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7
제1장 서 론
1. 한약재가공학(韓藥材加工學)의 기본개념 … 22
2. 한약재가공(炮製)의 목적과 의의 … 42
3. 한약재 및 한방식품가공에 이용되는 기술 … 47
제2장 한약재가공(炮製)의 기본방법
1. 한약재(生藥)의 규격, 전처리 방법 및 포제법 … 116
(1) 한약재(生藥)의 규격 … 116
(2) 한약재(生藥)의 전처리 방법 … 119
(3) 한약재(生藥)의 포제법 … 124
1) 정선(淨選) … 124
2) 절제(切製) … 127
3) 포자(炮炙) … 133
① 초법(炒法) … 133
② 자법(炙法) … 135
③ 자법(煮法) … 137
④ 돈(炖) … 137
⑤ 증법(蒸法) … 137
⑥ 탕(燙) … 138
⑦ 단법(煅法) … 138
⑧ 수비법(水飛法) … 139
⑨ 천법(燀法) … 139
⑩ 외법(煨法) … 139
2. 한약재 절제(切製)의 연화신기술(軟化新技術) … 140
(1) 진공가온(眞空加溫) 연화신기술 … 140
(2) 감압냉침(減壓冷浸) 연화신기술 … 140
(3) 가압냉침(加壓冷浸) 연화신기술 … 141
제3장 한약재가공법의 분류 및 보료(첨가제)
1. 한약재가공(炮製)의 17법 … 144
(1) 포(炮) … 144
(2) 로(爐) … 144
(3) 박(煿) … 144
(4) 자(炙) … 144
(5) 외(煨) … 144
(6) 초(炒) … 144
(7) 하(煆) … 144
(8) 련(煉) … 145
(9) 제(製) … 145
(10) 도(度) … 145
(11) 비(飛) … 145
(12) 복(伏) … 145
(13) 방(鎊) … 145
(14) 살(摋) … 145
(15) 사(晒) … 145
(16) 폭(曝) … 145
(17) 로(露) … 145
2. 상용보료(한약재가공용 첨가제) … 145
(1) 고체보료(固體輔料) … 145
1) 쌀(稻米) … 145
2) 밀기울(麥麩) … 146
3) 두부(豆腐) … 146
4) 백반(白礬) … 147
5) 복룡간(伏龍肝) … 148
6) 합분(蛤粉) … 148
7) 활석분(滑石粉) … 149
8) 모래(細砂) … 149
9) 붕사(硼砂) … 149
(2) 액체보료(液體輔料) … 150
1) 술(酒) … 150
2) 식초(食醋) … 151
3) 꿀(蜂蜜) … 151
4) 생강즙(生薑汁) … 152
5) 감초즙(甘草汁) … 153
6) 흑두즙(黑豆汁) … 153
7) 미감수(米泔水) … 154
8) 식염수(食鹽水) … 154
9) 쓸개즙(膽汁) … 155
10) 기타보료(其他輔料) … 155
3. 한약재가공품(炮製品)의 품질 … 158
(1) 순도(純度) … 159
(2) 형태(形態) … 159
(3) 색택(色澤) … 159
(4) 기미(氣味) … 159
(5) 수분(水分) … 159
(6) 회분(灰分) … 160
(7) 성분의 제한량 … 160
제4장 한약재가공(炮製)의 기초 실험결과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1. 알칼로이드(alkaloid)함유 한약재의 변화 … 162
2. 배당체(配當體)함유 한약재의 변화 … 165
3. 소화효소(消化酵素)함유 한약재의 변화 … 167
4. 정유(精油)함유 한약재의 변화 … 168
5. 탄닌(tannin)함유 한약재의 변화 … 170
6. 유기산(有機酸)함유 한약재의 변화 … 172
7. 지방질(脂肪質)함유 한약재의 변화 … 172
8. 수지류(樹脂類)함유 한약재의 변화 … 191
9. 단백질(蛋白質) 및 아미노산(amino acid)함유 한약재의 변화 … 192
10. 무기성분(無機成分)함유 한약재의 변화 … 196
11. 잔류농약(殘留農藥), 중금속 오염(重金屬 汚染) 및 유해물질(有害物質)의 한약재 안전성 … 197
12. 약용식물(藥用植物), 식용식물(食用植物) 및 독성식물(毒性植物)의 중독증상 … 230
제5장 한방약물의 복용 형태(劑型)
1. 탕약(湯藥) … 248
2. 환제(丸劑) … 249
3. 단제(丹劑) … 252
4. 정제(錠劑) 와 병제(餠劑) … 253
5. 산제(散劑) … 253
6. 고제(膏劑) … 254
7. 주제(酒劑) … 257
8. 약로(藥露) … 258
9. 다제(茶劑) … 258
10. 조제(條劑) … 258
11. 물 활용 외용약 … 258
12. 훈제(燻劑) … 259
13. 약침제(藥針劑) … 259
14. 편제(片劑) … 259
15. 당장제(糖漿劑) … 259
16. 충복제(冲服劑) … 260
17. 교낭제(膠囊劑) … 260
제6장 한약재 건조(乾燥)의 공학적 원리
1. 한약재 및 한방식품의 건조원리와 건조 메커니즘 … 264
2. 한약재 및 한방식품 건조 중의 품질변화 … 270
제7장 한약재 분쇄(粉碎)의 공학적 원리
1. 분쇄의 정의 및 목적 … 276
2. 분쇄의 원리 … 277
3. 분쇄기의 종류와 기능 … 281
제8장 한약재 추출(抽出)의 공학적 원리
1. 추출의 정의 및 목적 … 292
2. 추출공정 … 293
제9장 한약재 증발(蒸發)의 공학적 원리
1. 증발의 정의 및 목적 … 304
2. 증발기의 종류 … 305
제10장 한약재 증류(蒸溜)의 공학적 원리
1. 증류의 정의 및 이론 … 314
2. 증류장치 … 319
제11장 한약재 및 한방식품의 가열살균(加熱殺菌)
1. 열처리와 미생물의 사멸 … 324
2. 미생물의 내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29
3. 미생물 생육과 열저항에 관여하는 요소 … 334
4. 살균장치 … 334
제12장 한약재 및 한방식품의 포장(包裝)
1. 한약재 및 한방식품의 포장 … 342
2. 포장과 관련된 한약재 및 한방식품의 보존기술 … 344
■참고문헌 … 364
■찾아보기(가나다 순) … 367
■부록(한약재 종류) …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