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04 발간사_안후상
006 축간사_이학수
010 해설: ‘보천교 민족운동’과 관련 구술의 활용_안후상
동학농민전쟁과 차치구·차경석, 그리고 강증산 탄생지
022 “정읍 농민 대접주 차치구, 손자 용남”_이이화
029 차경석 출생지 ‘연기동’_김은수 구술
034 차경석의 출생과 ‘기해농민봉기’_차용남 구술
048 차경석과 ‘영학당 사건’, 그리고 보천교_차봉남 구술
057 차치구와 최재칠_안영승 구술
060 동학농민전쟁의 차치구와 최재칠, 그리고 차경석_최학주 구술
072 차윤덕과 보천교, 그리고 전봉준_차진수 구술
092 차윤덕과 ‘차씨 가계’_차정민 구술
102 “나의 할아버지와 보천교”_박수옥 구술
114 ‘증산원불교’와 강증산 탄생지_강석환 구술
보천교의 후천선경 신정부 건설운동
118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관련자 상당수는 주소를 전라북도 정읍에 둔 적 있다”_이대수 구술
121 경남 함양 지곡면의 ‘대황산록 고천제’ 장소_서상수·서옥철·서만삼 구술
127 ‘왜산 물산 안 쓰기 운동’과 보천교_최종섭·최원팔 구술
142 “경주 양동에서 오신 나의 조부님”_이동화 구술
144 “보천교 직조산업과 나의 조부님”_강형희·강희석 구술
148 “나의 조부 김정곤과 보천교”_김지현 구술
167 정읍의 ‘라용균 생가’와 부안군 동진면 ‘경주이씨 재실’_곽형주·이재욱 구술
169 “나의 조부 신철희와 보천교”_신효근 구술
180 청송 중평리 신씨들의 독립운동_신준태 구술
보천교의 독립운동 자금 지원
190 보천교 핵심 간부 김홍규와 그 아들 탄허_서상기 구술
205 해방 공간에 백범 김구가 정읍 태인의 김부곤 집에 머물다_곽규·김금숙 구술
213 “보천교에서 임규를 통해 라용균에게,
라용균이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5만 원을 건넸다”_이강오 구술
217 “만주 신민부의 독립자금은 김성수 씨와 보천교에서 많이 댔다”_박환 구술
보천교계 신종교의 독립운동
220 ‘황극교 사건’과 은세룡_은희반 구술
224 황극교와 ‘김판봉의 항일운동’_김병수 구술
236 원군교를 감시한 어느 한국인 순사의 증언_황석현 구술
245 ‘원군교 사건’의 홍순옥과 홍순문_김우곤 구술
251 태인의 ‘신인동맹 사건’과 장득원_장지홍 구술
260 ‘조선건국단’과 배상일_배효갑 구술
보천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학술 사업’
268 “풍운아 ‘차천자’와 보천교의 민족운동 조명한 ‘안후상’
… 역사의 그늘진 밭, 발로 찾아내 일궈 햇빛 보게 해”_유기상
274 “정읍 지역 신종교 현지 조사 기록”_김재영·안후상 구술
308 ‘보천교 독립운동 역사’ 복원에 앞장서다_장학수 구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