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욕설이 적은 일본어? - 일본어를 바라보는 시각의 의미
히라타 아쓰타네의 외국어관
다양한 일본어관
일본인과 일본어
언어학사·일본어학사·국어학사
국어학사와 외국인의 일본어 연구
일본어학사의 의미
1장
일본 내에서 일본어는 어떻게 인식됐는가?
1. 일본어에 대한 자각과 ‘외국어’
방언에 대한 인식
고대인의 언어 의식
2. 일본어에 대한 시점(1) - 후지타니 나리아키라
가학·국학과 일본어
후지타니 나리아키라의 업적
고전과 구어 번역
한학과 일본어
3. 일본어에 대한 시각(2) - 도 테이칸과 모토오리 노리나가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반박
일본의 순수성
언어(일본어)에 대한 시점
2장
선교사 언어학의 시대 55
1. 선교사들이 본 ‘일본’
루이스 프로이스가 본 일본
일본을 방문한 선교사들
2. 기리시탄 문헌에 대하여
기리시탄 문헌이란
선교사 언어학
3. 기리시탄 문헌의 일본어
세계의 기리시탄 문헌
기리시탄 문헌의 일본어
4. 기리시탄 문헌에서의 일본어관
로드리게스의 일본어관
선교사들과 일본어
기리시탄 금교와 탄압
기리시탄 문헌의 의의
3장
네덜란드 상관에서 본 일본어
해외의 ‘일본인’
일본의 ‘외국인’
영국과 네덜란드 상관 사람들
1. 17세기의 영국, 네덜란드와 일본
영국 대 네덜란드
윌리엄 애덤스(미우라 안진)
애덤스와 일본어
리차드 콕스
2. 네덜란드 상관 사람들
(1) 켐퍼
「일본지」에 대하여
도프의 켐퍼 평가
(2) 툰베리
툰베리의 일본어 관찰
(3) 도프
네덜란드의 수난
도프와 일본어
도프의 나가사키 통역관 평가
(4) 브론호프와 피셀
피셀의 「일본풍속비고」
피셀의 한자관
(5) 시볼트
시볼트와 「일본」
시볼트와 일본어
3. 네덜란드 상관장에서 외교관으로
쿠리티우스의 일본어 연구
견문록의 매력
4장
유럽의 일본학자들
서양의 눈에 비친 동양(일본)
일본학의 주역들
1. 유럽의 아시아 연구와 일본학의 탄생
동양학의 성립
2. 네덜란드의 일본학자 - 호프만
시볼트와의 만남
호프만과 일본인
호프만의 일본어 연구
음성ㆍ문자의 연구
l과 r의 고뇌
문법 연구
종지형에 관한 고찰
어원 연구
호프만 이후의 일본학
3. 프랑스의 일본학자-파제스, 로니
(1) 파제스
「일불사서」의 간행
파제스의 불운
(2) 로니
‘유럽의 한 기이한 학자’
로니의 일본어 연구
로니에 대한 평가
4. 독일, 오스트리아의 일본학자들 -프피츠마이어, 랑게, 플라우트
독일의 일본학
(1) 프피츠마이어
「우키요가타 로쿠마이뵤부」의 독일어 번역
「일본어사서[日本{語辞書]」
프피츠마이어에 대한 평가
(2) 랑게, 플라우트
번역의 위상에 대하여
독일인의 ‘고용 외국인’
랑게의 일본어 연구
헤르만 플라우트
「일본어 독본」
일본학자와 외교관
5장
막부 말기 외교관과 선교사의 일본어
1. 외교관과 일본학
외교관과 일본어
(1) 러시아의 일본학 -고시케비치
러시아에서의 일본어 교육
고시케비치의 일본어 연구
(2) 영국의 일본학-애스턴, 올콕, 사토우
윌리엄 조지 애스턴
애스턴과 신도
애스턴의 일본어 연구
러더퍼드 올콕
올콕의 일본어 연구
어니스트 사토우
사토우의 일본어 연구
2. 선교사와 일본어
일본에 온 많은 선교사
(1) 메드하우스트, 리긴스, 윌리엄스
월터 헨리 메드하우스트
존 리긴스
채닝 무어 윌리엄스
브라운과 헵번
사무엘 로빈 브라운
「회화 일본어」
제임스 커티스 헵번
「화영어림집성」
외교관·선교사와 일본어
맺음말
일본어 연구의 안과 밖 - 고용 외국인의 의미
고용 외국인의 존재
바질 홀 체임벌린
「일본소문전」
체임벌린의 일본관
〈안〉과 〈밖〉의 의미
체임벌린의 일본어 연구
체임벌린의 위치
체임벌린에 대한 비판
서구 중심주의가 가져온 것
참고문헌
후기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