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세 구성은 각 권을 참조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1권 서울의 밤: 비상계엄 선포부터 1차 탄핵 표결 불성립까지 (2024.12.03.~12.07.)
- 2024년 12월 3일: 서울의 밤
- 2024년 12월 4일: 비상계엄 해제
- 2024년 12월 5일: 제14차 행정안전위원회 외
- 2024년 12월 6일: 제19차 법제사법위원회 외
- 2024년 12월 7일: 1차 탄핵 표결
제2권 혼돈의 낮: 총리-여당 국정 운영안 발표부터 제18차 국회 본회의까지 (12.08.~12.10.)
- 2024년 12월 8일: 혼돈의 낮
- 2024년 12월 9일: 제20차 법제사법위원회 외
- 2024년 12월 10일: 제18차 국회본회의 외
제3권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괴물: 12·12 대국민 담화와 탄핵 가결 (12.11.~12.14.)
- 2024년 12월 11일: 제1차 법제사법위원회 외
- 2024년 12월 12일: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괴물
- 2024년 12월 13일: 제1차 과학정보방송통신위원회 외
- 2024년 12월 14일: 탄핵 가결
제4권 끝나지 않은 폭풍: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출범과 헌법재판관 임명 논란 (12.15.~12.18.)
- 2024년 12월 15일: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출범
- 2024년 12월 16일: 외교통일위원회 및 여야 최고위원회
- 2024년 12월 17일: 법제사법위원회 외
- 2024년 12월 18일(1): 정무위원회 외
제5권 수취인불명: 권한대행 재의요구권 행사와 윤석열 출석요구서 거부 (12.18.~12.22.)
- 2024년 12월 18일(2):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 준비
- 2024년 12월 19일: 권한대행, 6개 법안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 2024년 12월 20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외
- 2024년 12월 21일: 수취인불명
- 2024년 12월 22일: 남태령 고개 너머
제6권 입법 독재와 내란 동조: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와 여야 갈등 (12.23.~12.25.)
- 2024년 12월 23일: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 행정안전위원회 외
- 2024년 12월 24일: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 법제사법위원회
- 2024년 12월 25일: 고요한 밤
제7권 비극의 시간: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과 헌법재판관 임명, 윤석열 체포영장 발부 (12.26.~12.31.)
- 2024년 12월 26일: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측 기자회견과 420회 제1차 국회본회의
- 2024년 12월 27일: 국무총리 탄핵 가결과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출범, 김용현 수사 결과 발표
- 2024년 12월 28일: 계엄은 끝나지 않았다
- 2024년 12월 29일: 검은 하루
- 2024년 12월 30일 애도의 시간
- 2024년 12월 31일: 윤석열 체포 영장 발부, 헌법재판관 2인 임명, 국정조사 개시
제8권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하지만...: 체포영장 집행 시도 무산과 "내란죄" 논란, 한남동 시위 (2025.1.1.~1.9.)
- 2025년 1월 1일: 을사년 신년사
- 2025년 1월 2일: 헌법재판소의 시간
- 2025년 1월 3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시도
- 2025년 1월 4일: 체포 무산 및 ‘내란죄’ 사유 논란
- 2025년 1월 5일: 대통령경호처장 입장 발표
- 2025년 1월 6일: 한남동 앞으로
- 2025년 1월 7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 관련 현안 질의
- 2025년 1월 8일: 6법 및 특검법 부결, 비상계엄 및 제주항공 참사 현안 질의 가결
- 2025년 1월 9일 오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외
제9권 검은 사복과 하얀 헬멧: 비상계엄 및 제주항공 참사 긴급 현안 질의와 백골단 기자회견 (1.9.~1.13.)
- 2025년 1월 9일 오후: 비상계엄 및 제주항공 참사 관련 긴급 현안 질의, 백골단 기자회견
- 2025년 1월 10일 : 법제사법위원회 외
- 2025년 1월 11일 특검법과 가짜뉴스 규제 논란
- 2025년 1월 12일: 체포 임박
- 2025년 1월 13일 : 내란·외환죄 특검법 법사위 가결, 국가인권위원회 파행
제10권 불법의 불법의 불법: 윤석열 체포와 국정조사 1·2차 기관보고 (1.14.~1.15.)
- 2025년 1월 14일: 국정조사 제1차 기관보고, 탄핵심판 1차 변론 기일
- 2025년 1월 15일 : 윤석열 체포, 국정조사 제2차 기관보고
제11권 아스팔트의 십자군, 혹은 백색 테러범들: 윤석열 대통령 구속과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 (1.16.~1.20.)
- 2025년 1월 16일: 탄핵 심판 2차 변론기일
- 2025년 1월 17일: 특검법 수정안 가결, 윤석열 구속 영장 신청
- 2025년 1월 18일: 폭풍 전야
- 2025년 1월 19일: 윤석열 구속,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
- 2025년 1월 20일: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 관련 긴급 현안 질의
제12권 자유민주주의라는 신념: 탄핵 심판 윤석열 출석과 비상계엄 국정조사 1차 청문회 (1.21.~1.22.)
- 2025년 1월 21일: 탄핵 심판 3차 변론기일, 윤석열 출석
- 2025년 1월 22일: 비상계엄 국정조사 제1차 청문회
제13권 계엄령은 계몽령이다: 탄핵 심판 김용현 증언과 윤석열 구속 기소 (1.23.-2.3.)
- 2025년 1월 23일: 계엄령은 계몽령이다
- 2025년 1월 24일: 구속 기간 연장 신청 1차 기각
- 2025년 1월 25일: 구속 기간 연장 신청 2차 기각
- 2025년 1월 26일: 대한민국 대통령 가○○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한다
- 2025년 1월 27일: 설날 연휴 첫 번째 날
- 2025년 1월 28일: 설날 연휴 두 번째 날
- 2025년 1월 29일: 설날
- 2025년 1월 30일: 설날 연휴 마지막 날
- 2025년 1월 31일: 특검법 수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 2025년 2월 1일: 헌법재판관 탄핵 심판 회피 촉구
- 2025년 2월 2일: 인간의 도리
- 2025년 2월 3일: 422회 제1차 국회 본회의, 헌법재판관 불임명 권한쟁의 심판 결정 연기
제14권 아무 일도 안 일어났다: 탄핵 심판 홍장원, 곽종근 등 증언과 국정조사 청문회 (2.4.-2.6.)
- 2025년 2월 4일: 탄핵 심판 5차 변론 홍장원 등 증언, 국정조사 2차 청문회
- 2025년 2월 5일: 국정조사 현장 조사
- 2025년 2월 6일: 탄핵 심판 6차 변론 곽종근 등 증언, 국정조사 3차 청문회 외
제15권 지푸라기도 잡고 싶은 짐승들: 탄핵 심판 이상민, 김용빈 등 증언과 여야 대표 연설, 대정부 질문 (2.7.~2.12.)
- 2025년 2월 7일: 탄핵 공작과 내란 프레임
- 2025년 2월 8일: 진실 게임
- 2025년 2월 9일: 폭동 모의 정황
- 2025년 2월 10일: 더불어민주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사태
- 2025년 2월 11일: 탄핵 심판 7차 변론 이상민 등 증언. 국민의힘 교섭단체 대표 연설
- 2025년 2월 12일: 조국혁신당 비교섭단체 대표 연설,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
제16권 의인과 악인: 탄핵 심판 조성현 등 증언과 노상원 수첩, 명태균 게이트 (2.13.~2.17.)
- 2025년 2월 13일: 탄핵 심판 8차 변론 조성현 등 증언,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 노상원 수첩 공개
- 2025년 2월 14일: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교육·사회 분야 대정부 질문
- 2025년 2월 15일: 탄핵 찬·반 광주 집회
- 2025년 2월 16일: 국회 전력 차단 시도 영상 공개
- 2025년 2월 17일: 제2차 국방위원회 김현태 참고인 현안 질의, 명태균 게이트 중간 수사 발표
제17권 민주주의의 배신자들: 탄핵 심판 중간 정리 및 상임위원회 기관 질의 (2.18.)
- 2025년 2월 18일 (1): 탄핵 심판 9차 변론 쟁점 중간 정리,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 외
제18권 부끄러움은 왜 우리의 몫인가: 계엄군 지휘부 텔레그램 공개와 상임위원회 기관 질의 (2.18.~2.19.)
- 2025년 2월 18일 (2): 교육부, 국토교통부 등 기관 보고 및 질의
- 2025년 2월 19일 (1): 계엄군 지휘부 텔레그램, 명태균 인사 청탁 녹취 공개
제19권 윗물이 탁해도 아랫물이 맑다: 탄핵 심판 한덕수 등 증언과 국정조사 4차 청문회 (2.19.~2.21.)
- 2025년 2월 19일(2): 보건복지위원회 외
- 2025년 2월 20일: 탄핵 심판 10차 변론 한덕수, 홍장원, 조지호 증언, 국방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외
- 2025년 2월 21일: 비상계엄 국정조사 4차 청문회
제20권 오늘 우리는 모두 민주주의자입니다: 탄핵 심판 종합 변론과 최후 진술, 국정조사 5차 청문회 (2.22.~2.25.)
- 2025년 2월 22일: 고도를 기다리며
- 2025년 2월 23일: ‘기각되면’ 사과한다
- 2025년 2월 24일: 명태균 특검법 법제사법위원회 소관위 가결
- 2025년 2월 25일: 탄핵 심판 종합 변론과 최후 진술, 국정조사 5차 청문회
제21권 헌법재판소의 시간: 제7차 국회 본회의와 극우 기자회견, 마은혁 임명 선고 판결 (2.26.~2.27.)
- 2025년 2월 26일: 제2차 법제사법위원회 외, 극우 세력 국회 기자회견
- 2025년 2월 27일: 제7차 국회 본회의, 헌법재판소 마은혁 불임명 및 선관위 감찰 위헌 판결
제22권 다시 갈라진 세계: 삼일절 탄핵 찬·반 집회, 마은혁 임명 보류 (2.28.~3.5.)
- 2025년 2월 28일: 비상계엄 국정조사 결과보고서 채택
- 2025년 3월 1일: 삼일절 탄핵 찬·반 시위
- 2025년 3월 2일: 펜과 칼
- 2025년 3월 3일: 석 달의 시간
- 2025년 3월 4일: 질 낮은 인간들
- 2025년 3월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현안 질의 외
제23권 법 위에 선 괴물들: 윤석열 구속 취소 (3.6.~3.11.)
- 2025년 3월 6일: 행정안전위원회 선관위 인사청문회 외
- 2025년 3월 7일: 윤석열 구속 취소 청구 인용
- 2025년 3월 8일: 검찰의 항소 포기, 윤석열 대통령 석방
- 2025년 3월 9일: 야5당 대표 비상시국 원탁회의
- 2025년 3월 10일: 심우정 검찰총장 고발
- 2025년 3월 11일: 외교통일위원회 현안 질의 외, 야5당 야외 투쟁
제24권 타는 목마름으로: 검찰의 항고 포기와 여야 장외 투쟁 (3.12.~3.17.)
- 2025년 3월 12일: 윤석열 구속 취소 관련 긴급 현안 질의
- 2025년 3월 13일: 국회 본회의, 감사원장·3인 검사 탄핵 기각
- 2025년 3월 14일: 명태균 특검법 재의요구권 행사
- 2025년 3월 15일: 광화문과 여의도, 안국역 집회
- 2025년 3월 16일: 누가 무엇에 승복하나
- 2025년 3월 17일: 헌법재판소 판결 촉구
제25권 정의에는 중립이 없다: 헌법재판소의 침묵, 상설특검법 가결과 최상목 탄핵안 발의 (3.18.~3.23.)
- 2025년 3월 18일: 홈플러스·삼부토건 등 긴급 현안 질의, 방통위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 2025년 3월 19일: 윤석열 수사·석방 관련 2차 긴급 현안 질의
- 2025년 3월 20일: 김건희 등 상설특검법 가결, 한덕수 탄핵 심판 선고일 예고
- 2025년 3월 21일: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안 발의, 대통령경호처 구속영장 기각
- 2025년 3월 22일: 정의에는 중립이 없다
- 2025년 3월 23일: 거리에서
제26권 개와 늑대의 시간: 한덕수 탄핵 기각과 이재명 항소심 무죄 판결 (3.24.~3.31.)
- 2025년 3월 24일: 헌법재판소 한덕수 탄핵 기각 선고
- 2025년 3월 25일: 꺼지지 않는 불
- 2025년 3월 26일: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 무죄 선고
- 2025년 3월 27일: 정녕 지시한 적이 없으십니까
- 2025년 3월 28일: 민주당의 내각 총탄핵 시사
- 2025년 3월 29일: 슬기로운 깜빵생활
- 2025년 3월 30일: 정부 추경 편성안 발표
- 2025년 3월 31일: 최후통첩
제27권 겨울의 끝: 윤석열 파면 선고 (4.1.~4.4.)
- 2025년 4월 1일: 비바 라 비다(Viva la Vida)
- 2025년 4월 2일: 잠든 뿌리를 깨우는 봄비
- 2025년 4월 3일: 동백꽃이 묻는다
- 2025년 4월 4일: 겨울의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