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회과교육 이해 7
[01] 사회과교육과 시민성 9
1. 사회과의 성격과 목표 9
2. 시민과 시민성(citizenship) 13
[02] 사회과교육의 유형과 특성 20
1. 전통적 시민성 전수로서 사회과교육 21
2. 사회과학 탐구로서 사회과교육 22
3. 반성적 탐구로서 사회과교육 22
[03] 사회과 교육과정 조직과 구성 38
1. 환경확대법 적용 38
2. 개념 중심 나선형 조직 43
3. 사회과학의 통합교육과정 구성 48
4. 지역화 교육과정 적용 56
[04]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70
1. 교수요목기(1946~1953) 70
2. 제1차 교육과정(1954~1962) 72
3.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74
4. 제3차 교육과정(1973~1980) 75
5.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77
6. 제5차 교육과정(1987~1992) 79
7.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81
8. 제7차 교육과정(1997~2006) 85
9. 2007 개정 교육과정(2007~2015) 88
10. 2015 개정 교육과정(2015~2022) 90
11. 2022 개정 교육과정(2022~) 94
[05]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102
1. 영국의 지리 교육과정과 시민성 교육과정 102
2.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 112
3. 오스트레일리아 사회과(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SS) 교육과정 116
4. 캐나다의 온타리오 주 사회과 교육과정 121
Ⅱ. 사회과 수업 설계 127
[01] 수업목표 설정 129
1. 수업목표의 기능과 가치 129
2. 수업목표 설정의 방법 130
[02] 사회과 수업 설계 143
1. 좋은 수업을 위한 조건 143
2. 수업 설계와 수업안 작성 145
[03] 사회과 수업 모형 163
1. 개념학습 163
2. 사회과 탐구학습 171
3. 문제중심학습과 문제해결학습 184
4. 의사결정학습과 논쟁문제학습 196
[04] 사회과 수업의 실제 211
1. 지도 활용 수업 211
2. 인공지능 도구 활용 수업 233
3. 도서 및 사진 활용 수업 244
4. 체험, 조사 중심 현장학습 255
5. 지역사회 연계 교육 279
찾아보기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