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론 중국의 현대성 문제를 마주하며 ㆍ 4
해제가 포함된 번역자의 서문 ㆍ 8
이 책의 구성과 내용 ㆍ 19
1부 중국 굴기의 사상적 의미ㆍ27
1장 현대화 논제의 재확인 ㆍ 29
1. 들어가기ㆍ29
2. ‘현대문명위기론’ 재평가ㆍ30
3. 현대적 논제의 재확인ㆍ36
4. 문화실천 논리: 독특함과 우월함ㆍ42
5. 정신적 생활과 자유주의의 이유 및 한계ㆍ49
2장 중국굴기와 문화자주 ㆍ 59
1. 들어가기ㆍ59
2. 중국의 부흥과 문화적 의미ㆍ61
3. 성찰적 자기이해ㆍ68
4. 중국 패러다임 확립의 난제ㆍ79
2부 공공문화와 사상의 위기 ㆍ87
3장 ‘학술’과 ‘사상’의 분열 ㆍ 89
1. 1990년대 중국 지식계의 양대 특징ㆍ89
2. 중국 지식 장의 역사적 형성ㆍ92
3. 1990년대 이후 학문의 전문화 발전ㆍ95
4. 현대 사상 논쟁의 지식적 한계ㆍ102
4장 공공문화와 사상계의 새로운 추세 ㆍ 109
1. 1980-1990년대 사상논쟁ㆍ109
2. 공공문화 배경의 변화ㆍ114
3. 보편성과 특수성은 분기의 핵심이 아니다ㆍ118
4. 2000-2010년대 담론 상황의 변화ㆍ123
5. 엘리트 지식인의 대립정서와 공통된 인식ㆍ125
6. 학술 패권과 세대간의 차이ㆍ128
3부 중국 자유주의의 잠재성과 딜레마 ㆍ133
5장 중국에서의 자유주의: 잠재성과 딜레마 ㆍ 135
1. 들어가기ㆍ135
2. 비판적 맥락주의 시각에서의 중국 전통ㆍ137
3. 중국 근대성 구상으로서의 자유주의의 잠재력과 우월성ㆍ145
4. 전통적 영적 잔재들과 중국 자유주의의 곤경ㆍ156
5. 결론: 자유주의 및 그 초월성ㆍ170
6장 자유주의 및 그 불만 ㆍ 181
1. 들어가기ㆍ181
2. 자유주의와 현대화 방안ㆍ184
3. 자유주의와 현대인의 생활 윤리ㆍ192
4부 서구중심주의 비판과 ‘중국적 보편’ 재구성의 조건 ㆍ197
7장 사상계의 서구중심주의 비판 ㆍ 199
1. 들어가기ㆍ199
2. 중국의 시각으로 본 서방중심주의ㆍ200
3. 중국 학술의 주체성과 중국의 길(中國道路)ㆍ206
4. 서방중심주의 개념에 대한 분석ㆍ214
5. 자민족 중심론의 초월: 트랜스 문화의 보편주의에 대한 추구ㆍ219
8장 대안적 근대성의 상상
: 문명 부흥의 꿈과 새로운 세계주의 ㆍ 228
1. 들어가기ㆍ228
2. 근대성의 이중 우려와 중국의 근대성ㆍ229
3. 중국의 대안적 근대성의 길ㆍ233
4. 전통적 천하관의 쇄락ㆍ238
5. 문명중심론의 초월: 새로운 세계주의의 시각ㆍ245
6. 다원적 근대성과 공건(共建)의 세계ㆍ250
9장 유가부흥과 현대정치의 비판 ㆍ 256
1. 들어가기ㆍ256
2. 쇠퇴의 원인과 부흥의 이유ㆍ257
3. 정치 유학과 그 도전 과제ㆍ266
4. 결론: 유가 부흥의 미래ㆍ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