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공공철학 개관
1장 문제 제기
2장 공공철학의 주요 쟁점
1. ‘개인’이 먼저인가? ‘사회’가 먼저인가?
2. ‘선’이 우선인가? ‘정의’가 우선인가?
3. 국가는 좋은 삶에 대해 중립을 지켜야 하는가?
2부 공공철학의 계보
1장 자유주의 공공철학의 계보
1. 배경
2. 고전적 자유주의
3. 칸트의 자유주의
4. 신자유주의
2장 공동체주의 공공철학의 계보
1. 배경
2. 신아테네 공화주의
3. 신로마 공화주의
4. 스피노자의 공화주의
5. 루소의 공화주의
3부 현대 자유주의 공공철학
1장 들어가는 말
2장 롤스의 공공철학
1. 공정으로서의 정의
2. 원초적 입장
3. 정의의 두 원칙
4. 정의 원칙의 추론: 최소극대화의 원리
5. 정의 원칙의 서열화
3장 노직의 공공철학
1. 노직의 정의론
2. 최소국가론
3. 소유 권리론
4장 드워킨의 공공철학
1. 드워킨의 정의론: 최고의 덕목으로서의 평등
2. 자원평등론
3. 선택에 민감한 분배 원리로서 평등한 최초의 경매
4. 여건에 둔감한 분배 원리로서 가상적 보험
4부 현대 공동체주의 공공철학
1장 들어가는 말
2장 샌델의 공공철학
1. 샌델의 정의론
2. 공동체주의적인 면모
3. 자유주의적 면모
3장 매킨타이어의 공공철학
1. 덕이 상실된 현대 사회
2. 다원주의의 본질: 개념적 통약 불가능성
3. 정서주의
4. 계몽주의적 도덕 기획의 실패
5.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
4장 테일러의 공공철학
1. 들어가는 말
2. 현대 사회의 불안
3. 자기 진실성
4. 지평, 언어, 그리고 공동체
5. 인정 관계의 이중성: 보편성과 특수성
6. 상호 인정과 인륜 공동체
5장 왈저의 공공철학
1. 자유주의자인가 공동체주의자인가?
2. 자유주의와 영역 분리
3. 왈저의 정의론
4. 복합평등
5. 자유주의의 비판
6. 자유주의자들의 비판에 대한 왈저의 반박
5부 결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