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장. 장애의 사회문화적 구성 이해하기
2장. 질병과 장애의 개념에 대한 이해
3장. 내러티브를 통한 생활담(life story) 이야기
4장. 참여자 소개
5장. 연구 윤리
6장. 면담 자료 수집
7장. 건강한 사람들의 세계에서 살아가기: 병(病)을 가진 사람의 장애 경험
1. 가족과 함께 살아가기
가족으로부터의 분리
모든 것으로부터의 보호
2. 의료 안에서 살아가기
‘정상’으로의 압박
자신의 몸으로부터의 소외
3. 삶을 배우고 일하며 살아가기
완벽한 몸으로부터의 구별
사회적 삶에서의 주변화
여성주의적(feministic) 모습에 대한 압박
4. 건강한 사람의 세계와 아픈 사람의 세계의 균열
고통받는 몸
몸을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
5. 공유할 수 없는 비밀
말하지 않으면 없는 일이 되는 것
사회적 ‘정상성’ 배우기
6. 장애에 관한 사회적 환상들
다른 모습의 삶은 비극적이라는 환상:
“그래도 밝은 엄마와 예쁘게 하고 다니는 아이”
연약(軟弱)한 것은 선(善)하다는 환상
7. 건강한 사람들의 세계에서 드러난 장애의 의미
다르고 부족하고 의존적인 것
통제할 수 있고 고쳐야만 하는 것
몸에 대한 경멸
고통스럽게 숨겨야 하는 것
마주해야 하는 상처
8. 장애 경험의 교육적 변증법: ‘차이’에 대한 이해
8장.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