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1장 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새로운 이론적 시각의 모색_김상배
1. 머리말
2. 민간 데이터 보호
3. 공공 데이터 보안
4. 국방 데이터 안보
5. 맺음말
제1부 민간 데이터 보호
제2장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권력_서봉교
1. 도입
2. 플랫폼의 데이터 경쟁력 분석 방법
3. 미·중 플랫폼의 글로벌 경쟁 현황과 특징
4. 미·중 플랫폼의 글로벌 데이터 경쟁력 사례 분석
5. 결론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제3장 데이터 거버넌스와 개인정보 보호_김현경
1. 서론
2. 개인정보 보호의 이념과 거버넌스 유형
3. 개인정보 국외 이전 규범의 유형
4. 개인정보 국외 이전 규범의 쟁점
5. 마무리
제4장 데이터 국제규범과 데이터 주권_이효영
1. 서론
2. 데이터 관련 국제 통상 규범의 수립 현황
3. 데이터 안보 및 데이터 주권 관련 주요국의 최근 규범화 동향
4. 데이터 주권 관련 주요 통상 현안
5. 시사점 및 고려 사항
제5장 데이터 안보와 공급망 안보_유인태
1. 서론
2. 데이터 안보와 공급망 안보가 교차하는 사례
3. 데이터-공급망 교차 영역 위협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
4. 결론
제2부 공공 데이터 보안
제6장 데이터 안보 이슈의 부상과 사이버공격의 진화_윤정현
1. 서론
2. 데이터 안보 환경의 전환적 특징
3. 데이터 안보 시대의 사이버공격 유형과 사례
4. 데이터 안보 강화를 위한 주요국의 전략 초점
5. 결론
제7장 데이터 안보와 인공지능 안보_송태은
1. 서론
2. 인공지능 수집 데이터 및 학습 데이터와 국가안보
3. 인공지능 생성 데이터와 국가안보
4. 인공지능 데이터의 위험과 위협
5. 결론
제8장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 안보와 데이터 안보 연계의 동학_정헌주
1. 서론
2. 우주 데이터: 특징과 함의
3. 우주 안보와 데이터 안보의 연계
4. 한국의 우주-데이터 안보: 현황과 과제
5. 결론
제9장 데이터 안보와 정보기관 첩보_오일석
1. 서론
2. 정보 환경의 디지털 전환과 정보활동의 변화
3. 데이터의 처리에 기초한 정보활동
4. 데이터 지배력 강화: 데이터 보안 활동과 데이터 공작
5. 결론
제3부 국방 데이터 안보
제10장 지능화 전장 시대 국방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데이터 축적·운용 플랫폼 발전을 중심으로_배학영
1. 서론
2. 국가 차원의 데이터 관리와 국방 데이터
3. 국방 데이터의 중요성과 관리 현황
4. 국방 데이터 발전 방향
5. 결론
제11장 데이터 기반 국방 서비스 확산: 데이터 군사혁신의 과제_윤대엽
1. 문제 제기
2. 빅테크 기업의 빅데이터 혁신: 비교적 함의
3. 디지털 전환과 군사혁신: 역사적 교훈
4. 빅데이터 기반 군사혁신: 전략적 과제
5. 결론 및 함의
제12장 미래전과 데이터 기반 지능형 통합체계 구축: 미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_설인효
1. 서론
2. 인공지능 기반 군사혁신의 첫 국면: 데이터 기반 지능형 통합체계 구축
3. 미국 JADC2 추진 경과 및 발전 방향 전망
4. 결론: 한국군에 대한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