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문. 권력의 새로운 문법, 데이터가 재편하는 인간의 욕망
1장. 모닥불에서 성채까지
__1.1 평등 사회에서 계급 사회로
____1.1.1 수렵채집 시대의 사회 구조 - "공유의 시대"
____1.1.2 농경 사회로의 전환
____1.1.3 초기 계급 사회의 형성
__ [통찰의 나침반] 과거와 현재의 대화
__1.2 거대 문명의 탄생 - 제국의 시대
____1.2.1 메소포타미아 문명
____1.2.2 이집트 문명과 중앙집권
____1.2.3 그리스-로마 시대
__ [통찰의 나침반] 플랫폼 권력의 해부
__1.3 새로운 질서의 탄생
____1.3.1 제국의 몰락과 새로운 질서의 탄생
____1.3.2 봉건제의 전성기
____1.3.3 중세 후기의 변화
__ [통찰의 나침반] 새로운 질서의 탄생
[시대의 끝에서] 권력의 진화와 새로운 가능성
2장. 기계가 삼킨 권력
__2.1 산업 혁명의 시작
____2.1.1 기술 혁신과 생산 방식의 변화
____2.1.2 공장제 생산과 노동 분업
____2.1.3 도시화와 새로운 사회 문제
__ [통찰의 나침반] 4차 산업 혁명과 노동의 미래
__2.2 자본주의의 발달
____2.2.1 주식회사와 소유권의 분산
____2.2.2 금융 자본의 성장과 영향력
____2.2.3 국제 무역과 글로벌화
__ [통찰의 나침반] 디지털 자본주의의 새로운 형태
__2.3 노동 운동과 사회 변화
____2.3.1 노동자 권리 투쟁의 역사
____2.3.2 사회주의 운동의 영향
____2.3.3 복지국가의 실험
__ [통찰의 나침반] 긱 이코노미와 노동권의 재정의
[시대의 끝에서] 자본주의의 진화: 산업 사회에서 디지털 경제로
3장. 데이터가 재구성한 권력의 지도
__3.1 정보 혁명의 시작
____3.1.1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
____3.1.2 정보 접근성의 민주화
____3.1.3 디지털 문화의 형성
__ [통찰의 나침반] 정보 민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__3.2 플랫폼 경제의 성장
____3.2.1 네트워크 효과와 승자독식
____3.2.2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____3.2.3 플랫폼 기업의 영향력
__[통찰의 나침반] 디지털 독점의 새로운 형태
__3.3 디지털 불평등
____3.3.1 정보 격차와 사회 양극화
____3.3.2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____3.3.3 알고리즘 차별의 문제
__ [통찰의 나침반]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계급 구조
[시대의 끝에서] 정보 혁명이 가져온 권력 구조의 근본적 변화
4장. 인공지능이 다시 쓰는 권력의 문법
__4.1 AI 기술의 발전
____4.1.1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진화
____4.1.2 자동화와 일자리 지형 변화
____4.1.3 AI 윤리와 통제 문제
__ [통찰의 나침반]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역할
__4.2 새로운 권력 구조
____4.2.1 AI 기업의 글로벌 영향력
____4.2.2 알고리즘 기반 의사결정
____4.2.3 데이터 주권과 프라이버시
__[통찰의 나침반] 테크노크라시의 새로운 형태
__4.3 미래 사회 전망
____4.3.1 기술 발전과 불평등 심화
____4.3.2 사회 계약의 새로운 지평
____4.3.3 민주주의의 재구성
__ [통찰의 나침반] 포스트 AI 시대의 권력 구조
[시대의 끝에서] AI 시대의 권력 재편: 도전과 기회
5장. 결론, 역사적 고찰과 미래 전망
__5.1 우리는 지금, 역사적 전환점에 서 있다
__[통찰의 나침반] 마지막, 한 장 요약
* 에필로그. 자율적 존재의 역습, 권력의 새로운 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