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영준 / 발간사
1부 한국학 연구의 최전선
1장 문학
김영민 / 한국 근대문학 연구와 외국(어) 콤플렉스
노경희 / 문헌의 물질성을 찾아서
이영준 / 한국문학의 시간
조강석 / 문학 텍스트의 내부로부터의 자기 전개를 위하여!
2장 역사
강명관 / 국외인(局外人)의 시각으로 본 한국사
김인호 / 중세 국가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노관범 / 전환기 사상사 연구법
장지연 / 1970년대에 태어난 어떤 한국사 연구자의 연구 행로
3장 철학
김동규 / 철학에 비친 한국학
손영식 / 주인의 철학
이승종 / 철학적 대화에서 대화의 해석학으로
황종원 / 현대 한국 생태 사상의 특징과 세계 철학적 의의
4장 종교
임현수 / 한국 종교학의 전개와 과제
2부 세계 속의 한국학과 대학의 현실
1장 세계 속의 한국학
김낙현 / 디아스포라 재오스트리아 한인 문학의 현황과 성향
유상근 / 미국의 한국인 교수, 한국의 미국인 교수
유춘동 / 지역학 연구의 ‘근대 문헌’ 수집과 활용안
이우창 / 18세기 지성사 연구의 혁신과 전파
최진석 / 세계문학의 바깥, 혹은 세계-외-문학을 향하여
2장 대학의 현실
고부응 / 망할 놈의 대학교수들
정보라 / 강사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3부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학
김병준 / 디지털 인문학: 한국 학술 데이터의 새로운 지평
김승범 / 인공지능 시대를 읽자: 쓰기 도구, 그리고 그 속성을 강화할 거대 언어 모델
오영진 / 우리가 기계와 함께 쓰고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웨인 드 프레메리 / 한국학에서의 딥러닝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