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이순신을 경제전문가로 재조명한 책
개정판에 부쳐
프롤로그 | 이순신을 보는 새로운 시각
제1부 이순신, 7년전쟁의 중심에 서다
1장. 7년전쟁의 재구성
‘통보된 기습’ 1592년 4월 13일 부산포 | ‘정보의 빈곤’ 바다를 버린 대가 | 도요토미의 실수, 일본의 착각 | 2단계 전쟁-일본, 수륙병진을 시도하다 | 침략군의 비극 “조선 수군을 몰랐다”
2장. 이순신과 한산대첩
제법 용맹하나 국량은 부족한 장수, 원균 | 주도면밀한 선비형 무장, 이순신 | ‘조선의 살라미스’ 견내량과 한산바다 | 한산대첩의 ‘숨겨진 진상’
3장. ‘원균의 역설’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 취임하다
이순신과 원균의 갈등, 불화 | 이순신 함대의 한산도 이진(移陣) | 제2차 진주성 전투와 수군통제사직 신설
제2부 한산수국에서 경제기반을 확립하다
4장. 한산수국의 ‘건국’-영역확보와 해변의 대개간(大開墾)
경제적 자립의 필요성 | 수군 군정체제(軍政體制) 수립-수국의 영역을 확보하다 | 둔전책(屯田策)-버려진 땅을 일궈 백성과 군사를 먹이다
5장. 한산수국의 경제전쟁 - 말업(末業)을 키워 전비를 조달하다
‘바다 농사’를 본격화하다 | 국내외 해상무역에 나서다 | 공업 생산력을 확충하다
6장. 한산수국 독자행보 3년 6개월
강력한 인재풀을 갖추다 | 독자적 상벌체제를 확립하다 | 한산수국 ‘조선의 3분의 1’
제3부 1597년 이순신, 역사의 전면에 서다
7장. 정유재란과 한산수국의 붕괴
선조, 이순신을 불신하다 | 조정과 일본군의 ‘이순신 죽이기’ 공모 | 체포당하는 이순신, 한산수국의 몰락 | 백의종군하며 재기를 준비하다
8장. 청해진 옛터에서 수국을 재건하다
원균의 몰락과 이순신의 재기 | ‘기적의 싸움’ 명량대첩 | 보화도에 기지를 건설하다 | ‘제2의 수국’ 고금도 군영
9장. 정치적 도약-이순신, 대명 수군도독에 제수되다
인재들의 운집 | 이순신, 명군의 신망을 얻다 | 명나라 수군도독(水軍都督)에 오르다 | 대명 수군도독 이순신의 ‘꿈’
제4부 이순신은 죽고 조선은 살아남다
10장. 이순신의 죽음과 수국의 체제 편입
이순신 ‘도독’ 제수와 조정의 불안감 증폭 | 머리 좋은 선조의 ‘자객 활용론’ | 수수께끼의 인물 ‘손문욱(孫文彧)’ | 홀중비환(忽中飛丸), ‘갑자기 날아든 탄환에 맞다’ | 왕의 승리, 수국의 체제 편입
11장. 수국의 계승-‘해변의 총독부’ 삼도수군통제영
종전 후 최대 논쟁-해방 본영(海防 本營)의 위치 선정 | 두룡포에 통제영을 건설하다 | 통제사, ‘해상 총독(海上總督)’으로 격상되다 | ‘3만 6,009장졸, 548함대’의 병권을 쥐다
에필로그 | 이순신 수국 프로젝트의 현재적 의미
|책속의 책| ‘바다를 버린 나라 조선’
포상팔국에서 삼별초까지-한반도 해상왕국의 전설
공도정책(空島政策)과 해금령(海禁令)|기말이반본(棄末而反本)-이데올로기가 된 해양 천시 | 조선은 왜 대마도를 지키지 못했나? | “해변은 2등 백성의 땅”
참고문헌
그림과 사진, 도움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