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레비-스트로스
1장 레비-스트로스의 생애와 사상
1.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908-2009)의 생애 3
2.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7
3.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12
2장 언어학과 구조주의 인류학
1. 음운론을 이용한 친족 연구 17
2. 구조주의적 체계를 가진 친족명 22
3. 친족명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 25
3장 토테미즘과 야생의 사고: 신화적 사고
1. 유명론적 토테미즘 33
2. ‘신화적 사고’로서의 ‘야생의 사고’ 42
3. 사르트르의 『변증법적 이성』에 대한 반박 47
4장 신화 이면의 구조 : 신화 구조주의
1. 신화분석을 통한 신화의 구조 수립 50
2. 신화를 산출하는 무의식적 체계 52
3. 초월적 언어 : 신화와 음악 56
4. 이항대립에 의한 신화의 구성 59
5장 신화학
1. 보로로족의 노래 - 고통의 이유들 62
2. 제족 언어집단의 변주곡들-불의 기원 67
3. 야생돼지와 장신구의 기원 69
4. 꿀벌과 재(담배) 73
5. 신화의 생성과정 79
6장 레비-스트로스와 타 신화학자들
1. 레비-스트로스의 신화 이해: 인간사유의 보편적 구조 86
2. 캇시러와 레비-스토로스의 신화이해 90
3. 엘리아데의 신화 이해 95
[정리] 레비-스트로스에 대한 평가. 103
2부 에른스트 캇시러
1장 캇시러의 생애와 사상
1. 에른스트 캇시러(1874-1945년)의 생애 109
2. 캇시러 ‘상징형식 철학’의 개요 120
2장 ‘상징 형식’의 개념 등
1. ‘상징 형식들의 체계’로서의 ‘정신’ 128
2. ‘기호’와 ‘상징’의 일반적인 기능 137
3. 상징의 동물로서의 인간 : 『인간론』 1부 144
3장 언어적 상징형식
1. 고대의 언어관 152
2. 근대의 언어관 156
3. 훔볼트의 언어관에 대한 캇시러의 해설 160
4장 신화 이론들에 대한 고찰
1. 철학사 속에 나타난 철학과 신화의 관계 169
2. 셀링의 『신화철학』 해설 174
3. [응용] 신화와 기독교 181
5장 사고형식으로서의 신화
1. 신화적 사고형식 183
2. 신화적 대상 187
3. 신화의 ‘인과율’ 196
4. 신화적 사고의 개별적 범주들 201
5. (보충) 신화 : 범주에 자리잡은 인과율 206
6장 ‘직관 형식’으로서의 ‘신화’
1. 초월을 지향하는 신화적 의식 208
2. 신화적 사고의 근원적 범주 214
3. 신화적 대상세계의 구축 220
4. (보충) 초월을 지향하는 ‘신화적 상징형식’ 230
7장 ‘예술적 사고’의 상징형식
[정리] 캇시러에 대한 평가 235
3부 메르치아 엘리아데
1장 엘리아데의 생애와 저술 등
1. 메르치아 엘리아데의 생애 (1907∼1986) 241
2. 종교 철학자로서의 엘리아데 246
2장 성(聖)의 구조와 형태
1. ‘경험’으로서의 ‘종교 현상’. 253
2. 히에로파니의 개념 259
3. 히에로파니의 구조 264
3장 거룩한 ‘공간’과 세계의 ‘성화(聖化)’
1. 성현(聖顯)의 실재성 271
2. 거룩한 공간 277
3. ‘성소’를 중심으로 한 종교적 우주관 285
4장 ‘원형’에 이르는 길, ‘중심’
1. 원형에 이르고자 하는 상징 사고 289
2. ‘중심’의 상징 299
3. ‘상승’의 상징 306
4. [보충] ‘중심’에 대한 평가 309
5장 거룩한 ‘시간’과 ‘신화’
1. 거룩한 시간 311
2. ‘신화’의 갖는 의미 316
3. ‘제의’를 통한 ‘신화의 재현’ 321
6장 상 징
1. 상징 이론 331
2. 상징의 형이상학 334
3. 자연의 거룩함과 우주적 종교 : 상징의 형이상학 338
4. 예술가의 영감에 나타난 ‘히에로파니’ 344
[정리] 엘리아데에 대한 평가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