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풍경, 마음, 우주
1 풍경, 정신, 시선
1) 새로운 마음의 눈: 내면의 정신적 성장
2) 정신적·문화적 표상으로서의 풍경
3) 마음과 풍경의 상호작용
2 풍경과 몸: 체험으로서의 풍경
1) 체험으로서의 풍경
2) 걷기와 풍경
3) 풍경, 시각, 신체성
3 풍경 -사유: 사유와 거주로서의 풍경
1) 풍경-사유
2) 풍경과 거주의 원근법
4 풍경과 진리
5 풍경과 우주
1) 풍경의 우주성: 사물과 도덕적 존재의 조화
2) 성층화된 우주에서 근대적 풍경으로: 수직적 우주관에서 수평적 경관
제2장 천국과 차경: 정원 풍경
1 풍경과 유토피아
1) 유토피아적 풍경
2) 아르카디아 이탈리아 정원
3) 이탈리아 화가들의 아르카디아 풍경
2 정원의 시원
1) 천국과 정원
2) 도시와 정원
3) 소우주로서의 정원: 완벽한 소우주를 성립하기 위해 재창조된 풍경
3 두 개의 원형 정원
4 정원 울타리 구조의 의미
5 오리엔트 정원의 기원과 구조: 아랍과 페르시아 정원의 미학
1) 도시와 정원의 불가분성
2) 페르시아 정원의 미학
6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시학
1) 동아시아 문명의 자연 철학과 심미성
2) 동아시아 정원의 우주적 비전
3)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시학: 차경의 미학
제3장 풍경의 세미오시스와 포에시스
1 풍경과 언어
1) 모국어로서의 풍경 언어
2) 풍경 언어의 문학성과 서사성
2 텍스트로서의 풍경: 기호학과 문화적 의미의 구축
1) 풍경의 탈구조주의적 독해
2) 풍경, 텍스트, 상호 텍스트: 바르트의 비판 기호학과 풍경의 이데올로기
3 풍경의 기호학적 성격: 도상성, 가치론, 시간성
1) 자연 세계의 기호학: 풍경의 구상성과 도상성
2) 풍경의 시간성
4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풍경: 명상과 계시를 통한 심미적 대상의 탄생
5 예술, 인공물, 자연으로서의 풍경
6 시적 정신: 동아시아 산수화 전통의 자연관과 시학
1) 산수화의 형식과 체험
2) 그림 속에서 요소들의 정신적 성향
제4장 풍경의 에토스와 공동체성
1 풍경의 윤리적 차원
1) 풍경 윤리의 부상
2) 풍경 윤리의 희망과 필요성
2 미국 환경 윤리의 계보
3 공공재로서의 풍경
1) 풍경은 공공재가 될 수 있는가?
2) 공공선
3) 공통의 틀: 지속가능한 발전과 정의 실현의 요건
4 풍경 윤리의 다차원성
1) 의무로서의 풍경
2) 자연과 사회와의 새로운 계약으로서의 풍경
3) 미래에 미칠 파급 효과로서의 풍경
4) 자연에 대한 배려와 덕으로서의 풍경
5 풍경 권리
6 풍경과 권력: 정의, 노동, 이데올로기
1) 풍경과 사회정의
2) 노동, 계층, 생산
3) 풍경, 권력, 이데올로기: 풍경 미학을 넘어
4) 풍경화의 발생과 제국의 등장
제5장 대기 풍경: 숨결과 영성
1 인간 숨결의 풍경
2 대기의 인문학적 상상력: 대기와 기상학
3 분위기의 존재론과 미학
1) 분위기의 독특한 존재 양식
2) 예술, 건축, 분위기
3) 분위기로서의 풍경: 분위기와 빈 공간으로서의 "케시키"의 미학
4 도시 풍경의 분위기와 대도시의 정신적 삶
5 풍경과 영성
1) 풍경과 영성의 불가분성: 풍경 속의 영성적인 것에 대해
2) 시토 수도원: 땅과 영성이 만나는 곳
제6장 슬픈 풍경: 생태적 풍경을 희망하며
1 인류세의 도래
2 인류세의 위기는 호흡의 위기
3 인류세 시대의 쓰레기와 폐기물의 풍경
1) 잔존물
2) 일반 경제
4 인류세 시대의 폐허의 풍경: 호모 사피엔스의 소멸과 기술 상상계
1) 폐허의 미학
2) 숭고미의 종언: 미국 화학 공장의 풍경
3) 버틴스키와 인류세
4) 미즈락의 도덕적 숭고주의
5 핵의 풍경
1) 가혹한 플루토늄
2) 서서히 다가오는 대재앙들
6 생태 친화적 풍경
1)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공통적 역설
2) 풍경의 미학적 발명
3) 에코 디자인: 지속 가능한 풍경을 위하여
결론 풍경의 미래: 풍경의 지속가능성과 풍경 인간학의 필요성
참고 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