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조선시대의 상주를 담다
01 조선시대 상주의 통치구조|김백철
1. 머리말
2. 광역지배: 도의 치소
3. 거점관할: 계수관의 유산
4. 직속통치: 상주목의 구조
5. 맺음말
02 상주시 일대의 조선시대 육상교통로와 교통 통신 시설|정요근
1. 머리말
2. 상주시 영역을 지났던 주요 교통로
3. 역과 발참의 설치와 운영
4. 봉수의 분포
5. 원과 점막의 분포
6. 맺음말: 조선시대 상주의 교통사적 특징
03 상주 사찰 봉안 불상ㆍ불화와 제작자|이용윤
1. 지리지와 고도서로 본 상주 사찰
2. 사찰 봉안 불상과 제작자
3. 사찰 봉안 불화와 제작자
4. 조선시대 상주 불교문화의 특징
04 퇴계학과 남명학의 교섭을 추구했던 상주의 유학자들|김학수
1. 머리말
2. 류중영ㆍ류진의 남명학파와의 교섭
3. 정경세ㆍ정종로: 남명인식의 변화 및 강우학계와의 학문적 교유
4. 이만부의 덕천서원 원장 수행과 연대의 자취
5. 맺음말
05 조선시대 상주의 전통건축과 경관|정연상
1. 머리말
2. 조선시대 강학 공간
3. 조선시대 주거 공간
4. 조선시대 원림 공간
06 조선시대 상주목의 자기공납과 상품 자기소|박경자
1. 머리말
2. 조선시대 상주목 자기소 관련 기록
3. 상주 상판리 6호 요지ㆍ우하리 유적 출토 명문자기
4. 상주목의 자기공납과 상품 자기소의 역할
5. 맺음말
07 임진왜란과 상주|이욱
1. 전란에 휩싸인 상주
2. 북천 전투와 삼학사
3. 일본군 약탈과 민심의 이반
4. 소소한 저항과 철저한 보복
5. 본격적인 의병 부대의 결성과 활동
6. 개별부대에서 연합으로, 기습에서 주둔지 공략으로
7. 상주 의병, 그 이후
08 상주 사족의 공공 실천과 존애원存愛院|김호
1. 머리말
2. 17세기 후반, 유형원의 의국 개혁안
3. ‘공국’ 존애원의 건립
4. 1551년 주세붕의 ‘공공’ 강조
5. 1617년, 상주 사족의 변화
6. 존심애물의 실천
7. 존애원의 쇠퇴
8. 맺음말
09 조선시기 상주 읍성의 성립과 의의|한기문
1. 머리말
2. 읍성 시축과 변천
3. 읍성 내ㆍ외의 시설과 기능
4. 읍성의 의의
5. 맺음말
10 창석 이준의 『상산지』 편찬과 그 의미|우인수
1. 『상산지』 편찬의 시대적 배경
2. 편찬자 창석 이준
3. 『상산지』의 체제와 내용 분석
4. 『상산지』의 의의와 영향
11 상주의 농서 편찬과 농경문화|김재호
1. 머리말
2. 지역농서의 편찬과 특징
3. 조선시대 상주의 농경문화
4. 맺음말
12 「도남소청잡록道南疏廳雜錄」을 통해 본 조선후기 상주 향촌사회의 변화상|김순한
1. 머리말
2. 17~19세기 상주 향촌사회 동향과 변화
3. 도남소청 활동과 보합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