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1 염증성 장질환 개괄
염증성 장질환이란?
염증성 장질환의 역사와 역학
염증성 장질환의 자연 경과
염증성 장질환의 병태생리
염증성 장질환의 위험인자
가족력 | 생활습관 | 약제
2 염증성 장질환의 증상
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염증성 장질환의 주요 증상
설사, 변비 및 배변 관련 증상 | 혈변, 흑색변, 점액변 | 복통 | 발열 | 체중 감소 | 피로감
염증성 장질환의 장관 외 증상
관절 | 피부 | 눈 | 빈혈 | 어지럼 | 간 | 췌담도 | 비뇨생식기 | 골다공증
3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염증성 장질환 진단 과정
혈액검사 | 대변검사 | 대장내시경 및 에스결장내시경 검사 | 조직검사 | 소장내시경 검사 | 캡슐내시경 검사 | 영상의학 검사
염증성 장질환의 감별진단
장결핵 | 베체트 장염
4 염증성 장질환의 분류와 질병 활성도
염증성 장질환의 분류
염증성 장질환의 질병 활성도
5 염증성 장질환의 약물 치료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목표
관해기의 정의 | 관해 유도와 관해 유지 | 치료 효과 판정과 모니터링
약물 치료의 이해
전통적 치료법
메살라진(5-ASA) | 스테로이드 | 면역조절제
상급치료법의 이해와 선택
생물학적 제제와 소분자 제제 | 바이오시밀러 | 상급치료법의 이해
상급치료법의 선택
상급치료법의 개별 약제
TNF 억제제 | 인테그린 억제제 | 인터루킨-12/23 억제제 | JAK억제제 | S1P 수용체 조절제
임상시험
약을 끊을 수 있을까?
메살라진(5-ASA) | 면역조절제 | 생물학적 제제 등
6 염증성 장질환의 수술 치료
크론병의 수술
궤양성 대장염의 수술
회낭염
장루 형성과 관리
만성 소장 부전 및 단장증후군
7 치료식이 및 영양요법
치료식이
완전경장영양법 | 지중해식 식단 | 저포드맵 식이 | 특정 탄수화물 식단
일반식이
채소 및 과일 | 육류 | 밀가루 및 글루텐 | 지방 및 오메가3 지방산 | 우유 및 유제품 | 커피 | 음료수와 패스트푸드
미량영양소
비타민D | 엽산 | 비타민B12
8 염증성 장질환의 기타 치료
항생제
프로바이오틱스
대변 이식
통증 조절
대체 요법
청대 | 홍삼 | 강황
9 염증성 장질환의 합병증
항문 주위 질환
치핵과 치열 | 치루
협착
누공
농양
장 천공
급성 중증 궤양성 대장염
거대세포바이러스 장염
대장 용종
대장암 및 소장암
10 감염과 예방접종
염증과 감염병
예방접종
인플루엔자 | 폐렴구균 | A형간염 | B형간염 | 잠복결핵 | 대상포진 | 코로나 백신
11 임신 및 출산
염증성 장질환과 임신
피임
임신 준비 및 임신 중 약제 사용
출산 방법과 산후 관리
수유 및 신생아 예방접종
12 기타
일상생활
재발 및 응급 상황 대처 요령
올바른 정보원 선택
의료기관 선정
진료 및 상담 요령
전원 요령
해외여행
복지제도
산정특례제도 |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 소득공제용 장애인증명서
병역 관련
• 도움이 되는 정보 출처 • 참고문헌 • 감사의 말 •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