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강 공공갈등의 이해
1. 민원과 공공갈등
가. 민원 개념 및 주요 키워드
나. 고충민원과 집단민원
2. 공공갈등의 이해
가. 공공갈등의 개념 및 범위
나. 공공갈등의 특성
다. 공공갈등의 추세
제2강 갈등에 관한 이론
1. 갈등의 개념
2. 갈등의 속성
3. 갈등의 과정
가. 프루이트와 루빈의 갈등 6단계
나. 갈등잠재기에서 증폭기로의 전환
4. 갈등관리의 필요성
가. 갈등관리의 개념
나. 갈등관리 방식에 따른 갈등관리
다. 공공갈등의 관리 필요성
제3강 갈등 관련 법·제도와 기구
1. 갈등 관련 법과 조례
가. 「공공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나. 갈등 관련 조례
2. 갈등관리심의위원회
가. 갈등관리심의위원회 관련 근거
나. 갈등관리심의위원회 기능 및 역할
다. 갈등관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3. 갈등관리 프로세스
가. 갈등진단
나. 갈등관리계획의 수립
다. 맞춤형 갈등 조정
라. 갈등관리 실태평가
4. 갈등경보제
가. 갈등경보제 개요
나.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한 민원 현황 파악
다. 갈등경보제 운영 현황
제4강 갈등영향분석
1. 갈등영향분석의 근거와 목적
2. 갈등영향분석의 절차
가. 갈등영향분석의 절차 이해
나. 갈등영향분석의 주요 체크리스트
3. 갈등영향분석의 주요 내용
가. 이해관계자 면담 계획
나. 이해관계자 및 쟁점 구분
다. 합의 형성 가능성 및 절차 설계
4. 갈등영향분석을 위한 기법
가. 육하원칙을 이용한 갈등분석
나. 이해관계자 분석
다. 사회적 특성 분석
라. K-ESTEEM 방법론
제5강 갈등조정협의체 구성 및 운영
1. 갈등조정협의체 개요
가. 협의체와 협의회 구분
나. 민관협의회
다. 갈등조정협의체
2. 갈등조정협의체 운영
가. 대화를 위한 준비
나. 협의체 운영 단계별 내용
제6강 협상과 조정
1. 대안적 갈등 해결(ADR)
가. 소통의 차이
나.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2. 협상
가. 협상 구성 요소
나. 협상에서의 심리적 효과
3. 조정의 절차 이해
가. 조정 절차와 조정자의 역할
나. 갈등 조정 사례
제7강 공론화
1. 공론화 개념 이해
가. 공론화 개념
나. 공론화 유형
다. 공론화 업무 절차
3. 숙의형 경청회
가. 주민설명회ㆍ공청회
나. 숙의형 경청회
3. 공론조사
가. 목적과 절차 283
나. 사례 리뷰: 여주시 복합행정타운 건립 후보지 결정을 위한 공론화
4. 시나리오 워크숍
가. 목적과 절차
나. 사례 리뷰: 서울 균형발전 공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