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사건과 흔적
세 개의 유령
책의 구성
그리고
1부 디자인 문화의 유령
1장 디자인 문화 담론의 출현
말해진 것들의 네트워크
계몽적 디자인 담론 너머
반응과 효과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디자인 문화비평
디자인 문화 담론의 지형
디자인 문화 담론의 출현 배경
2장 디자인, 문화의 영토 속으로
문화비전 2000 위원회
문화 산업으로서의 문화
산업 디자인은 제외한다
문화관광부와 디자인 문화 담론
디자인미술관
디자인미술관의 전시들
2부 공공 디자인의 유령
3장 상상하는 전시와 공공 디자인의 탄생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상상
공공 미술과의 관련성
전시 형식의 역할
원인을 만들어내는 결과
공공 디자인의 전조들
4장 공공 디자인, 자동차 번호판에서 법까지
자동차 번호판 디자인 사건
첫 번째는 비극으로, 두 번째는 희극으로
공공 디자인을 확산시킨 매체들
그 무렵 문화관광부는
디자인문화재단의 해체 이유로서 걸개그림
디자인문화재단의 해체 이유로서 공공 디자인
공공디자인문화포럼
공공디자인진흥법
5장 어떤 공모전의 꿈
꿈-사건으로서 대상
2006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선정의 기준
편향
공간 디자인으로서 공공 디자인
지향
6장 디자인서울의 디자인과 서울
뉴타운 공약과 마음 씀의 구조
디자인서울총괄본부
가이드라인에 의한 디자인
세계디자인수도
디자인올림픽
비판들
디자인서울의 구조
3부 작가주의 디자인의 유령
7장 소규모 디자인 스튜디오, 신화로부터 구해내기
그들이 묻는다
신화에 둘러싸인 서사
시작점으로서 2005년
ʻ소규모"라는 필터
내가 너희의 아버지다
배제의 대상으로서 김두섭
8장 공명하는 작가주의 디자인
행위자들의 네트워크
새로운 디자인 전시의 출현
호명의 산물, 작가주의 디자이너
IMF 외환 위기 이후 달라진 디자인 환경
두 세계, 수의계약의 세계와 입찰 경쟁의 세계
K의 사례
Y의 사례
독립 출판이라는 해방구
리스트의 마법
리스트를 위한, 리스트에 의한, 리스트의 잡지
스타 디자이너, 존재와 부재 사이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