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지그문트 프로이트
1장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생애와 저술
1. 프로이트의 생애(1856-1939)와 저술 3
2. 프로이트의 심리학 7
3. 프로이트의 후예들 17
2장 ‘꿈’과 무의식
1. ‘꿈의 근원’에 대한 이해 19
2. 꿈의 작업 32
3. ‘꿈 과정’의 심리학 37
4. 『꿈의 해석』이 갖는 의미 55
3장 ‘정신분석’ 일반이론
1. ‘정신분석’의 개념 57
2. 신경증과 ‘정신 지형도’ 64
3. ‘리비도’의 발달과정 75
4. 리비도의 갈등, 고착, 그리고 승화 87
4장 정신적인 것의 본성
1. 정신 기관 108
2. 본능 이론 114
3. 정신기관의 형성 120
5장 성과 문명의 충돌
1.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132
2. “성도덕과 현대인의 신경병” 135
3. 종교론 : 『환상의 미래』 137
4. 『문명 속의 불만』 140
[정리] 프로이트 심리학에 대한 평가 144
2부 자크 라캉
1장 자크 라캉의 생애와 저술 등
1. 라캉(1901-1981)의 생애와 저술 149
2. 라캉의 사상 152
3. 라캉 전후의 사상가들 158
2장 주체의 형성과정
1. 『도둑맞은 편지』의 세 관점 161
2. 라캉의 주체형성 과정 166
3. 욕망과 주이상스 170
3장 자아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의 관계
1. ‘상상계’의 자아 형성 177
2. ‘상징계’에서의 자아형성 182
3. 무의식적 주체의 출현과 실재계 198
4장 실재계와의 접촉
1. 물리학의 기저에 자리잡고 있는 ‘욕망’ 209
2. 무의식과 반복 210
3. 반복, 실재와의 만남 220
4. ‘오브제 a’의 응시 223
5장 주체의 출현 : 전이와 충동
1. ‘전이’의 개념 235
2. 전이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이상적 자아’ 240
3. 시니피앙의 행렬들 속에서의 ‘욕망’ 243
4. 충동에 의해 드러나는 무의식적 주체(자아) 252
5. ‘소외’로 인하여 출현하는 “고유한 존재” 261
[정리] 라캉에 대한 평가 270
3부 칼 구스타프 융
1장 칼 구스타프 융의 생애와 저술 등
1. 칼 구스타프 융의 생애(1875-1961) 275
2. 융과 분석심리학 281
2장 리비도 개념의 확장
1. 프로이트 리비도 개념에 대한 비판 284
2. ‘리비도’의 발생론적 개념 : 정신 에너지 287
3. 리비도의 분화 293
4. 리비도의 변환 298
3장 공상과 신화
1. 공상적 사고와 신화 308
2. 무의식적 공상과 신화의 사례 315
3. 리비도의 상징들 325
4장 무의식으로 가는 길
1. 꿈의 중요성 330
2. ‘무의식’과 ‘상징’의 관계 335
3. ‘상징(꿈)’의 기능 340
4. ‘상징’의 집단성 345
5. ‘원형’에서 나타나는 ‘신화’ 347
5장 융의 심리학 : 인간의 인격
1. 정 신 355
2. 원 형 363
3. ‘자기(정신)’의 ‘자기실현’ 371
[정리] 칼 융에 대한 평가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