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총서 발간에 즈음하여
책머리에
초연결사회와 인구감소: 새로운 몸들의 등장 - 유광석
1. 들어가는 말
2. 문화적 몸의 비가시성
3. 유교자본주의에서 몸의 소비
4. 초연결사회에서 몸의 사회적 자본화
5. 새로운 몸 개념과 과제
초연결사회의 윤리 문제: 상생 사상과 실천 - 이경원
1. 초연결사회와 윤리적 가치의 문제
2. 한국사회에서 ‘상생’ 용어의 기원과 유행
3. 상생 개념의 사회적 인식
4. 상생개념의 종교계 담론
5. 대순사상에서의 상생교리
6. 초연결사회의 윤리적 지향점으로서의 상생
초연결사회의 지성사: 근대 시민사회에서 디지털 문명으로 - 김태수
1. 초연결사회와 서구 지성사의 만남
2. 초연결사회의 발전사적 등장 배경과 전망
3. 초연결사회의 지성사적 기반과 성격
4. 초연결사회의 지성사적 평가·적용 및 전망
5. 초연결사회의 가능성과 과제
초연결사회의 연결과학: 새로운 이론의 정립과 적용 - 김덕삼
1. 연결의 의미와 가치
2. 관련 이론 및 연결이론 정립의 필요성
3. 연결이론의 기반 정립
4. 활용 방향
5. 이론의 정립과 실천적 과제
초연결사회와 AI: 진화와 공존의 패러다임 - 김덕삼, 이경자
1. 기술과 변화
2. 낯 설은 변화
3. 인간의 한계와 연결의 양상
4. 연결을 통한 공존과 창조
5. 인류의 진화와 연결의 미래
초연결사회와 재난공동체: 도교적 사유와 디아스포라의 극복- 김덕삼, 김태수
1. 재난공동체와 인류
2. 재난공동체와 디아스포라
3. 디아스포라의 극복과 도교 연결 사상의 적용
4. 맺음말: 재난공동체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