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강대국이라는 국가 비전
1부 강대국의 이론적 이해
1장 강대국이란 무엇인가
01 에너지의 관점에서 보는 국가의 ‘힘’
02 국제질서와 강대국
2장 먹고사는 문제와 질서의 문제:
‘전근대 질서’와 ‘근대 질서’의 구분
01 지정학과 전근대 국제질서
02 자본주의 산업화와 근대 국제질서
03 자유주의 세계시장질서
2부 강대국 대한민국 만들기
1장 왜 강대국 대한민국인가?
01 제국을 향한 꿈
02 강대국이 되는 새로운 길
03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동학과 문법
04 대한민국의 지향점
2장 21세기 강대국의 조건
01 국제질서라는 기반이 없다면
02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균형 발전
3장 21세기 강대국은 어떤 힘을 가져야 하나?
01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에 대한 오해와 진실
02 에너지와 하드 파워, 소프트 파워
03 전근대의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
04 근대의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
05 국가 비전의 종착점은 선진국과 강대국뿐
4장 강대국의 뇌: 강대국적 사고와 행동
01 뒤처진 사고방식과 리더십
02 대한민국이 대응해야 할 위협들
5장 제국의 역습: 21세기 중국과 제국의 관성
01 연성 권위주의와 발전국가 모델
02 대륙제국과 자본주의 시장 사이에 존재하는 중국
6장 미래를 위해 협력해야 할 한일 자유주의 세력
01 자유주의 국제질서에서 일본은 어떠한 국가가 되었는가?
02 한일협력으로 인구 감소와 미래 시장 문제 대처
7장 남북관계의 기회비용
01 이론적 논의
02 우리 손을 떠난 남북관계 주도권
8장 핵무장에 관하여
01 이론적 논의
02 현실에서의 논의
3부 강대국 입구를 막아선 것들
1장 ‘예능 국가’로 향해 가는 대한민국
01 정치와 지식 세계의 타락
02 빠른 정보화에 이은 ‘모니터 사회’의 출현
03 어떻게 모니터를 지배하는가?
04 공공영역을 무너뜨리는 예능 국가화
2장 디지털 전환과 녹색 전환을 넘어 세대 전환으로
01 이권 카르텔의 탄생
02 절박한 세대 전환
3장 권력투쟁 명분이 되어서는 안 될 국제정치
01 ‘반일’은 언제 따져야 하는가?
02 ‘반일’이라는 명분론
03 ‘실리외교’라는 명분론
4장 보수 근대화세력은 어디로 갔는가?
01 지금의 보수세력은 근대화세력의 후예인가?
02 전근대화세력이 된 보수세력
나가며_강대국 소프트웨어 만들기를 시작할 때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