기 암에서 구강 내 박테리아의 염증 유도 박테리아와 면역 반응성 T 세포의
기능 분석(2023-2026)
30) 류마티스 관절염과 관련된 간질성 폐질환의 호흡기 감염 발병 위험을 다층적으로
분석하는 기초 연구(2023-2026)
31) 아토피 성 피부염의 각질 세포 간 지질과 피부 상재 박테리아의 혼선 해명(2023-2026)
32) 폐섬유증 폐마이크로바이옴 해석에 기반한 퍼지요법을 포함한 신규 치료 개발(2023-2026)
33) 소장 마이크로바이옴 및 숙주인자에 주목한 간성뇌증에 대한 신규 치료 접근법
(2023-2026)
34) 난소암에서 장관 마이크로바이옴과 PARP 억제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2023-2026)
35) 인간 췌장조직 마이크로바이옴에 의한 췌장암 특이적 균종 동정과 신규 암 발병기전
해명(2023-2028)
36) 난치성 심상성 건선에 대한 파지 함유 마이크로바이옴 이식요법의 창출(2023-2026)
37) 메타게놈 분석에 의한 인체의 전체 소화관 박테리아총의 동정 및 임상 응용에 대한
접근(2023-2028)
38) 간질 발병 예방에 효과적인 프로바이오틱스의 작용 메커니즘과 뇌장 상관관계(2023-2026)
39)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지방산 대사물의 신경세포 장애/보호 메커니즘 해명(2023-2026)
40) 에피게놈 제어를 통한 프리시젼 에이징을 목표로 하는 신경발달증 노화 연구(2023-2025)
41) Phageome 해석에 의한 구강 세균총 형성에서의 박테리오파지 관여 해명(2023-2026)
42) 마이크로바이옴과 게놈 해석을 통해 췌장암의 위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가?
(2023-2027)
43) 대장암에서 구강 Gx 바이오필름의 의의와 제어(2023-2026)
44) 장내 마이크로바이오믹스 건강·질환 병태에 작용하는 장내 세균총 유래의 대사물의
이해(2023-2028)
45) 심부지하권 미지아키아: 배양기술과 환경오믹스 정보로 풀어내는 그 심연한 신생물
기능(2023-2028)
46) 안구의 항상성 유지와 관련된 마이크로 바이옴에 의한 지질 대사 제어 메커니즘의
해명(2023-2025)
47) 마이크로 바이옴 메타 볼롬 분석을 통한 상처 환경 최적화 : 상처 감염 예방의 새로운
전략(2023-2025)
48) 조몬인 바이러스에서 풀리는 고대인 바이롬과 바이러스 진화(2023-2024)
49) 긴꼬리원숭이류 혼군 형성 요인 해명 : 게놈 침투와 사회 마이크로바이옴에 주목
(2023-2025)
50) 심해 생저생 유공충 세포 내의 마이크로바이옴의 기능·활성(2023-2024)
51) 벡터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바이러스성 인수공통감염병 제어 신전략(2023-2024)
52) 고대 마이크로바이옴 해석에 의한 조몬인의 식성·건강·행동의 연구(2023-2024)
53) 담도암 환자의 종양 내, 담즙 내 세균총과 화학요법에 대한 저항성/예후와의 관련
(2022-2024)
54) 시스트·네코브·네모구리 기생 고리를 지지하는 선충 공생 코어 마이크로바이옴 실태
규명(2022-2024)
55) 진핵·원핵 미생물의 포괄적 마이크로바이옴 해석을 통한 수처리 생태계 설계 도전
(2022-2024)
56)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해석을 통한 오연성 폐렴의 새로운 진단기준 개발(2022-2025)
57) 지역 주민의 장관에 대한 구강 세균 이소성 정착과 그 위험 인자의 해명(2022-2024)
58)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 내 상재 세균총의 해명
(2022-2025)
59) 크론병 특유의 변화를 수반하는 장관막 내 자연면역세포 내 세균군에 주목한 병태해명
연구(2022-2025)
60) 라오스 북부 도시화가 장내 미생물 총에 미치는 영향(2022-2024)
61) 텔로아르를 구성하는 내부 요인 : 포도나무 내 마이크로 바이옴의 품종 및 지역 간
분석(2022-2025)
62) 식이섬유 리스폰더에 특징적인 마이크로바이옴·유전자·효소 해명(2022-2024)
63) IBD를 악화시키는 환경 요인 해명(2022-2025)
64) 구강과 구개 편도 마이크로바이옴이 만성 신장병에 미치는 포괄적인 메커니즘 규명
(2022-2025)
65) 신규 하이브리드식 구취판정법 개발(2022-2025)
66) 후성 유전학 및 박테리아 총 분석에 기초한 Oral Aging Clock 개발(2022-2025)
67) 구강세균총의 오믹스 해석을 통한 구강암 발병기전 해명과 위험진단 구축(2022-2025)
68) 타액 중의 구강세균총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근거한 구강암 발암·진전 예방법의
개발(2022-2025)
69) 마이크로바이옴이 제어하는 구강암 줄기세포 틈새에서 PD-L1의 발현 역학 해명
(2022-2025)
70) Disbiosis에서 치주 병원균 간 상호작용에 의한 병원성 증진 메커니즘 해명(2022-2025)
71) 베체트 병안 증상과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메타게놈 해석(2022-2025)
72) 노화와 상재세균총의 변화에 의한 마이봄샘지질대사제어기구의 변조 해명(2022-2025)
73) 모체당뇨병이 아동에게 초래하는 신경발달장애 장내세균총을 이용한 신규 바이오
마커 탐색(2022-2026)
74) 요세균총 게놈의 다양성으로 본 야뇨증의 병태 해명과 유전자 진단법·항균약 치료법
개발(2022-2025)
75) 나노포어 시퀀서에 의한 혈중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에 기초한 패혈증 진단 기술 개발
(2022-2025)
76) 폐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형과 자연면역반응 이상에 주목한 IPF 병태 해명(2022-2025)
77) 탈모증의 악화 인자로서의 두피 마이크로 바이옴의 분석 및 새로운 치료법의 제안
(2022-2025)
78) 토양 마이크로바이옴이 고정하는 CO2의 동태 해명(2022-2024)
79)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대규모 계대 배양을 통한 영양 공생 관계 해명(2022-2024)
80) 구강내·장내 환경의 해석에 의한, 염분·당분 부하가 뇌졸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2022-2023)
81) 마이크로바이옴과 종양 관련 호중구에서 본 췌장암 미니 생태계(2022-2025)
82) 에피게놈 변화에 주목한 라이프 스테이지에 따른 사회인지 특성 평가(2022-2025)
83) 장내 pathobiont를 표적으로 한 퍼지요법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2022-2026)
84) 동적 멀티오믹스 해석에 의한 토양 유기물 분해 기구의 해명(2022-2026)
85) 신생아 패혈증에서의 발병 예측 인자·병원 미생물 동정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해석
(2022-2024)
86)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간암종양면역조절기구 규명과 신규 치료법 개발(2021-2023)
87) 구장 관련 대장암 위험 잠재 점막 친화성 Pathobiont 검색(2021-2023)
88) 분석유전체해석을 통한 조몬인의 영양, 위생, 건강상태의 멀티 프로파일링(2021-2023)
89) 쌀 텔로아르를 관장하는 미생물의 존재 여부 검증(2021-2024)
90) 기존 모티브 배열이 없는 혁신적 테르펜 합성효소 탐색연구(2021-2023)
91) 배지성분 분석 × 인공지능에 의한 스마트 미생물 사냥에 도전(2021-2023)
92) 자당 과당 영양의 새로운 패러다임 설립(2021-2024)
93) 타액과 구강 세균총이 공동작용 생산하는 입의 영양소·생리활성 메타볼라이트
(2021-2024)
94) 장내 세균에 의한 약물대사 활성화 분자기반 규명(2021-2024)
95) 근권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지속형 농업 실현 벼 유전자 탐색과 육종 이용
(2021-2024)
96) 혀 마이크로바이옴 제어 실현을 위한 폴리페놀의 유용성 검증(2021-2023)
97) 치주염 국소세균총의 디스바이오시스 해명과 치주기본치료가 주는 효과의 망라적
해석(2021-2025)
98) 트랜스오믹스 해석에서 풀어주는 임플란트 주위염의 포괄적인 해명(2021-2022)
99) 진드기 항원 설하 면역요법의 응답성과 관련된 약리유전학적 바이오마커 개발
(2021-2023)
100) 메타게놈 해석을 이용한 임산부의 구강 내 태반세균총과 임신합병증 및 전귀에
관한 검토(2021-2024)
101) 자궁경부암 FFPE 조직을 이용한 16s rRNA 마이크로바이옴 해석(2021-2024)
102) 선천성 톡소플라즈마 감염증의 쌍형 리셉터를 통한 면역도피기구 규명(2021-2025)
103) 지속적인 유익 미생물 창출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내 자원 지적화 수리 모델 구축
(2021-2024)
104) 개인마다 다른 구강 미생물 총을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법 개발(2021-2025)
105) 차대 치주질환 예방약 개발을 위한 선택적 예방 메커니즘의 해명(2021-2024)
106) 구강 세균에 의한 대사와 에피게놈의 크로스토크를 통한 구강암 치료 저항성 기전의
해명(2021-2024)
107) 구강 편평상피암 및 중복암의 잠재적 구강 소아마비 바이러스 관련(2021-2024)
108) 만성 염증 질환의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해석(2021-2022)
109) 마이크로바이옴 해석에 의한 상기도 난치성 알레르기성·호산구성 염증의 병태 해명
(2021-2025)
110) 드래그 저장소에 의한 종양 미세 환경을 표적으로 한 혁신적 치료법 개발(2021-2024)
111) 관절염이 일어나기 전 단계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을 인공지능으로 예측하는
다각적 연구(2021-2025)
112) 인간 피부 미생물 총에서 균주 수준에서의 신규 기능 식별(2021-2024)
113) 폐암 발병에 있어서 세균총의 관여 연구(2021-2024)
114) 피로리균 감염 및 미감염 위암 발병기전 규명을 위한 트랜스오믹스 해석(2021-2024)
115) 대사장애성 지방성 간질환에서 자연면역반응의 변형에 대한 영양면역제어
(2021-2024)
116) PTK6 패밀리인산화효소의 생리학적 의의 규명과 병태해석에의 응용(2021-2024)
117) 마이크로바이옴이 제어하는 초파리 알 형성 분자 기구의 해명(2021-2024)
118) 난배양 진균의 미니 메타게놈 해석법 확립과 신규 유전자 탐색(2021-2024)
119) 조기 신생아기 구강 내 세균수 변화로부터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가
(2021-2022)
120) 산성 극한 환경에서의 바이오 필름 수지상 구조화의 신비와 그 금속 원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의 해명(2021-2024)
121) DOHaD 연구모델을 이용한 아토피피부염 초조기 라이프스테이지 개입법 개발
(2021-2026)
122) 림프부종에 속발하는 렌사구균에서의 봉와직염 발병기전과 그 예방·완화 케어 대책
(2021-2025)
123) 피부세균·진균총에 주목한 실금 관련 피부염 신규 위험요인 탐색과 예방케어 개발
(2021-2025)
124) 당뇨병성 궤양의 관리방법 창출을 위한 기초연구 : 에스트로겐 작용의 치유 메커니즘
규명(2021-2025)
125)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새로운 기능:「부대사계」의 해명에 의한 구강과 전신의
건강 증진 전략(2021-2025)
126) 호산구성 부비강염에 대한 마르티오믹스 해석(2021-2024)
127) 폐수처리시스템 신기지표 미생물 「DPANN 아키아」진단기술 개발과 실태 규명
(2021-2025)
128) 천연 VS 배양 : 스트레스 하에서 산호 마이크로바이옴의 기능적 반응 해명
(2021-2023)


표 목차

Ⅰ. 바이오 산업과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동향
〈표1-1〉 응용분야별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규모 전망
〈표1-2〉 바이오 혁신의 4대 핵심 전략 요소
〈표1-3〉 바이오-디지털 융합연구 주요 사례
〈표1-4〉 미래산업 혁신발전 추진 방안 중 바이오 관련 내용
〈표1-5〉 14차 5개년계획 기간 바이오 분야 국가 중점 연구개발 프로젝트(2022년)
〈표1-6〉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산업 분야
〈표1-7〉 마이크로바이옴 주요 기술 분야
〈표1-8〉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표1-9〉 마이크로바이옴과 인체 건강의 상관관계
〈표1-10〉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로 분석한 식물 연관 미생물 군집
〈표1-11〉 기타 환경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기술의 우수 사례
〈표1-12〉 Bacthera의 제공 가능 서비스 목록
〈표1-13〉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제품 개발을 위한 가치사슬에 따른 기반 기술
〈표1-1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디지털 기술
〈표1-15〉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는 학계 및 연구기관의 디지털 기술 개발
〈표1-16〉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디지털 혁신 사례
〈표1-17〉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상용화된 합성생물학 기술
〈표1-18〉 비의료 응용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의 잠재력을 연구하는 연구소
〈표1-19〉 미생물공학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생물학 혁신 사례
〈표1-20〉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배양기술
〈표1-21〉 배양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사례
〈표1-22〉 배양 불가능한 미생물의 글로벌 혁신 사례

Ⅱ.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표2-1〉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서비스 세계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표2-2〉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시장의 지역별 세계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표2-3〉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시장의 유형별 세계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표2-4〉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시장의 사용자별 세계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표2-5〉 National Microbiome Initiative(NMI) 부처별 주요 투자 내용
〈표2-6〉 메타게놈 프로젝트(MetaHIT)의 연구내용 및 성과
〈표2-7〉 Horizon2020 프로그램 지원 프로젝트 및 주요 내용
〈표2-8〉 차세대 치료 진단 실현을 위한 신약개발 기반기술 개발사업(마이크로바이옴)
〈표2-9〉 마이크로바이옴 활용제품 사례
〈표2-10〉 유용미생물은행 구축 현황
〈표2-11〉 미생물군 기반 치료법의 장점, 단점 및 활용 방안
〈표2-12〉 유전자 조작 프로바이오틱스 전임상 및 임상 연구
〈표2-13〉 미생물 대사산물의 전임상 및 임상 연구
〈표2-14〉 박테리오파지 치료의 출판된 전임상 및 임상 연구
〈표2-15〉 인공 미생물군 치료제의 출판 및 진행 중인 전임상 및 임상 연구
〈표2-16〉 국내외 제약사들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현황

Ⅲ. 마이크로바이옴 주요업체 사업동향
〈표3-1〉 ㈜유한양행 프로필
〈표3-2〉 유한양행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3〉 일동제약㈜ 프로필
〈표3-4〉 일동제약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5〉 일동제약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6〉 ㈜종근당바이오 프로필
〈표3-7〉 종근당바이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8〉 종근당바이오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9〉 ㈜팜젠사이언스 프로필
〈표3-10〉 팜젠사이언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11〉 팜젠사이언스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12〉 ㈜지놈앤컴퍼니 프로필
〈표3-13〉 지놈앤컴퍼니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14〉 지놈앤컴퍼니 파이프라인 현황
〈표3-15〉 ㈜쎌바이오텍 프로필
〈표3-16〉 쎌바이오텍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17〉 쎌바이오텍 매출실적
〈표3-18〉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프로필
〈표3-19〉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20〉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21〉 ㈜제노포커스 프로필
〈표3-22〉 제노포커스 매출실적
〈표3-23〉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 프로필
〈표3-24〉 CJ바이오사이언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등의 매출액
〈표3-25〉 CJ바이오사이언스 사업 분야별 제품 및 서비스 현황
〈표3-26〉 ㈜고바이오랩 프로필
〈표3-27〉 고바이오랩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28〉 고바이오랩 매출실적
〈표3-29〉 ㈜셀트리온 프로필
〈표3-30〉 셀트리온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31〉 셀트리온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32〉 셀트리온 파이프라인 현황
〈표3-33〉 ㈜마크로젠 프로필
〈표3-34〉 마크로젠 주요제품의 현황
〈표3-35〉 마크로젠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36〉 ㈜엔테로바이옴 프로필
〈표3-37〉 ㈜노드큐어 프로필
〈표3-38〉 디엑스앤브이엑스㈜ 프로필
〈표3-39〉 디엑스앤브이엑스 주요제품의 현황
〈표3-40〉 디엑스앤브이엑스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41〉 ㈜리비옴 프로필
〈표3-42〉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프로필
〈표3-43〉 ㈜에이치이엠파마 프로필
〈표3-44〉 ㈜엔비피헬스케어 프로필
〈표3-45〉 ㈜엠디헬스케어 프로필
〈표3-46〉 이뮤노바이옴㈜ 프로필
〈표3-47〉 ㈜지아이바이옴 프로필
〈표3-48〉 ㈜헬스바이옴 프로필
〈표3-49〉 ㈜아모레퍼시픽 프로필
〈표3-50〉 아모레퍼시픽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51〉 아모레퍼시픽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표3-52〉 ㈜LG생활건강 프로필
〈표3-53〉 LG생활건강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54〉 한국콜마㈜ 프로필
〈표3-55〉 한국콜마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56〉 코스맥스㈜ 프로필
〈표3-57〉 코스맥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58〉 코스맥스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59〉 ㈜현대바이오랜드 프로필
〈표3-60〉 현대바이오랜드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61〉 현대바이오랜드 사업 부문별 매출실적
〈표3-62〉 ㈜비피도 프로필
〈표3-63〉 비피도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표3-64〉 비피도 매출실적
〈표3-65〉 ㈜네오크레마 프로필
〈표3-66〉 네오크레마 주요 제품 등의 매출 현황

Ⅳ. 첨단 바이오소재 기술 로드맵과 한·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연구테마
〈표4-1〉 첨단 바이오 소재 분야 총괄 기술 로드맵(2022-2035)
〈표4-2〉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3〉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4〉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5〉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6〉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7〉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8〉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9〉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10〉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11〉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12〉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13〉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14〉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15〉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16〉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17〉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18〉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19〉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20〉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21〉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22〉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23〉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24〉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25〉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표4-26〉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난제기술 및 핵심 요구성능
〈표4-27〉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표4-28〉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그림 목차

Ⅰ. 바이오 산업과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동향
〈그림1-1〉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규모
〈그림1-2〉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규모 전망
〈그림1-3〉 글로벌 바이오 산업 응용 분야별 규모 현황
〈그림1-4〉 글로벌 바이오 산업 지역별 규모 현황
〈그림1-5〉 글로벌 바이오 산업 구조 현황
〈그림1-6〉 2025년 약물별 매출 전망
〈그림1-7〉 2025년 제약사별 매출 전망(처방 매출 기준)
〈그림1-8〉 상위 신규 매출*: 기업
〈그림1-9〉 FDA 신약 승인 전망
〈그림1-10〉 바이오제약 산업 IPO 거래 규모
〈그림1-11〉 바이오제약 산업 VC 투자 현황
〈그림1-12〉 바이오제약산업 M&A 시장 현황
〈그림1-13〉 첨단바이오 기술 발전
〈그림1-14〉 합성생물학의 발전 및 산업영향
〈그림1-15〉 바이오분야 핵심기술 연구 상위 5개 국가
〈그림1-16〉 미생물의 분류
〈그림1-17〉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용어 분류
〈그림1-18〉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 분석 기술의 발달
〈그림1-19〉 인체 부위별 마이크로바이옴 구성
〈그림1-20〉 장내세균의 유해균 및 유해물질 억제 기작
〈그림1-21〉 마이크로바이옴과 동물의 생산성 및 축산물 품질과의 상관관계
〈그림1-22〉 국내 반려동물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그림1-23〉 국외 반려동물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그림1-24〉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그림1-25〉 마이크로비옴과 환경
〈그림1-26〉 환경 마이크로바이옴을 위해성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선행 작업
〈그림1-27〉 2022년 월별 마이크로바이옴 투자액
〈그림1-28〉 마이크로바이옴 모달리티별 투자액
〈그림1-29〉 마이크로바이옴 적응증별 투자액
〈그림1-30〉 인체 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Human Gut Microbiome Atlas)
〈그림1-31〉 LBP 제조 및 유통을 위한 일반적인 과정
〈그림1-32〉 마이크로바이옴 종류 및 관련 적응증
〈그림1-33〉 eLBP와 관련된 임상시험 현황
〈그림1-34〉 글로벌 주요기업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치료제 개발 현황

Ⅱ.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그림2-1〉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분야
〈그림2-2〉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그림2-3〉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전망
〈그림2-4〉 글로벌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생태계
〈그림2-5〉 인체 바이크로바이옴 제품별 시장 규모
〈그림2-6〉 NIH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투자 현황
〈그림2-7〉 Metagenome 분석과정
〈그림2-8〉 장내 미생물과 인체 간 상호영향
〈그림2-9〉 참여 부처간 사업 연계도
〈그림2-10〉 미생물군 기반 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접근법
〈그림2-11〉 장 상피 장벽의 구성
〈그림2-12〉 장 마이크로바이오타와 선천면역세포 상호작용
〈그림2-13〉 장내 미생물과 Treg
〈그림2-14〉 장내 IgA 생성 기전
〈그림2-15〉 IBD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의 영향
〈그림2-16〉 리바이오타 예상 작용 기전
〈그림2-17〉 장내 미생물-뇌 축
〈그림2-18〉 뇌질환과 마이크로바이옴과의 상관관계
〈그림2-19〉 NIH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단계
〈그림2-20〉 통합된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의 잠재적 영향들
〈그림2-21〉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복잡성과 다기능성 간의 관계
〈그림2-22〉 작물식물 및 잡초와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서로다른 상호작용
〈그림2-23〉 식물과 병원체 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
〈그림2-24〉 미생물-식물 상호작용에 있어서 개별 미생물 기반 접근법과 미생물 군집 기반 접근법
〈그림2-25〉 토양 영양소 순환에 대한 뿌리주변 미생물군집의 역할
〈그림2-26〉 토양 마이크로바이옴의 기후변화에 직·간접적 영향
〈그림2-27〉 대사질환과 연관된 장내 미생물의 기능적 특징
〈그림2-28〉 인간 장내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그림2-29〉 장내 미생물과 비만의 상관관계 실험
〈그림2-30〉 분변 내 미생물 이식을 통한 C. difficile 감염의 치료
〈그림2-31〉 인체 미생물이 뇌·신경 관련 질환에 미치는 영향
〈그림2-32〉 면역-종양-마이크로바이옴 축
〈그림2-33〉 합성생물학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그림2-34〉 질병의 진단에 이용되는 합성생물학의 인공유전자회로
〈그림2-35〉 마이크로바이옴 이용 질병의 치료 유형
〈그림2-36〉 장내 미생물의 회분식 및 연속식 배양 기술
〈그림2-37〉 프로바이오틱스,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살아있는 바이오의약품의 차이
〈그림2-38〉 생체 내외의 질병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유전자회로 미생물
〈그림2-39〉 신호를 장기간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장치
〈그림2-40〉 형광신호를 발생하는 인공유전자회로
〈그림2-41〉 녹농균에 의한 세균성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니즐 1917
〈그림2-42〉 합성생물학을 이용한 암 치료
〈그림2-43〉 치료용 미생물의 생물 안전 및 생물학적 봉쇄

Ⅲ. 마이크로바이옴 주요업체 사업동향
〈그림3-1〉 유산균 유래 P8 단백질의 항암 작용 기전 모식도
〈그림3-2〉 제노포커스의 신약 개발 파이프
〈그림3-3〉 CJ바이오사이언스 마이크로바이옴 파이프라인
〈그림3-4〉 고바이오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파이프라인
〈그림3-5〉 엔테로바이옴 연구개발 후보제품 R&D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6〉 노드큐어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7〉 리비옴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8〉 리비옴 DualSET 시스템 모식도
〈그림3-9〉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R&D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10〉 에이치이엠파마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11〉 에이치이엠파마 파마바이오틱스(LBP) 개발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12〉 엔비피헬스케어 마이크로바이옴 R&D 전략
〈그림3-13〉 엔비피헬스케어 바이크롬 파이프라인
〈그림3-14〉 MD헬스케어 CNS Pipelines
〈그림3-15〉 MD헬스케어 Ophthalmology Pipelines
〈그림3-16〉 MD헬스케어 Immunology Pipelines
〈그림3-17〉 MD헬스케어 Oncology Pipelines
〈그림3-18〉 MD헬스케어 Metabolism Pipelines
〈그림3-19〉 알츠하이머치매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EV (Lpc-EV)의 작용기전
〈그림3-20〉 이뮤노바이옴 핵심 기술 RHP : Anti-Cancer
〈그림3-21〉 이뮤노바이옴 핵심 기술 CSGG : Anti - Inflammation
〈그림3-22〉 지아이바이옴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23〉 헬스바이옴 파이프라인 현황
〈그림3-24〉 아모레퍼시픽 맞춤형 화장품 브랜드 커스텀미
〈그림3-25〉 LG생활건강 일본 마이크로바이옴센터 발효숙성 전시실
〈그림3-26〉 현대바이오랜드 치과용 멤브레인 오스가이드
〈그림3-27〉 비피도 개별인정형 원료개발 파이프라인

Ⅳ. 첨단 바이오소재 기술 로드맵과 한·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연구테마
〈그림4-1〉 첨단 바이오 미래소재 역할
〈그림4-2〉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3〉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4〉 노인성 다중질환 케어용 다중 장기 기능조절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5〉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6〉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7〉 경-연조직 인터페이스 통합재생용 경사기능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8〉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9〉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10〉 생체조직 재생용 면역반응 제어형 능동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11〉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12〉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13〉 난치/불치성 근골격계 질환치료용 생체모사 바이오압전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14〉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15〉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16〉 인체감각 한계 극복 휴먼증강 대기안정 생체적합 센서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17〉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18〉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19〉 고효율 약물전달용 표적치료 자율제어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20〉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21〉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22〉 중증 장애/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타켓용 디지털 치료제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23〉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활용분야(예시)
〈그림4-24〉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예상성과물
〈그림4-25〉 중장기 질환 예후ㆍ예측용 인체삽입형 생화학분자 인식 센서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그림4-26〉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활용
분야(예시)
〈그림4-27〉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예상
성과물
〈그림4-28〉 난치성 질환극복용 체내 복합적 생리 환경 모사 오가노이드/오간 칩 소재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회원리뷰
책제원정보
ISBN 9791190816724
판형정보 621쪽 / 210 X 297mm
출판사 데이코인텔리전스
출판일 2025-03-28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광인사길 193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2025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432,000원

총 주문금액

43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