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ㅣ 이광재
1장 위기의 시대, 회복력 사회로의 전환 | 오현순
1. 왜 회복력(리질리언스)으로의 전환인가?
2. 회복력 사고의 개념, 동향, 사고의 틀
3. 회복력의 원칙과 추진 전략
4. 정의로운 회복력 공동체를 위하여
2장 시민역량과 거버넌스, 위기를 넘어서는 ‘연결’의 방식 | 주필주
1. 위기의 시대, 커뮤니티 리질리언스(community resilience)의 의미
2. ‘계획’의 무용함과 유용함
3. 거버넌스와 거버넌스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4. 준비된 시민, 연결된 일상
5. 정리하며 : 우리는 모두 저마다의 역할이 있다
3장 지방소멸을 넘어, 이주민과 원주민이 함께 그리는 지역의 미래 | 이민주
1. 들어가며
2. 제주의 인구 추이와 유입 현황
3. 제주 인구 유입 및 이주·정착에 관한 인식
4. 제주 이주민의 적응과 정착을 위한 정책
5. 이주민과 원주민의 화합으로 피어나는 마을, 선흘 1리
6. 나가며
4장 국(國)·공(公)유지의 공(共)유지적 전환 | 정기황
1. 들어가며 : 두 발을 땅에 디디고 살아가기 위해
2. ‘국(國)’과 ‘공(公)’과 ‘공(共)’의 차이
3. 국유지 불하(拂下)와 공익
4. 공동체와 부동산의 치환
5. 나가며 : 국가 소유의 사유지역에서 공동체가 사용하는 공유지로의 전환
5장 자연의 회복력과 숲의 관리정책 | 홍석환
1. 자연 스스로의 회복력과 상반된 숲 관리정책
2. 숲의 회복력과 자연기반해법
3. 숲의 회복력과 소나무재선충
6장 사회연대경제를 활용한 회복력 있는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로의 전환 | 강내영
1. 들어가며
2. 분야별 사례로 이해하기
3. 맺음말
7장 지속가능성과 ESG : 당신이 몰랐던 사회문제 해결의 비밀 | 김종혁
1. 지속가능성과 ESG는 현실적인 이야기일까?
2. 우리가 보지 못했던 사회문제의 연결고리
3. 지속가능성으로 해결하는 사회문제
4.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성과 ESG
5. 1% 시도가 만든 99%의 변화
8장 마을연금과 어촌공동체의 리질리언스 | 정재훈
1. 어촌마을의 마을연금 도입 이야기
2. 농어촌 지역의 노후 소득 보장제도
3. 만수동 어촌마을
4. 새로운 리더 선출과 마을연금 도입과정
5. 마을 어장과 공동체의 회복
6. 적응순환 이론의 적용과 만수동의 리질리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