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선진(先秦)과 진(秦) 시대의 대외교류
1.1. 선진과 진 시대의 중국과 서역 관계
1.2. 진과 베트남, 한반도, 일본과의 관계
제2장 양한(兩漢)시대의 서역과 남해 개척
2.1. 장건(張騫)의 서역을 통한 비단길 개척
2.2. 서역으로 간 반초(班超), 한나라의 국위 재건
2.3. 양한과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및 아프리카와의 관계
2.4. 양한시대의 해상 교류
제3장 삼국양진남북조(三國兩晉南北朝)의 대외교류
3.1. 삼국시대의 대외교류
3.2. 양진 남북조 시대의 대외교류
3.3. 법현의 인도 방문과 공헌
제4장 수당(隋唐) 시대 대외교류의 발흥
4.1. 수의 대외관계
4.2. 당의 대외교류 발전
4.3. 당과 인도의 왕래
4.4. 당과 남해 나라들과의 교류
4.5. 당과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각국의 관계
4.6. 당과 한반도, 일본의 관계
제5장 양송(兩宋) 시대 해외교류의 발전
5.1. 양송시대 해상 대외교류의 발전
5.2. 송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와의 교류
5.3. 송대 남아시아, 서아시아 및 유럽, 아프리카와의 관계
제6장 몽고(蒙古)의 서역 원정과 원대 중·서 교류의 발전
6.1. 몽고의 서역 정벌과 그 영향
6.2. 원의 해외 진출
6.3. 원의 해외 무역 및 항해의 발달
6.4. 원과 서양 각국과의 교류
6.5. 원대 서양인의 방문
제7장 정화(鄭和)의 대항해와 명대의 서양과의 문화교류
7.1. 정화의 대항해
7.2. 명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각국과의 교류
7.3. 명과 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교류
7.4. 명과 유럽, 미주 국가와의 관계
7.5. 명대 말기 서양 선교사와 서양 문화의 교류
제8장 청대 전기의 대외관계
8.1. 청대 전기의 대외관계 개황
8.2. 청대 전기의 아시아, 아프리카 각국과의 교류
8.3. 청대 전기의 유럽과 아메리카 각국과의 교류
참고문헌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