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편. 실재하는 세상
제1부. 개요
제1장. 관점의 변화
제2장. 진리란 무엇인가?
제1절. 존재하는 것과 보이는 것
제2절. 진리와 질서
제3절. 현상과 진리
제3장. 심리학이 걸어온 길
제1절.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제2절. 데모크리토스의 원자 가설
제3절. 플라톤과 데카르트의 관념론
제4절. 20세기의 과학 심리학
제5절. 21세기의 인지 심리학
제2부. 우주와 생명체
제1장. 우주의 시작과 형성
제1절. 우주의 시작
제2절. 열에너지와 결합 에너지
제2장. 생명체의 출현
제1절. 생명체의 탄생
제2절. 생명체의 자기 복제 현상
제3절. 대사 작용과 생명 에너지
제3장. 인류의 등장
제4장.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창조관
제1절. 그리스도교의 창조론
제2절. 불교의 연기론
제5장. 우주의 3가지 근원 현상
제1절. 소립자의 편재
제2절. 파동의 바다
제3절. 확률적인 입자
제6장. 우주의 3가지 근원 주체
제1절. 빛
제2절. 원자
제3절. 세포
제2편. 관찰자
제1부. 정보로 파악되는 우주
제1장. 이항성(二項性)의 원리
제2장. 양자 역학적인 우주
제1절. 대칭성과 차이
제2절. 응답하는 우주
제3장. 우주와 관찰자
제1절. 고대 자연 철학의 관찰자
제2절. 근대 물리학의 관찰자
제3절. 현대 과학의 관찰자
제4장. 정보의 개념
제1절. 정보란 무엇인가?
제2절. 정보의 형식
제3절. 정보의 의미와 확률
제4절. 정보와 질서
제2부. 인간의 뇌
제1장. 뇌의 구조와 기능
제1절. 뇌의 출현
제2절. 뇌의 구조와 기능
제2장. 뇌 신경망
제1절. 뇌세포와 시냅스
제2절. 뇌파
제3부. 파동적 자아
제1장. 자아란 무엇인가?
제2장. 새롭게 구성되는 자아
제1절. 신체와 정신
제2절. 언어학의 기호적 자아
제3절. 인지 심리학의 정보적 자아
제4절. 뇌 과학의 파동적 자아
제3장. 양자 역학과 파동적 자아
제1절. 소우주인 인간
제2절. 양자 역학적인 정신 현상
제3절. 큐비트와 비트
제4장. 파동적 자아의 구성
제1절. 물질적인 정보 신호
제2절. 생물학적인 정보 신호
제3절. 기호 논리적인 정보 신호
제5장. 파동적 자아의 존재 방식
제1절. 펜로즈의 삼각형
제2절. 게슈탈트 심리학의 전경과 배경
제3절. 칼 융의 의식과 무의식
제6장. 파동적 자아의 활동성
제1절. 이항적인 논리
제2절. 인지 활동과 꿈
제3절. 생각과 감정
제4절. 언어의 생성
제5절. 수학과의 관계
제6절. 인공지능(AI)과의 관계
제3편. 관찰자 심리학
제1부. 관찰자의 의식 현상
제1장. 내인적 의식과 외인적 의식
제2장. 인간의 의식과 전자기장
제2부. 관찰자의 심리
제1장. 심리적 원형
제1절. 심리적 원형론
제2절. 고독과 불안
제3절. 집착과 탐욕
제4절. 망상과 허영
제5절. 끝없는 지향성
제2장. 심리적 태도
제1절. 외향적 vs 내향적 태도
제2절. 보수적 vs 진보적 태도
제3절. 남성적 vs 여성적 태도
제4절. 선과 악의 문제
제3장. 어떻게 살 것인가?
제1절. 행복의 양면성
제2절. 참 행복과 자아실현
제3절. 자유와 신비 체험
제4절. 생물학적인 인간의 삶
제5절. 관찰자적인 인간의 삶
제6절. 아우구스티누스의 통합적인 삶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