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역사의 현장에서 ‘도서관’은 무엇인가?
1부 도서관의 정치학
우리가 유서 깊은 대학도서관을 갖지 못한 이유: 성균관 존경각
‘용산 대폭격’으로 사라진 식민지 조선의 3대 도서관: 철도도서관
친일파 동상이 도서관에 서 있는 이유: 종로도서관
김일성은 왜 서울대 도서관 책을 가져가려 했을까?: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도서관 이름에 새겨진 ‘박통’의 흔적: 정독도서관
공수처 비판으로 소환된 ‘사직동팀’의 추억: 서울특별시교육청어린이도서관
도서관은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되는가?: 용산도서관
말죽거리, 신화와 잔혹사 사이에서: 도곡정보문화도서관
2부 혁명과 민주화 투쟁의 무대
‘도서관’을 통해 국권을 되찾고자 했던 시도: 우현서루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승만에게 도서관 이름을 바친 대학 총장: 중앙대학교 학술정보원
‘혁명’을 기념하는 단 하나의 도서관: 4·19혁명기념도서관
유신 체제의 종말을 부른 부마민주항쟁의 불꽃: 부산대·동아대·경남대 도서관
‘스파르타의 300’은 알지만, ‘광주의 300’은 모르는 당신에게: 빛고을 광주의 도서관
‘도서관 점거 농성’은 어떻게 ‘6월 항쟁’으로 이어졌나?: 서울특별시청 을지로별관
‘대학의 심장’이 초토화된 사건: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도서관이 ‘민주주의 보루’였던 시절은 언제일까?: 도서관 앞 광장
3부 제국부터 민국까지, 국가도서관 이야기
조선은 왜 ‘쉽게’ 망했을까?: 경복궁 집옥재
도서관으로 흥한 나라, 도서관에서 망한 나라: 덕수궁 중명전
‘책 없는 도서관’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조선총독부도서관
‘제국의 사서’ 이재욱과 박봉석은 ‘친일파’인가?: 국립도서관
국가도서관에 자리한 독재자의 ‘하사품’: 국립중앙도서관
의회는 왜 ‘도서관’이 필요할까?: 국회도서관
한반도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 평양에 있는 이유: 인민대학습당
4부 사서도 모르는 도서관의 숨은 역사
최초의 ‘사서’를 찾아서: 경성도서관과 경성부립도서관 옛터
도서관이 ‘산’으로 간 까닭은?: 남산도서관
도서관을 ‘세습’합니다? 초대형교회의 두 얼굴: 명성교회도서관
‘독립운동가’ 윤동주를 끝까지 증명한 사서들: 윤동주문학관
‘라이브러리’는 왜 ‘도서관’이 되었을까?: 삼청공원숲속도서관
‘친일’하면 3대가 흥하고, ‘반일’하면 3대가 망한 나라에서: 청운문학도서관
천억이 백석의 시 한 줄보다 못하다: 길상도서관과 다라니다원
이 책에 나오는 도서관과 답사지 정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