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며: 도시에서 피어난 감수성, ‘이키즘’을 향한 항해
1장 일본의 3대 전통 미학: 모노노아와레, 와비사비 그리고 이키
1. 귀족의 미의식 ‘모노노아와레’
2. 무사의 미의식 ‘와비사비’
3. 서민의 미의식 ‘이키’
2장 ‘이키’의 공간과 그 주인공: 대도시 오에도와 에도 시민 에돗코
1. 에도의 탄생과 도시적 특수성
2. 참근교대와 소비사회의 형성
3. 재난의 아이러니, 화재는 에도의 꽃
4. 도시의 특징을 갖게 되는 시타마치 풍경
5. ‘이키’의 주인공, 에돗코의 탄생
3장 비일상의 일상, 일상의 비일상: 에도의 미, ‘이키즘’
1. 비일상의 일상, 유곽
2. 일상의 비일상, 가부키
3. ‘이키’로 표현되는 에도의 미
4. ‘이나세’ 스타일의 합체
5. 혼돈에서 태어난 쾌락: 대중문화는 왜 두려움이 되었나
4장 20세기 도쿄, 대중미학의 변화
1. ‘이키하고 이나세한’ 임협영화
2. 시대에 뒤처진 에돗코에 대한 찬가: 〈남자는 괴로워〉
3. 〈도쿄 러브스토리〉를 통해 본 20세기 후반 도쿄의 도시미학
4. 사라진 듯 남아 있는 것들: 광고가 기억한 ‘이키’
5장 21세기 에도도쿄로의 도시재생과 ‘모던 이키즘’
1. ‘쿨 재팬’ 프로젝트와 ‘이키’
2. ‘일본박’ 프로젝트와 〈히노요진〉의 ‘이키’, ‘이나세’
3. 도쿄의 중심으로 돌아오는 시타마치
4. 도쿄올림픽과 ‘모던 이키즘’
6장 한국 도시미학의 전개
나가며: ‘이키즘’에서 바라본 도시의 감수성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