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경계에서 도시가 시작되다.
도시는 왜 경계에서 탄생하는가?
한반도: 반도의 운명, 문명의 통로
뉴욕: 대서양의 관문, 세계의 입구
경계가 주는 창조의 에너지
제2장. 역사라는 층위 속의 도시
한반도: 전쟁과 분단, 그리고 재건의 역사
뉴욕: 이민과 충돌, 그리고 세계화
외세와 내부 충돌이 남긴 흔적
도시는 어떻게 기억을 저장하는가
제3장. 문화, 다양성을 실험하다
다문화 사회란 무엇인가: 뉴욕의 케이스
문화의 수출국이 된 한반도
음식, 예술, 언어에서 본 문화 융합
경계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정체성
제4장. 도시에서 인간을 다시 읽다
경계인(境界人)으로 살아간다는 것_정체성의 교차로
경계인의 심리와 생존 방식
도시는 거울인가, 무대인가?
공존과 갈등, 도시 윤리의 탄생
제5장. 공통점으로 본 문명의 단서
지정학적 요충지의 숙명
분단과 공존의 역설
상징도시의 발신력과 파급력
역사적 전환의 현장
세계 문명 흐름 속에서의 위치
제6장. 경계에서 문명은 시작된다
문명은 언제나 경계에서 탄생했다
혼합과 충돌의 역사, 문명의 패턴
도시와 문명의 태동: 메소포타미아에서 뉴욕까지
한반도와 뉴욕, 문명의 다음 장을 비추다
앞으로의 문명은 어디에서 시작될 것인가?
에필로그
경계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