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계산하는 친족
1부 만들기: 언어와 코드
01 상호매개: 텍스트성과 계산 체제
언어와 코드 / 계산 체제 / 상호매개 / 매체 기술과 체화된 주체들
02 말하기, 글쓰기, 코드: 세 가지 세계관
복잡성의 처소 / 소쉬르의 기호와 물질적 문제들 / 데리다의 차연과 코드의 명료성 / 코드의 계층 / 이산화 그리고 코드와 언어의 상호 침투
03 정보의 꿈: 세 가지 소설에서 신체의 탈출과 구속
정보의 경제 / 재기입으로서 코드: “전신 창구 안에서” / 실체 변화로서 코드: ≪파머 엘드리치의 세 개의 성흔≫ / (재)현현으로서 코드: “플러그에 연결된 소녀” / 여성 주체성으로서 코드: 여자는 정말로 필요할 때 무엇을 팔 수 있는가
2부 저장하기: 인쇄 텍스트와 전자 텍스트
04 매체 번역하기
인쇄에서 전자 텍스트로 / 텍스트는 무엇인가 / 물리성, 물질성, 체화된 텍스트성 / 아상블라주로서 작품 / 언어 번역과 매체 번역 사이에서 상호매개하기: 텍스트성에 대한 함의들
05 수행적 코드와 수사적 언어: 닐 스티븐슨의 ≪크립토노미콘≫
수학과 도마뱀: 변증법의 첫 항들 / 암호작성술 지배하기 / 코드의 형제단 / 매듭진 모순어법들: 소진된 변증법 / 테크놀로지와 텍스트의 상호 침투
06 셸리 잭슨의 〈패치워크 소녀〉에서 명멸하는 연결성
주체성 그리고 저작권의 법적 허구들 / 괴물 창조하기: 주체와 텍스트 / (텍스트) 신체 봉합하기: 스토리스페이스에서 바느질과 글쓰기 / 종결: 링크, 렉시아, 메모리
3부 전송하기: 아날로그와 디지털
07 행위자의 가면 벗기기: 스타니스와프 렘의 “가면”
인간 속의 기계 / 기계 속의 인간 / 기계와 인간의 상호 침투
08 내러티브를 시뮬레이션하기: 가상 생명체는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쳐 줄 수 있는가
진화한 가상 생명체 / 진화하는 내러티브들 / 인간을 계산하기: 아날로그 주체와 디지털 주체들 / 과학적 실재론과 형식의 윤회 / 디지털 생명체와 혼종적 주체성: 형식에서 프로세스로
09 주관적 우주론과 계산 체제: 그렉 이건 소설의 상호매개
앨런 튜링의 유산 / 징후로서 계산 / ≪퍼뮤테이션 시티≫: 죽음과 시뮬레이션으로 도착하는 편지 / ≪디스트레스≫와 참여우주
에필로그: 재귀와 창발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