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제1부 달라지는 뉴스
1. 올드 미디어 19
1) 뉴스의 발달 19
2) 미디어 효과 29
(1) 대효과 이론 (2) 제한효과 이론 (3) 중효과 이론 (4) 강효과 이론
2.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 50
1) 매체결정주의 51
2) 디지털 미디어 58
(1)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2) 참여와 공유 (3) 콘텐츠의 변화
3. 뉴스의 변화 78
1) 소통 중심 82
2) 공감 강화 89
(1) 공감의 발달 (2) 미디어와 공감
3) 관심 전환 99
(1) 심층탐사보도 (2) 온라인 심층탐사보도 (3) 데이터 저널리즘 (4) 솔루션 저널리즘 (5) 시민 저널리즘
제2부 소통하는 뉴스
1. 커뮤니케이션의 시작 130
1)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130
2) 언어의 진화 134
3) 커뮤니케이션의 함의 136
2. 언어 커뮤니케이션 143
1) 언어의 기능과 특성 143
2) 언어와 사고 148
3) 언어와 정보공유 152
3.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156
4.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60
1) CMC의 정의 161
2) CMC에 대한 관점 163
3) CMC의 영향 170
5. 소통하는 뉴스 173
1) 논쟁적 이슈(Controversial Issue) 175
2) 갈등적 이슈(Conflictual Issue) 202
3) 당위적 이슈(Reasonable Issue) 231
제3부 공감하는 뉴스
1. 감정 264
1) 감정의 역할 264
2) 비언어적 감정 표현 266
3) 감정과 행동 269
2. 마음 272
1) 공감과 이타주의 272
2) 마음 읽기 275
3. 미디어의 발달 280
1) 구어시대 280
2) 문자의 출현 282
3) 중세의 커뮤니케이션 290
4) 인쇄술 293
5) 신문 302
6) 라디오 등장 307
7) 텔레비전의 탄생 310
8) 소셜 미디어 313
4. 공감하는 뉴스 315
1) 분노 316
2) 슬픔 338
3) 공포 345
4) 재미 362
5) 스토리 370
6) 이색 황당 380
제4부 깊이 있는 뉴스
1. 저널리즘의 변천 402
1) 저널리즘의 관점 403
2) 기자의 역할 405
3) 황색언론(Yellow Journalism) 406
4) 감시견(Watchdog)으로서 폭로 언론 409
5) 뉴욕타임스 411
6) 저널리즘의 변화 414
7) 국민의 알 권리 416
2. 심층ㆍ탐사보도 419
1) 허친스 위원회(Hutchins Commission) 419
2) 메카시즘의 충격 422
3) 탐사언론 424
4) 심층보도 426
3. 깊이 있는 뉴스 431
1) 교육 434
2) 복지 442
3) 일자리 경제 457
4) 환경 470
5) 거버넌스 480
6) 북한과 중국 496
제5부 확산하는 뉴스
1. 올드 미디어의 영향 509
1) 대중신문 출현 509
2) 라디오 열풍 513
3) 텔레비전의 등장 515
2. 뉴미디어의 확산 518
1) 포털 뉴스의 부상 519
2) 유튜브 저널리즘 521
3) 뉴스 소비 방식의 변화 524
3. 뉴스 소비 변화에 적응한 미디어들 528
1) 해외 미디어 530
2) 한국의 밀레니얼 미디어 535
3) 국내 전통 미디어 536
4. 콘텐츠의 유형 539
1) 숏츠 540
(1) 소통하는 뉴스 아이템 (2) 공감하는 뉴스 아이템 (3) 깊이 있는 뉴스 아이템
2) 비디오 머그 550
3) 모아보는 뉴스 556
4) 현장 영상 564
5) 이슈 라이브 568
6) 자막뉴스 571
맺음말 576
참고문헌 581
찾아보기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