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_시대의 노래, 역사가 되다
1부. 시대정신을 노래하다
케이팝은 한국 민주주의의 결실이다 - 〈다시 만난 세계〉와 떼창의 힘
‘마왕’ 신해철의 응원법 - 〈날아라 병아리〉와 뉴밀레니엄 시대
상심한 어른을 응원한 아이들의 노래 - 창작동요 〈반달〉과 일제강점기 어린이 운동
유행가에 비친 식민지 조선의 두 얼굴 - 트로트 황금기와 일제 침략전쟁
독립군의 용진법, 항일운동의 용감력 - 독립군가와 항일가요
정몽주는 과연 고려를 지키려고 이성계에 맞섰을까? - 〈단심가〉와 고려 멸망 비사
육룡이 나르샤, 천명을 받아 나라 세웠으니 - 《용비어천가》에 담긴 조선 건국사
2부. 권력과 노래
박정희 대통령의 신청곡이 금지된 까닭은? - 〈동백아가씨〉와 한일 국교 정상화
‘그리운 내 형제’는 왜 북송선에 탔을까? - 재일동포 모국 방문과 〈돌아와요 부산항에〉
‘가요계 정화’ 표적 된 한국 록의 대부 - 〈미인〉과 유신헌법 긴급조치
올림픽과 3S 정책에 매달린 정권 - 〈아! 대한민국〉과 제5공화국
민주화운동 북돋운 저항의 노래 - 86세대 혈관 도는 민중가요
‘천재 시인’ 정지상을 벤 라이벌의 시기심 - 〈송인〉과 서경천도운동
수로부인은 비를 부르는 신녀였다 - 〈해가〉와 신라 기우제
3부. 전쟁과 노래
난리통에 부른 위로와 희망의 노래 - 유행가로 돌아보는 한국전쟁 〈단장의 미아리고개〉 / 〈굳세어라 금순아〉 / 〈이별의 부산정거장〉
존망의 기로에 선 신라의 승부수 - 〈태평송〉과 나당동맹
삼국통일 위한 문무왕의 ‘헤어질 결심’ - 〈모죽지랑가〉와 나당전쟁
거대한 전쟁의 서막이 오르다 - 〈여우중문시〉와 여수전쟁 (상上)
을지문덕은 수나라를 정벌하려고 했다 - 〈여우중문시〉와 여수전쟁 (하下)
4부. 노래에 담긴 생활사
강남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 〈강남스타일〉에 비친 상류층 판타지
사연과 응어리 풀어주는 민족의 길동무 - 한국인의 즉흥곡 플랫폼, 〈아리랑〉
‘회회 아비’에게 손목 잡힌 고려의 딸들 - 〈쌍화점〉과 일부다처제 시행 논란
노처녀·노총각 혼사는 나랏일이다 - 〈노처녀가〉와 혼인 구휼
‘대인배’ 황진이의 사랑법 - 16세기 여성 예인의 삶과 노래
200년 전 서울 사람들은 어떻게 놀았을까? - 〈한양가〉와 19세기 여항 풍속도
‘명판관’ 정조, 가짜 뉴스를 일벌백계하다 - 들판에 번지는 백성의 노래, 농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