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증보판 서문
제1부 문화언어학 총론
제1장 문화언어학의 문화관과 언어관
1. 문화언어학의 문화관
2. 문화언어학의 언어관
제2장 문화언어학의 대상, 과제, 성격
1. 문화언어학의 대상
2. 문화언어학의 과제
3. 문화언어학의 성격
제3장 문화언어학의 방법론
1. 문화언어학의 전반적 방법
2. 문화언어학의 방법론 원칙
3. 문화언어학의 구체적인 방법
제4장 문화언어학의 학문적 연원
1. 문화언어학의 서구 학문적 연원
2. 문화언어학의 중국 학문적 연원
제5장 중국 문화언어학의 형성과 발전
1. 학문적 반성과 선학의 지지
2. 문화언어학의 형성과 발전
3. 문화언어학의 미래
제2부 문화언어학 각론
제6장 언어와 문화 구축
1. 언어의 원발성과 문화의 구축성
2. 문화 구축의 언어 수단
3. 언어 체계와 문화 밈
제7장 언어와 사고
1. 언어와 사고의 일반적인 관계
2. 언어와 사고 문제의 문화적 가치
3. 언어와 사고방식
제8장 언어와 인지
1. ‘지식·의미’는 어휘 체계를 포괄하는 최상위 범주
2. 인지 전략과 어휘 체계의 형성
3. 인지 발달과 어휘 체계의 발전
제9장 언어와 철학
1. 철학: 언어로 엮어진 세계 도식
2. 언어: 철학적 사변의 중요한 주제
3. 언어학과 철학의 상호 침투와 소통
제10장 언어와 정치
1. 정치의 본질과 언어적 부호
2. 국가 수반 명칭의 권력 상징 기능
3. 명령어와 정치적 운영
4. 정치 변화와 언어 변화
5. 언어 충돌과 정치 투쟁
제11장 언어와 신화, 종교
1. 신화와 종교의 기원, 언어의 마법적 힘
2. 언어의 마법적 힘에 대한 신념에서 언어 숭배로
제12장 언어와 문학예술
1. 문학 언어의 특수성
2. 언어 양식과 시의 형식적 특징
3. 문학이 언어에 미치는 영향
제13장 언어와 민속
1. 언어와 민속의 차이점과 연관성
2. 민속 용어와 민속 전승
3. 민속 기원과 용어의 기원
4. 칭호와 민속
제14장 언어 변화와 문화 변화
1. 언어 접촉과 문화 접촉
2. 지역 방언의 문화적·역사적 배경
3. 사회 방언과 하위문화 형태
4. 언어의 융합과 문화의 융합
참고문헌
역자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