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장. 개항의 현장: 인천, 강화도
1. 역사의 고장 강화도
병인양요의 현장: 외규장각과 정족산성
신미양요의 현장: 초지진과 광성보
강화도 조약 체결의 현장: 연무대
2. 신기한 물건이 넘쳐 나는 제물포 개항장
제물포, 개항장이 되다: 인천세관과 각국 조계지
일제 경제 침탈의 첨병: 일본 은행과 제물포항
화교와 짜장면의 탄생: 차이나타운
기회의 땅이자 통곡의 땅, 인천: 미두취인소
2장. 조선 근대화의 현장: 북촌, 정동
1. 근대화를 위한 노력과 좌절
삼일천하 갑신정변의 현장: 북촌과 창덕궁
을미사변의 현장: 경복궁 내 건청궁
세계를 향해 문을 연 조선: 정동의 각국 공사관
2. 대한제국의 흔적
아관파천의 현장: 러시아공사관
허울뿐인 황제: 환구단
불타 버린 황궁, 꺼져 가는 대한제국의 운명: 경운궁
3장. 일제 침략의 현장: 남산, 명동, 남대문
1. 국치길을 걷다
국치의 현장: 통감관저터
김익상 의사의 의거터: 조선총독부
조선신궁이 세워진 이유: 경성신사, 조선신궁
일본인의 흔적이 남아 있는 남산: 미쿠니아파트, 취산아파트
2. 일본인만을 위한 공간, 남촌
조선 제일의 번화가 남촌: 혼마치와 구리개
일제강점기 경제의 중심 남대문통: 남대문로의 은행가
조선부터 이어져 온 서민 삶의 터전: 남대문시장
나석주 의사의 분노: 동양척식주식회사터
4장. 독립운동의 현장: 북촌, 종로, 효창공원
1. 3.1운동의 현장
3.1운동의 불씨가 타오르다: 중앙고등학교 숙직실
독립운동을 이끈 지도자 여운형: 여운형 집터
3.1운동을 주도한 천도교: 손병희 집터, 천도교 중앙대교당, 보성사터
만세 시위의 현장: 숭동교회, 탑골공원, 서울역 광장
2. 독립운동가를 찾아서
소시민, 독립운동가가 되다: 이봉창 의사 역사울림관
유해로 돌아온 독립운동가를 뵙다: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
임시정부 요인들의 무덤을 찾아서: 효창원과 현충원, 임시정부 요인 묘역
해방 후에도 이어진 독립운동가의 수난: 효창공원
5장. 혼란과 격동의 현장: 이화장, 경교장, 서대문형무소, 4.19기념탑
1. 해방 정국의 현장
이승만에게 집을 빌려준 친일 거부: 돈암장
이승만은 어떻게 대통령이 되었나: 이화장
김구는 왜 죽임을 당했을까: 경교장
잊혀진 김규식: 삼청장
2.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
조봉암의 죽음: 서대문형무소
민주주의를 향한 외침: 4.19기념탑
6장.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창신동, 청계천, 을지로, 청와대, 세종대로
1. 경제 성장과 도시 공간의 변화
의류 산업, 대한민국을 일으키다: 창신동
전태일 열사와 근로기준법: 평화시장
도시 성장의 명과 암: 세운상가, 을지로 특화 거리
경제 성장의 겉과 속: 소공동
2.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남북 대립의 극한, 1.21사태: 북악산길
세월호 사건과 대통령: 청와대
대한민국의 주인은 누구인가: 세종대로
나오는 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