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탄핵과 ‘실패한 리더십’의 교훈
1. 윤석열 탄핵과 한국대통령들의 비애
2. 사람의 문제인가? 제도의 문제인가? 정치문화의 문제인가?
3. 리더십 검증의 중요성과 유권자의 책임
2장 스토리텔링은 무엇인가?
1. 스토리텔링의 정의
2. 스토리텔링의 효과
3. 스토리텔링과 대통령 선거의 상관관계
3장 스토리텔링, 그리고 역대 미국과 한국의 대선
1. 스토리텔링과 미국 역대 주요 대선
(1) 로널드 레이건의 “2류 배우에서 강력한 ‘신보수주의’ 주지사” 스토리텔링
(2) 빌 클린턴의 “4명의 아버지를 가진 40대 ‘실용주의’ 주지사” 스토리텔링
(3) 버락 오바마의 “흑인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를 둔 ‘통합주의’ 상원의원” 스토리텔 링
2. 스토리텔링과 역대 한국대선
(1) 김대중의 “사형수에서 ‘민주주의 인동초’ 야당대표” 스토리텔링
(2) 노무현의 “고졸출신 인권변호사에서 ‘원칙의 바보’ 정치인” 스토리텔링
4장 스토리텔링 경쟁 사례 : 2024 미국 대선의 트럼프 승리
1. 카멀라 해리스의 “유학생 자녀 출신 검사에서 ‘사회정의’ 부통령” 스토리텔링
2. 도널드 트럼프의 “거침없는 사업가에서 ‘미국 최우선주의’ 전직 대통령” 스토리텔 링
3. 2024년 미국 대선 결과와 스토리텔링의 효과
5장 2025 탄핵대선 누가 트럼프 상대가 될 것인가?
1. 이재명의 “소년공에서 ‘생존우선주의’ 야당대표” 스토리텔링
2. 한동훈의 “엘리트검사에서 ‘탄핵찬성’ 여당대표” 스토리텔링
3. 김동연의 “청계천 소년가장에서 ‘경제우선주의’ 도지사” 스토리텔링
4. 홍준표의 “모래시계 검사에서 ‘추진력’ 시장” 스토리텔링
6장 맺음말
2025년 한국대선 ‘희망’의 스토리텔링이 대통령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